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연구 논문에 그림 넣는 법 – 표와 그림,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할까? (예시 포함)

에디티지 인사이트 | 2025년9월4일 | 조회수 589
연구 논문에 그림 추가하는 법

연구 논문을 작성할 때 그림이나 표 같은 부분은 쉽게 넘어가기 쉬운데요. 사실 연구 논문에서도 시각적인 설득이 필요하고 이를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논문에 표나 그림을 추가해 가독성을 높이는 것입니다.

대개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독자는 시각적 정보에 끌리는 경향을 보입니다. 따라서 길고 복잡한 글을 읽는 것보다는 시각적 자료를 보고 이해하기를 선호하죠.

이번 아티클에서는 시각적 정보를 늘리고 데이터에 대한 이해를 더 쉽게 만들기 위해 연구 논문에 그림을 추가하는 법에 관해 설명해 보겠습니다.

에디티지 과학 일러스트

연구 논문에서 그림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는?

연구를 계획할 때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모든 도구를 활용해 독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을 적용해야 합니다.

표 또는 그림이 필요한지 판단할 때는, 주장을 한두 문장으로 설명 가능한지 확인해 봅니다. 설명이 가능하다면 표나 그림은 필요하지 않겠지요.

반면 데이터 범위가 너무 넓거나 복잡해서 몇 문장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경우, 혼란을 주지 않으면서도 많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그림이나 표를 사용하는 편이 좋습니다.

 

표 vs. 그림,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할까?

그렇다면 표와 그림 중 어떤 자료를 넣어야 할까요?

수치 데이터나 기타 요약 데이터를 좁은 공간에 넣어야 하는 경우에는 표(table)가 이상적입니다. 또한, 서로 다른 데이터를 조합하여 비교 대조하거나 여러 특성 또는 변수를 포함하는 항복을 보여줄 때, 혹은 이러한 특성이 없다는 사실을 설명할 때도 표는 유용합니다.

Default Alt text

Default Alt text

그림(figure)은 패턴, 경향, 데이터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어야 할 때 사용합니다. 표와 달리, 데이터 자체보다는 패턴 강조를 위해 사용되죠. 그림은 일련의 사건, 절차, 품질, 속성을 시각적으로 설명하거나, 연구 결과를 요약할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프, 데이터 플롯, 지도, 원형 차트 등 다양한 선택지가 있습니다.

Default Alt text

 

연구 논문에 그림은 몇 개나 넣어야 할까?

연구 논문에 포함하는 그림이나 표의 수에 제한은 없지만, 너무 많으면 도리어 데이터 이해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논문의 가독성을 염두에 누고 그 수를 정해 포함해야 하죠. 일반적으로 연구 논문에서 표는 5개 이하, 그림은 8개 이하를 넣는 것이 권장됩니다.

 

연구 논문에 그림 넣는 법

상기한 바와 같이, 논문에 그림이나 표를 넣으면 데이터를 요약해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되며 짧은 시간 내 많은 정보를 원하는 독자에게 논문을 더 흥미로워 보이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논문에 그림은 어떻게 넣어야 할까요?

연구 논문에서 그림은 어디에 넣어야 할까?

페이지 중앙, 처음 언급된 위치 근처, 가능하면 데이터가 언급된 단락 바로 아래에 넣어야 합니다.

그림 설명(캡션)은 어떻게 넣어야 할까?

모든 그림에는 번호를 부여하고, 그 뒤에는 데이터를 설명하는 간결하고 이해하기 쉬운 문장을 기재합니다. 그림에서 중요한 부분은 캡션으로 강조합니다. 그림은 일반적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힌다는 점을 고려하여 캡션은 그림의 왼쪽 아래에 배치합니다.

(참고: International Science Editing)

Default Alt text

Default Alt text

 

이미지 첨부 시

이미지를 선택할 때는 그것이 이해하기 쉬운 것인지 확인하세요. 그림의 크기와 해상도, 색상에도 유의합니다.

데이터를 명확히 제시하기 위해 그림은 적절한 크기에 고해상도여야 합니다. 그림에 포함된 요소들도 중요한데요. 색상, 선, 아이콘 등을 사용할 때는 정보를 코드화 하는 게 아니라 효과를 더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이미지는 기본적으로 이러한 요소들이 없어도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Default Alt text

 

추가 정보 기재

삽입된 그림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추가 정보도 놓쳐서는 안 됩니다. 그래프의 경우, 레이블, 범례, 기호 설명, 체크 표시 등을 포함합니다. 가령 지도의 경우, 축척 표시, 방위 또는 북쪽 화살표를 반드시 넣습니다.

 

연구 논문 그림/표 첨부 시 유의할 점

논문은 많은 작업을 필요로 하는 중요한 문서죠. 확실한 통계와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최우선시해야 합니다. 연구 논문에 그림이나 표를 넣을 때는 아래의 유의 사항을 염두에 두세요.

-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도표의 종류도 달라집니다. 도표를 잘못 선택하면 오히려 연구 이해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 가독성을 우선시하세요. 이해하기 어려운 도표는 그저 이미지에 지나지 않습니다. 데이터를 구별하고 정보가 중복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가독성을 극대화하는 레이아웃을 선택하세요.

- 표에서 불필요한 정보를 제거합니다. 데이터가 복잡해집니다. 데이터의 가장 중요한 측면을 강조하는 단순하고 이해하기 쉬운 디자인이어야 합니다.

- 정확성을 추구하세요. 오해로 이어질 수 있는 모든 오류를 피할 수 있도록 숫자는 언제나 더블 체크합니다.

 

논문에 그림 넣을 때 흔히 발생하는 실수

- 축의 제목이나 범례가 이해하기 어렵거나 중복되지는 않는지 확인합니다. 이해하기 쉽고 연구에 추가한 참고문헌과 일관성 있는 제목/설명인지 확인하세요.

- 디자인에 일관성이 없지는 않는지 확인합니다. 한 연구 안에 여러 디자인의 그림이 들어가면 독자가 혼란스러워할 수 있습니다. 폰트의 종류와 크기, 선 등에 일관성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 무분별하게 혹은 과도하게 색상이 사용되지는 않았는지 확인합니다. 노란색이나 베이지색 등 가독성이 낮은 색은 피하세요. 또한 색 지각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 역시 읽을 수 있도록 빨간색이나 초록색은 피하는 편이 좋습니다.

 

더 읽어 보기

표와 그림(tables and figures) 제목 작성 팁

“표 2를 보라”, “그림 6 참조” 등의 표현은 피하자

논문 양식은 왜 중요한가 – 연구자 및 저자를 위한 전문가 조언

 

스크랩하기

해당 기사를 스크랩해보세요!

지식은 모두에게 함께 공유되어야 한다는 것이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이념입니다. 해당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모든 기사는 Creative Commons license로 재포스팅 및 스크랩이 가능합니다. 아래의 가이드라인만 유념해주신다면 언제든지 무료로 에디티지 학술 전문가의 지식을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


  • 주의 : 에디티지 학술 전문가들은 해당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고 있습니다. 기사를 스크랩 및 재포스팅 하실 때는 명확한 출처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이미지 재사용: 이미지를 원본이 아닌 편집 재사용하실 때는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허가가 필요합니다.

코드를 복사하셔서 기사 공유를 원하시는 사이트에 적용하시면 에디티지 인사이트 기사를 가장 쉬운 방법으로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Please copy the above code and embed it onto your website to republish.

Comments

원고 거절 사유

연관된 카테고리

에디티지 인기 서비스 바로가기

  • 논문 시각화 그래픽초록​ 짧은 제작기간 + 저널 맞춤 디자인

    자세히 보기>
  • 저널게재 성공은, 저널 포맷팅부터! 업계 최저가 + 빠른 납기 일정

    자세히 보기>
  • 한정기간 EVENT! SCI저널투고 패키지 40% 할인!

    지금 할인 받으러>
  • 학술 전용 AI도구 페이퍼팔 논문 작성부터 제출까지 한 번에!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