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Results 281 - 290 of 1430

검색결과

Free Content
Q&A 포럼

자기 표절 범위는 어디까지일까?

Language Korean 안녕하세요. 논문이 아닌, 자신이 출판한 서적의 내용(데이터, 방법론)를 가져다가 논문을 쓰는 경우도 자기표절에 해당하나요? 인용표시를 하면 문제는 안되나요? 출처를 명확하게 밝히는 경우 기존에 출판한 논문의 데이터를 일부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데이터를 사용할 때는 이번 연구가 지난 번 연구와는 분명히 다른 점이 있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하십시오. 두 연구는 살라미 분할(salami slicing) 로 간주되지 않는 별 ...

날짜: 2016년 01월 29일
Free Content
Q&A 포럼

에디터가 논문철회를 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요?

Language Korean 최근 Nature에 제 논문을 투고하였습니다. 그런데 에디터가 제 논문을 철회한다는 내용을 전달받았습니다. 철회해 달라고 제가 요청한 것도 아닌데 저널 쪽에서 철회를 해도 되는지, 그에 대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이 상황은 좀 특이한 사례인 것 같습니다. 에디터는 논문 게재를 거절(reject)하지 저자의 철회 요청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직접 철회(withdrawal)를 하지 않습니다. 혹시 논문을 함께 쓴 공동 저자 중에서 철 ...

날짜: 2016년 02월 01일
Registered Content
기사

과학의 잘못된 해석은 언론의 책임일까, 저널의 책임일까?

과학이 일반 대중에게 제시되는 모습은 누가 만들어 내는 걸까요? 그 대답은 바로 언론일 것입니다. 종종 언론은 과학의 이미지를 왜곡시킨 장본인이라는 비난을 받습니다. 지난해 Scott Adams가 자신이 과학을 신뢰하지 못하는 이유를 담은 “ 과학의 가장 큰 실패 ”라는 글을 블로그에 게재해 과학계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 글에서 가장 주목을 받은 구절은 바로 과학에 “언론이라는 날개 달린 원숭이”가 존재하며, 언론보도가 과학에 대한 불신감을 조성하는 ...

날짜: 2016년 02월 03일
Free Content
Q&A 포럼

이런 경우도 논문 분할에 포함될까요?

Language Korean 논문을 써서 투고를 하고 시간이 지나 게재까지 확정이 되어 in press상태입니다. 그래서 투고가 확정된 논문을 읽어 보던 중 이 실험 데이터를 통해 새로운 논문을 쓸수 있을거 같아서 논문까지 작성했습니다. 방법론은 비슷하고 사용한 재료도 비슷하지만, 서론과 결과, 결론이 다르긴 합니다. 이런 경우 논문 분할에 포함 되나요? Office of Research Integrity  (ORI)에 따르면 하나로 연결되는 연구를 여 ...

날짜: 2016년 02월 05일
Free Content
기사

정오표(Erratum), 우려 표명(expression of concern), 게재 취소(Retraction)

이 글은 Wolters Kluwer의 저자 뉴스레터 Author Resource Review  에 게재된 글을 허가를 받아 재수록한 것입니다. 이 글의 내용은 Phil Daly와 Ginny Pittman이 공동으로 작성했습니다. Phil Daly는 <Wolters Kluwer Health> 의 선임 편집자로, STM 분야 편집, 편집관리, 출판 분야에서 25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습니다. Phil은 생물물리학 전공으로 이학사(우등졸업) 학위 ...

날짜: 2016년 02월 05일
Free Content
Q&A 포럼

저널 수수료는 논문의 출판 여부와 상관없이 지불해야 할까요?

Language Korean 논문 출판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대부분 저널에서 저자가 비용을 지급해야 한다는 것 까지는 알고 있는데, 논문이 이후에 게재 승인되느냐와 관계 없이 제출하는 것 자체로나 리뷰를 받는 것 만으로도 비용을 지급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저널에 출판할 때 대부분 저자가 비용을 지급해야 한다는 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전통적인 구독형 저널들은 독자들이 저널을 구독하기 위해 비용을 지급하고, 저자가 지급해야 하는 비용 ...

날짜: 2016년 02월 11일
Free Content
Q&A 포럼

컨퍼런스 포스트 발표 저자명단에 공동저자가 아닌 동료의 이름을 포함시켜도 무방할까요?

Language Korean 컨퍼런스 포스트 발표후 원고를 타켓저널에 투고하고자 합니다. 포스트 발표시에 공동저자 2명 외에 추가로 동료의 이름을 포함시켜 함께 학회에 참가하고자 합니다. 차후 원고를 타켓저널에 투고할 때, 당연히, 그 동료는 공동저자에서 배제 될 것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학회 발표든 저널 논문이든 저자권 가이드라인은 똑같습니다. ICMJE 가이드라인 에 따르면, 논문에 기여한 사람이 “저자”로 이름을 올리려면 다음에 네 가지 요건 ...

날짜: 2016년 02월 06일
Free Content
Q&A 포럼

아직 고유번호(reference number)가 없는 논문을 다른 저널에 투고해도 될까요?

Language Korean 3주 전 한 저널에 원고를 투고했습니다. 투고한 다음 주가 되도록 논문의 고유번호(reference number)와 편집자가 배정되지 않았기에 편집자에게 제 원고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알려달라는 이메일을 보냈습니다. 저널의 편집장으로부터 바로 답장이 왔는데, 제 원고에 더 잘 맞는 것 같은 다른 저널이 있다며 추천해 주는 내용이었습니다. 그런데 동시에 같은 저널로부터 제가 투고한 원고의 수정을 요청하는 이메일이 왔습니다. 그 ...

날짜: 2016년 02월 15일
Free Content
기사

사례연구: 익명으로 논문을 출판해야 하는 경우

사례: 한 저자가 저널에 논문을 투고했고, 이 논문은 피어리뷰 단계로 넘어갔습니다. 그런데 이 단계에서 논문이 민감한 주제를 다루고 있기에 커리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논문을 철회하라는 동료의 조언이 있었습니다. 저자는 편집자에게 철회 요청을 했지만, 편집자의 답은 이미 피어리뷰가 거의 완료된 상태라 이 단계에서 논문을 철회한다면 저널과 피어리뷰어의 시간과 자원을 낭비한 셈이라는 것이었습니다. 또 올바른 출판 관행 역시 해치는 조처라고 했습니다. ...

날짜: 2016년 02월 18일
Free Content
기사

국제협력 및 연구개발 투자 동향: 보고서 개괄

세계적으로 과학과 기술은 크나큰 발전을 이루고 있습니다. 개발도상국들은 연구개발 투자와 기술 진보, 연구 성과, 연구 지원 활동 측면에서 눈에 띄게 빠른 속도로 선진국들을 따라잡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의 구조를 파악하고 세계 최신 동향을 이해하고자 2016년 1월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은 <Science& Engineering Indicators 2016> 을 작성하여 발표하였습니다. 연방 기관들은 이 상세한 보고서 자료를 기반으 ...

날짜: 2016년 02월 19일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