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인터뷰] AI의 효율성 + 인간의 전문성 = 논문 심사 과정의 진화
다양한 인공지능(AI) 도구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고 보편화되면서 연구 및 학술 출판 분야에서 AI의 활용과 그 영향력에 대한 논의 가 진행되고 있죠. 여러 의견이 있지만, 학술 출판계에서 AI의 잠재력 을 무시할 수는 없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AI에만 의존한다고 해서 모든 것이 해결되지는 않죠. AI에 의존하는 대신 기술의 힘을 활용해 인간의 통찰력을 보완 한다면 넘쳐 나는 교정 업무와 피어 리뷰 체계에 내재한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도 있 ...
그래픽 초록을 통해 저널 독자 유지율을 향상하는 법
연구 논문을 작성하며 이런 생각이 든 적 있나요? ‘ 사람들이 얼마만큼의 시간을 내서 내 논문을 읽을까?’ 독자 유지율(reader retention)을 확보하는 건 과학자, 연구자가 직면하는 주요한 과제 중 하나입니다. 짧은 형식의 콘텐츠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연구자들은 ‘내 논문이 마땅히 받아야 할 관심을 얼마나 받을 수 있을지’ 우려하게 되죠. 그래서 연구 출판계에서 그래픽 초록을 주목하는 것입니다. 한 연구 에 따르면, 일반 텍스트 20 ...
데스크 리젝을 유발하는 흔한 논문 양식 오류 피하는 법 (저널별 양식 예시)
거절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죠. 개인적 삶에서든, 연구 논문을 출판하는 경우에든 모두 마찬가지입니다. 오랜 시간을 들여 작성한 소중한 논문의 출판을 목표로 한 저널에서 거절당한다면 큰 좌절감을 느낄 수 있을 겁니다. 비롯, 논문 거절은 연구 여정의 일부이기는 하지만, 거절 가능성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팁도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정확한 원고 양식 지정, 즉 논문 포맷팅이죠! 이번 아티클에서는 데스크 리젝(desk rejection)을 피하는 ...
점점 더 많은 저널이 그래픽 초록 제출을 의무화하는 이유
지난 수년 내 연구 논문을 게재 본 적이 있다면 그래픽 초록 제출을 요구하는 저널을 여럿 접해 보셨을 겁니다. 심지어 그 수는 늘어나고 있죠! 그런데 저널들은 왜 그래픽 초록을 요구하는 걸까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과학 커뮤니케이션 예전에는 과학 연구가 주로 과학자, 연구자, 학자들만의 전유물이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이후 시대에는 일반 대중과 비전문가까지 과학에 점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였죠. 다시 말하면, 저널이 더 넓은 전 세계 독자층을 확보 ...
오픈 액세스 저널 찾는 법 – 신진 연구자를 위한 가이드
2025년 10월 20일부터 26일까지 진행되는 2025 오픈 액세스 주간(Open Access Week 2025) 은 학계가 한자리에 모여 혼란한 시대에 지식 공유의 방향을 재고하는 계기가 되었는데요. ‘우리의 지식은 누구의 것인가?(Who Owns Our Knowledge?)’ 라는 주제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만큼, 지식은 누구의 소유인지 고민하는 동시에 지식이 올바른 플랫폼에서 공유되도록 보장하는 것을 주제로 담론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20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