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에디티지 인사이트에 등록하시고 관심있는
기사를 마이 라이브러리에 담아보세요.
본 비디오는 연구자가 정책 입안자와 소통하기 위해 알고 있어야 하는 것들에 초점을 맞춘 3부작 인터뷰 시리즈 중 두 번째입니다. 마르타 풀리도 박사(IDIBAPS 커뮤니케이션 책임자)는 라틴 아메리카의 사례를 통해 과학자와 정책 입안자 간의 협력이 사회 정치적 및 문화적 맥락에 따라 각 지역에 거쳐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논의합니다.전 세계 연구원들은 자신들이 연구하고 있는 부문의 관련성을 정책 입안자들에게 설명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소통의 영역은 일반 대중에게 과학을 전달하는 것과 많은 부분에서 공통점도 있지만 중요한 차이점도 있습니다. 정책 관련 소통은 정책 입안자와 협력해야할 지점이 있기에 단순히 일방적 설명만을 하는 한 방향성 대화가 될 수 없습니다. 정책 입안자와의 소통은 상호적 성격이 짙은 양방향 소통으로, 공통된 목표를 가지고 공통된 언어로 서로 소통합니다. 또한 연구원의 일반적 목표달성 주기 계획보다는 조금은 더 타이트한 짧은 타임라인이 선호됩니다....
[학계 밖 경력 탐색 시리즈 04] 바이오헬스케어 전문 투자심사역(VC) 곽용도 박사 (Ph.D.) 인터뷰
읽음
곽용도 박사님 (Ph.D.)은 뇌질환과 생체리듬 간의 분자적 연결고리 연구로 박사학위를 마치고 산업계에서 다양한 뇌질환의 신약개발 연구를 하다가, 현재는 학계와 산업계의 경험을 바탕으로 투자업계에서 바이오 헬스케어 전문 벤처캐피탈리스트(Venture Capitalist)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과학적 전문성에 뿌리를 두고 다양한 영역으로 가지를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학계 밖 경력 탐색 시리즈 03] 파이펫을 놓은 연구자, MSL(Medical Science Liaison)의 세계 - 조인수 박사 (Ph.D.) 인터뷰
읽음
조인수 박사님(Ph.D.)은 10년 간 함께한 파이펫과 실험복, 연구실의 실험 과학자 여정에 마침표를 찍고, 글로벌 제약회사 메디컬팀(의학부) MSL(Medical Science Liaison)을 거쳐, 현재 글로벌 제약사 사노피 (Sanofi)의 특수질환 사업부에서 희귀질환, 신경계질환 메디컬팀 리드 Medical Lead직을 맡고 있습니다. 연구자들의 과학 커뮤니티 BRIC에서 ‘파이펫을 놓은 Ph.D의 리얼 의학부’를 연재했으며, 블로그를 통해 커리어 피버팅(Pivoting)한 전문가들의 직장 생활과 바이오/제약/헬스케어 산업을 위한 정보를 나누고 있습니다.
국내 동료심사(Peer review) 현황 및 연구 진실성 개선을 위한 방안 – 이효빈 대학연구윤리협의회 집행이사 인터뷰
읽음
피어 리뷰 주간 2022를 맞아, 대학연구윤리협의회 집행이사이자, 한국연구재단 연구윤리정보센터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계신 이효빈 박사님과 국내 동료심사 현황 및 연구 진실성 개선을 위한 방안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이효빈 박사님은 한국연구재단에서 발간한 <신진연구자를 위한 연구윤리 첫걸음>, <학술연구와 관련된 동료심사(Peer Review)의 윤리기준에 관한 연구> 등의 보고서에 저자로 참여하였습니다.
[학계 밖 경력 탐색 시리즈 02] 윤정인 (주)리윤바이오 공동 대표 인터뷰
읽음
유기화학자인 윤정인 대표님은 벤처 창업가로서 신약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리윤바이오를 설립하고, 현재 공동대표이자 CTO로 일하고 있습니다. ESC(변화를 꿈꾸는 과학기술인 네트워크) 이사 및 젠더다양성 위원회 부위원장으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학계 밖 경력 탐색 시리즈 01] 바이오·제약 전문 변호사, 이우진 박사 인터뷰
읽음
연구자들을 위한 ‘학계 밖 경력 탐색’을 주제로 다양한 전문가와 만나는 시리즈의 첫 인터뷰입니다. 이우진 박사는 신경과학 분야의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변호사로서 제약회사 및 병원에 법률 문제를 자문하고, 생명과학 및 제약 분야 전문 특허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우진 박사의 학계 밖 경력 탐색 경험과 조언을 확인하세요!
예일대 의과대학 박사후 연구원, 크리스티나 조와의 인터뷰 - 과학 커뮤니케이션과 연구 홍보의 중요성과 팁
읽음
과학 커뮤니케이션이 연구자에게 어떤 의미인지, 연구자가 자신의 분야에서 가시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지 이해하기 위해 예일대 박사후 연구원 크리스티나 조 박사를 인터뷰하였습니다. 박사와의 대화에서 자신의 연구에 대해 더욱 잘 알리고, 소통하는 팁을 얻어보세요!
출판사가 피어리뷰에서 포괄성을 보장하는 법: 힌다위 찰리 켈너(Charlie Kelner) 인터뷰
읽음
출판사가 어떻게 피어리뷰에서 포괄성을 촉진할 수 있는지 이해하고자 힌다위의 찰리 켈너(Charlie Kelner)와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찰리 켈너 (Charlotte(Charlie) Kelner)는 힌다위의 연구자 참여 매니저입니다. 찰리는 리뷰어가 가능한 최고의 경험을 갖도록 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힌다위의 피어 리뷰 프로세스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에게 최상의 결과를 보장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피어 리뷰의 포괄성과 다양성에 대한 Learned Publishing 저널 Pippa Smart의 편집장과의 인터뷰
읽음
저는 피파 스마트 (Pippa Smart)와 함께 편집자들이 피어 리뷰에서 다양성과 포괄성을 촉진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역할에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피파 스마트는 자신의 회사인 PSP Consulting을 운영하는 연구 출판 및 커뮤니케이션 컨설턴트입니다. 30년 이상 학술 및 연구 출판 분야에서 일한 피파는 이 분야에 예리하고 깊이 있는 이해를 발전시켜 왔습니다.
연구 동기부여 및 창의력 장벽 극복을 위한 팁
읽음
연구자로서 창의력과 동기부여의 장벽을 경험하는 것은 흔한 일입니다. 좋은 소식은 이들을 다루는 방법이 한 가지 이상 있다는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연구 장벽을 방지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기술을 살펴봅니다.

Pages

원고 거절 사유

에디티지 인기 서비스 바로가기

  • 논문 시각화 그래픽초록​ 짧은 제작기간 + 저널 맞춤 디자인

    자세히 보기>
  • 저널게재 성공은, 저널 포맷팅부터! 업계 최저가 + 빠른 납기 일정

    자세히 보기>
  • 한정기간 EVENT! SCI저널투고 패키지 40% 할인!

    지금 할인 받으러>
  • 학술 전용 AI도구 페이퍼팔 논문 작성부터 제출까지 한 번에!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