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연구자를 위한 에디티지 무료 온라인 강의 맛보기 (패러프레이징, 논문 시제)
연구자를 위한 학술 논문 교정/번역/저널 투고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에디티지는 매달 진행하는 영어 논문 작성법 관련 무료 온라인 강의, 그룹 단위 지원 시스템 EFL(Editage For Labs), 온오프라인 무료 워크숍 등 다양한 연구자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에디티지가 진행한 연구자를 위한 온라인 강연의 맛보기를 소개합니다. 지난 강의를 놓쳐서 아쉬우시다면, 걱정마세요. 온라인 강의는 매월 진행됩니다. 영문 논문 작성법을 ...
에디티지 협력, <연세로운 포닥생활: 박사 후 연구원 연구경력 가이드북> 발간
연세대학교는 독립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훈련하는 과정 중에 있거나, 향후 연구기관에 젊은 과학자로 취업하기를 원하는 포닥 연구자들의 현명하고 슬기로운 포닥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입문 가이드북 < 연세로운 포닥생활: 박사 후 연구원 연구경력 가이드북 > 을 발간하였습니다. 에디티지 인사이트가 함께 협력한 이번 가이드북에서는 연구자들의 포닥 생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글과 노하우, 선배 연구원들의 생생한 후기가 모여 있습니다. ‘ 할까말까 ...
트랜스젠더 박사과정 학생의 하루
동료들과 구별되게 만드는 문제들을 자주 겪으며, 불안하고 불쾌해져 조용한 곳에서 휴식을 취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Researcher stories 연구자스토리 LGBTQ+ ...
에디티지 3월 무료 온라인 강의 맛보기: 오픈액세스 저널 투고 및 약탈적 저널을 피하는 방법
연구자를 위한 영어 논문 교정, 학술 번역,저널 투고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에디티지는 매달 연구자 여러분들을 위한 다양한 무료 온라인 교육 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3 월에는 뉴욕주립대학교 곤충학 및 화학 생태학 박사이자, 저널 Integrative Zoology 의 선임 에디터 Jacob D Wickham 박사가 " 오픈액세스 저널 투고 및 약탈적 저널을 피하는 방법"이라는 주제로 오픈액세스 저널 투고의 이점, ...
트랜스젠더, 대학원에서의 기억
* [편집자 주] 이 글을 필자의 요청으로 익명으로 발행되었습니다. 저는 대학원에 입학을 한 후에야 비로소 트랜스젠더로, 논바이너리로 정체화를 하고, 조교비와 장학금을 긁어 모아 의료적인 트랜지션을 진행하였습니다. 때문에 대학원 생활의 절반 가량은 꽤나 빈곤했습니다. 바꿀 때가 한참은 지난 구형 휴대전화를 최저요금제로 써 가며, 식비를 아끼고 취미를 없애가며 극단적으로 허리를 졸라맨 생활을 몇 년 간 유지했습니다. 그 기간 동안은 거의 학교에 살면서 내 ...
[에디티지 & SAGE 웨비나] 의학 글쓰기에서의 일반적인 오류와 SCI 의학 저널 투고- 4월 26일
4 월 26 일에 에디티지와 세계적인 학술 저널 출판사 세이지 (SAGE) 출판사가 공동 진행하는 무료 온라인 강의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이 웨비나에는 에디티지의 Song Eunyeong 박사와 세이지 저널 편집장 Lingling Tian 박사가 연사로 참여합니다. 날짜: 2003 년 4 월 26 일 (수) 오후 2:30 (한국 시간) 주제: 1부- 의학 글쓰기에서 한국 저자들이 흔히 범하는 오류 2부- SC ...
임신과 연구의 균형 잡기: 여성 연구자들이 직면한 과제
The top five challenges for pregnant scientists Alone in the lab Pregnant researchers often get no lab ...
연구 출판 분야에서 인공지능(AI)이 사람을 대체할 수 있을까?
Else, H. (2021) ‘Tortured phrases’ give away fabricated research papers. Nature 596, 328–329 (2021) doi: ... artificial intelligence AI AI for researchers 인공지능 ChatGPT ChatGPT논문작성 논문작성 과학논문작성 학술논문 학술논문교정 이미지조작 논문표절 ...
그래픽 초록 vs 인포그래픽: 연구를 전달하기 위해 무엇을 사용해야 할까?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그래픽 초록 (graphical abstract)과 인포그래픽 (infographic)이 기본적으로 같을 것입니다. 둘 다 연구에 포함할 수 있는 시각적 요소이며, 정보를 제공하고, 그것을 보는 사람들의 이해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전반적으로 이 두가지는 비슷하게 보입니다. 하지만 과학 또는 학술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그래픽 초록과 인포그래픽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그래픽 초록과 인포그래픽은 목적 ...
박사 과정에서 습득하는 유용한 기술 6가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학계 밖에서도 활용 가능한 다양한 기술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networking skills for researchers 박사과정 학생 경력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