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You are here
2019년 엘스비어 보고서에 따르면, 평균적으로 연구자들은 논문을 검색하는 데 일주일에 4 시간이 넘는 시간을 소비하고 5 시간 이상을 논문 읽기에 투자합니다. 또 문헌 검색을 하는 데에 점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비하는 반면, 논문을 읽는 데에 드는 시간은 줄어들었습니다. 연구자들의 논문 및 문헌 검색과 읽기 습관을 인포그래픽으로 살펴보고, 여러분을 위한 논문 검색 최적화 방법을 찾아보세요!
최근 한국 연구자들의 국제 학술지 발표 논문 12편이 참가자 동의와 IRB 승인 등에 관한 연구 윤리 위반으로 철회되었습니다. 여러분은 연구 윤리에 관해 잘 알고 계신가요? 자신의 연구가 윤리 원칙을 잘 준수하고 있는지 궁금하신가요? 지금 간단히 확인해 보세요!
코로나 19가 주요 공중보건 비상사태로 떠오른 이후, 연구자들은 병원체인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발생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이는 감염병의 역학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잠재적 약물의 표적 식별과 백신 설계에도 매우 중요합니다. 이 영상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인체 감염 기제와 그 과정에 관여하는 주요 분자를 간략히 보여줍니다.
이 인포그래픽에 포함된 정보는 코로나 19 관련 연구진들을 위한 R Concept(캑터스 커뮤니케이션즈 프로그램)의 고유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것입니다. 정기적인 문헌 업데이트를 받으시려면 지금 등록하세요!
열이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막을 수 있을까요? 모기에 물리면 바이러스가 전파될까요? 코로나19 대유행과 바이러스가 어떻게 확산되는지에 대한 많은 추측이 있습니다. 인포그래픽을 통해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둘러싼 추측과 진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