![[논문쓰는법 강좌] 학술논문 영어팁](https://www.editage.co.kr/insights/sites/default/files/media-youtube/dQdcsLjRyFo.jpg)
You are here
영어 논문작성법에 관한 몇 가지 팁을 소개해드립니다. 해당 비디오를 통하여 논문을 출판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제목(heading 또는 headline)은 일반적인 맞춤법 관행에 엄격히 지배를 받지 않는 특수한 텍스트입니다. 특히, 제목을 독립된 줄에 쓸 때(소제목에 이어지는 텍스트가 다음 줄에서 시작될 때) 소제목에 콜론(colon)이나 마침표(full stop)를 쓸 필요가 없습니다.
[논문작성법 강의/ 논문컨설팅] 본 비디오에서는 논문을 작성할 때 흔히 하는 6가지 실수들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논문작성법 강의] 논문을 쓸 때 흔히 하는 6가지 실수 Part2 비디오 강의입니다. 에디티지 논문작성법 강좌로 한층 더 업그레이드된 논문을 작성해보세요.
Part1도 함께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 강의 바로 가기
[논문 단어수 줄이는 10가지 방법] 저자가 간결하게 글을 쓰는 건 상당히 어렵습니다.하지만 저널에 논문을 투고할 때는 꼭 지정된 분량을 지켜야 합니다. 슬라이드를 통해 논문 분량을 줄일 때 검토해야 할 부분을 알려드립니다.
논문을 투고하고 답변을 받았는데 "Electronic versions of Figures submitted with the manuscript should contain a link to data" 및 "Add Figure numbers on pages where figures appears" 등의 답변을 받았습니다. manuscript에 figure가 어디에 나타나는지 표시를 하라는것 같은데 어떻게 표시 하면 될까요? 처음 투고 해보는거라 정말 궁금합니다.
- Anonymous
- 2016년9월6일
- 조회수 23,216
제 논문에 에디터가 영문을 개선하라고 요청했습니다. 에디터는 구체적으로 단어 정관사 the의 사용이 잘못되었다고 언급하였습니다. 실제로 the가 사용되지 않았거나 잘못 사용된 곳이 몇 곳 있었습니다. 도움 요청드립니다.
모든 학문 분야에는 연구 논문을 작성할 때 따르는 고유의 규정이 있으며 Physical Sciences 도 예외는 아닙니다. 물론 단어를 효과적으로 쓰는 것은 언제나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연구자와 학술 에디터로 일하며 저는 다른 분야보다 Physical Sciences 분야 연구 논문에서 더 흔히 발견되는 몇 가지 반복되는 오류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저자가 작성한 논문에서 흔히 보이는 이러한 문제들과 그 예시를 나열해 보겠습니다.
- ishani.bhattacharya
- 2017년6월16일
- 조회수 21,7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