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Results 81 - 90 of 334

검색결과

Free Content
기사

노벨상 facts part 4: 노벨상에 숨은 뒷이야기

앞서 다룬 노벨상 인포그래픽에서는 노벨상의 역사를 보여드리고, 수상자들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을 공유하고, 특별한 수상자 몇몇을 다루었습니다. 마지막 인포그래픽을 통해 노벨상 후보 선정, 상금, 노벨상 시상식에 대한 더 많은 뒷이야기를 알려드립니다.   다른 시리즈 기사도 읽어보세요! 노벨상 Facts Part 1: 알프레드 노벨의 유산, 노벨상의 시작 노벨상 Facts Part 2: 분야별, 나라별 노벨상 수상자 알아보기 노벨상 Facts Part 3: ...

날짜: 2015년 10월 14일
Free Content
기사

오픈액세스 기본 알아보기 (무료 PDF 다운)

신진 연구자의 경우 자신의 논문을 출판하고 연구에 대해 알리는 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런점에서 오픈액세스 출판은 최대의 노출로 연구자들에게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오픈 액세스는 정확히 무엇일까요? 아래 인포그래픽을 통해서 오픈 액세스에 관한 기본적인 사실을 함께 알아보세요! PDF 파일로도 무료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This infographic was created by Jayashree Rajagopalan. 신진 연구자의 경우 자 ...

날짜: 2015년 10월 23일
Free Content
기사

[린다우 노벨상 수상자 회의] 수상자들로부터 ‘교육받고, 영감을 얻고, 소통하는’ 기회

  Heikensten 박사의 이 말만큼 린다우 노벨상 수상자 회의의 가치를 잘 나타낼 수도 없을 것입니다. 노벨상 은 가장 명망 높은 과학상이자 많은 젊은 과학자들에게는 그들이 꿈꾸는 성공의 집약체이기도 합니다. 젊은 과학자에게 노벨상 수상자는 먼 곳에서 바라볼 수밖에 없는 존재로 느껴집니다. 만약 노벨상 수상자들을 만날 기회뿐 아니라, 그들과 커피 한 잔을 나누며 연구에 대한 생각들을 나눌 기회가 주어진다면 어떨까요? 매년 열리는 린다우 노벨상 수상 ...

날짜: 2015년 10월 26일
Free Content
기사

학제간 연구(Interdisciplinary research): 과제, 인식, 앞으로 나아갈 길

1970년대까지 연구는 학제 내로 국한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전에는 기초연구에 주력했던 연구 경향이 기후변화, 식량 위기와 물 위기, 공중보건 등의 더욱 큰 과제로 변화함에 따라, 연구는 학제의 경계를 뛰어넘어 학제간 연구 (interdisciplinary research)로 나아가게 되었습니다. 학제간 연구는 기존의 학제의 한계를 넘어서는 것으로, 학제간 연구를 통해 단일 학제 연구로는 풀 수 없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 여러 전문가의 믿 ...

날짜: 2015년 11월 16일
Free Content
기사

저자, 리뷰어, 편집자가 말하는 피어리뷰: Taylor & Francis 보고서 살펴보기

학자들은 대부분 피어 리뷰가 연구를 양적으로 측정하는 믿을 만한 척도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때로 피어리뷰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곤 합니다. 피어리뷰에 생길 수 있는 편향, 출판 후에 이루어지는 피어리뷰의 효율성 등이 예가 될 것입니다. 이런 여러 가지 이슈들에서 피어리뷰를 보는 관점은 저자, 리뷰어, 저널 편집자마다 크게 다릅니다. Taylor & Francis는 피어리뷰에 대한 글로벌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2015년 최대 규모의 국제 연구 조사 ...

날짜: 2015년 11월 20일
Registered Content
기사

저자권(Authorship): 진화하는 개념

 [이 글은 Wolters-Kluwer 의 저자 뉴스레터인 Author Resource Review 에 실렸던 것을 협의 후 재가공한 것입니다.] 과학, 의학 출판에서 저자권(authorship)의 역할과 정의는 최근 들어 더욱 복잡해졌습니다. 사회과학, 인문학, 법학 등 다른 형태의 출판에서는 공동저자가 3명, 많아도 4명에 그칩니다. 하지만 과학 연구와 보도에 있어서 ‘저자권’은 이제 하나의 범주로 보기에는 곤란합니다. 이 말은, 실제로 논문을 집필 ...

날짜: 2015년 12월 03일
Free Content
기사

[인포그래픽] 그림으로 보는 피어리뷰 결과

해당 이미지를 통해 저널 논문 투고 후에 진행되는 피어리뷰 과정에서 연구자가 예상할 수 있는 결과를 한 눈에 살펴보겠습니다.  해당 이미지를 통해 저널 논문 투고 후에 진행되는 피어리뷰 과정에서 연구자가 예상할 수 있는 결과를 한 눈에 살펴보겠습니다.  journal peer review 저널거부 rejection 논문거절 피어리뷰 저널투고 저널컨설팅 논문컨설팅 재미로 보는 기사 투고 및 피어리뷰 Free Short CCMKT_6_Infographic_ ...

날짜: 2016년 01월 18일
Registered Content
기사

불분명한 논문 철회 알림(Retraction notices)에 대한 논쟁

논문 철회(Retraction)는 어떤 논문의 신빙성에 의문이 제기될 때 이를 알리는 수단입니다. 논문 철회는 과학계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지만, 논문 철회 알림(Retraction notices)에 대해서는 그렇게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합니다. 저널들은 논문 철회에 대해 불분명하고 구체적이지 못한 방식으로 저자에게 이를 알린다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저널마다 논문 철회 알림 방식은 다르지만 가장 흔한 논문 철회 알림은 “이 논문은 저자들에 의해 철회되 ...

날짜: 2016년 01월 19일
Registered Content
기사

과학의 잘못된 해석은 언론의 책임일까, 저널의 책임일까?

과학이 일반 대중에게 제시되는 모습은 누가 만들어 내는 걸까요? 그 대답은 바로 언론일 것입니다. 종종 언론은 과학의 이미지를 왜곡시킨 장본인이라는 비난을 받습니다. 지난해 Scott Adams가 자신이 과학을 신뢰하지 못하는 이유를 담은 “ 과학의 가장 큰 실패 ”라는 글을 블로그에 게재해 과학계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 글에서 가장 주목을 받은 구절은 바로 과학에 “언론이라는 날개 달린 원숭이”가 존재하며, 언론보도가 과학에 대한 불신감을 조성하는 ...

날짜: 2016년 02월 03일
Free Content
기사

국제협력 및 연구개발 투자 동향: 보고서 개괄

세계적으로 과학과 기술은 크나큰 발전을 이루고 있습니다. 개발도상국들은 연구개발 투자와 기술 진보, 연구 성과, 연구 지원 활동 측면에서 눈에 띄게 빠른 속도로 선진국들을 따라잡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의 구조를 파악하고 세계 최신 동향을 이해하고자 2016년 1월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은 <Science& Engineering Indicators 2016> 을 작성하여 발표하였습니다. 연방 기관들은 이 상세한 보고서 자료를 기반으 ...

날짜: 2016년 02월 19일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