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그래픽 초록 만드는 방법 (그래픽 초록 예시 포함)
저널에서는 논문과 함께 그래픽 초록(graphical abstract)이나 시각적 초록(visual abstract)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쇄물에서 디지털 출판물로 전환되어 감에 따라 학술 콘텐츠의 형태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죠. 저널 및 출판사는 검색 엔진에서의 검색 접근성, 색인화, 배포, 독자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그래픽 초록 같은 웹 친화적인 요소를 논문에 포함시키려 하고 있습니다. 전문가에게 그래픽 초록 의뢰하기 그래픽 초록은 연 ...
그래픽 초록 디자인 시 흔히 저지르는 실수, 어떻게 피할까?
많은 국제 저널에서 그래픽 초록을 요청하고 있지요. 연구 논문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그래픽 초록을 설계하는 일이 벅차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영향력 있는 그래픽 초록을 설계할 때 무엇이 필요한지 헷갈려 하는 연구자 분들이 많죠. 이에 이번 아티클에서는 그래픽 초록 설계 시 흔히 저지르는 실수 다섯 가지를 살펴보고, 이를 피할 수 있는 팁을 공유해 드리려 합니다. 그래픽 초록 설계 시 흔히 저지르는 실수들 전 세계의 저자들이 연구의 가시성 강화를 ...
[에디터의 시선] 연구 논문에 대한 리뷰어 피드백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지난 아티클 ‘ [에디터의 시선] 논문 투고 비하인드- 저널에서는 어떤 과정으로 논문을 심사할까 ’와 ‘ [에디터의 시선] 저널에서는 무엇을 원할까? 저널 선택 시 주요 고려 사항 ’에서는 저널이 원고를 심사할 때 중심적으로 평가하는 부분과 심사 진행 과정을 살펴봤는데요. 그렇다면 리비전(revision, 수정) 요청을 받은 경우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이번 아티클에서는 리비전 과정에 어떻게 접근해야 하며, 리뷰어의 피드백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대응 ...
[인터뷰] AI의 효율성 + 인간의 전문성 = 논문 심사 과정의 진화
다양한 인공지능(AI) 도구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고 보편화되면서 연구 및 학술 출판 분야에서 AI의 활용과 그 영향력에 대한 논의 가 진행되고 있죠. 여러 의견이 있지만, 학술 출판계에서 AI의 잠재력 을 무시할 수는 없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AI에만 의존한다고 해서 모든 것이 해결되지는 않죠. AI에 의존하는 대신 기술의 힘을 활용해 인간의 통찰력을 보완 한다면 넘쳐 나는 교정 업무와 피어 리뷰 체계에 내재한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도 있 ...
그래픽 초록을 통해 저널 독자 유지율을 향상하는 법
연구 논문을 작성하며 이런 생각이 든 적 있나요? ‘ 사람들이 얼마만큼의 시간을 내서 내 논문을 읽을까?’ 독자 유지율(reader retention)을 확보하는 건 과학자, 연구자가 직면하는 주요한 과제 중 하나입니다. 짧은 형식의 콘텐츠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연구자들은 ‘내 논문이 마땅히 받아야 할 관심을 얼마나 받을 수 있을지’ 우려하게 되죠. 그래서 연구 출판계에서 그래픽 초록을 주목하는 것입니다. 한 연구 에 따르면, 일반 텍스트 20 ...
데스크 리젝을 유발하는 흔한 논문 양식 오류 피하는 법 (저널별 양식 예시)
거절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죠. 개인적 삶에서든, 연구 논문을 출판하는 경우에든 모두 마찬가지입니다. 오랜 시간을 들여 작성한 소중한 논문의 출판을 목표로 한 저널에서 거절당한다면 큰 좌절감을 느낄 수 있을 겁니다. 비롯, 논문 거절은 연구 여정의 일부이기는 하지만, 거절 가능성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팁도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정확한 원고 양식 지정, 즉 논문 포맷팅이죠! 이번 아티클에서는 데스크 리젝(desk rejection)을 피하는 ...
점점 더 많은 저널이 그래픽 초록 제출을 의무화하는 이유
지난 수년 내 연구 논문을 게재 본 적이 있다면 그래픽 초록 제출을 요구하는 저널을 여럿 접해 보셨을 겁니다. 심지어 그 수는 늘어나고 있죠! 그런데 저널들은 왜 그래픽 초록을 요구하는 걸까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과학 커뮤니케이션 예전에는 과학 연구가 주로 과학자, 연구자, 학자들만의 전유물이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이후 시대에는 일반 대중과 비전문가까지 과학에 점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였죠. 다시 말하면, 저널이 더 넓은 전 세계 독자층을 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