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Results 261 - 264 of 264

검색결과

Free Content
기사

미생물 학명의 올바른 표기법

학명은 명확한 식별을 위한 라벨 같은 것으로, 정보가 담겨 있는 창고를 열 수 있는 ‘ 열쇠 ’ 와도 같습니다. 검색 엔진에 어떤 유기체의 학명을 검색해서 얻을 수 있는 정보와 보통 상용되는 이름을 검색해서 나오는 정보를 비교해 보면 실제로 학명을 열쇠에 비유하는 것이 특히 적절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전에 일반적인 유기체의 학명에 관한 표기법 문제 몇 가지 를 다루었던 기사가 있었는데, 이번 기사는 미생물에 초점을 맞추어 보려고 합니다. 미생물 ...

날짜: 2018년 09월 25일
Free Content
Q&A 포럼

연구 논문의 참고 문헌 작성하는 법

Language Korean 근거 기반  연구 논문에서   참고문헌 목록은   논문에 인용된 순서대로 나열해야 하나요, 아니면 알파벳 순서대로 나열해야 하나요?   연구논문 맨 마지막에 들어가는 참고 문헌 목록  작성 법이 궁금하시군요. 이 부분은 논문이나 연구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아니라, 논문을 제출하고자 하는 저널에 따라 달라집니다. 각 저널이 제시하는 요구 조건에 따라 참고문헌이   번호순으로 작성되어야 할 수도 있고 알파벳 순서대로 작성 ...

날짜: 2018년 11월 19일
Free Content
기사

내가 석사 논문을 출판하기로 결정한 이유

저는 석사 학위 논문 을 출판했습니다(자세한 내용은 여기 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ScienceOpen 팀에게 감사드립니다. 이 놀라운 팀의 도움으로 논문을 원활히 출판할 수 있었습니다.  논문을 출판하려 했던 이유 중 하나는, 솔직히 말해 커리어 후반부에 가면 누구도 연구 논문 성적은 신경 쓰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출판물은 신뢰도를 높이죠. 오늘날 석사 학위는 비교적 흔하지만, 출판물이 있다면 취업 활동에서 다른 후보자와 차별화할 수 있습니다. ...

날짜: 2018년 12월 21일
Free Content
Q&A 포럼

용인되는 수준의 표절률은 몇 퍼센트까지인가요?

Language Korean 용인되는 수준의 표절률은 몇 퍼센트까지인가요? 논문에서 어느 정도의 표절률까지 용인할 수 있느냐에 관한 명확한 규칙이나 합의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관습적으로 보면 표절율이 15% 이하이면 저널에서 무난히 받아들여질 수 있고, 25% 가 넘는 경우 표절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간주합니다. 하지만 표절률이 15% 정도인 경우라도, 원문과 일치하는 부분이 연속적인 문장이라면 중대한 문제 소지가 있는 표절로 간주합니다. 반면, ...

날짜: 2018년 04월 18일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