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Results 111 - 120 of 1430

검색결과

Free Content
Q&A 포럼

논문 작성을 어떻게 해야 될지 모르겠습니다.

Language Korean 논문 제목을 예를 들어 어떤 사고 발생 시 국가의 대처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이라는 것으로 정한다면 논문이 아닌가요? 잘 모르겠습니다. 또, 서론도 어떻게 시작을 하는 것이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사실 정확히 질문자님의 논문을 보지 않고서야 말씀해주신 타이틀이 적당한가를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한가지 제안을 드리자면 전체 논문을 다 완성하신 후에 타이틀을 가장 마지막으로 작성을 하는 것입니다. 타이틀을 작성하면 ...

날짜: 2014년 09월 15일
Free Content
기사

출판 후 피어 리뷰와 법적 분쟁: 과학자들은 공개적인 의견 표명을 삼가야 할까?

최근 출판 후 피어 리뷰를 다루는 온라인 익명제 게시판 PubPeer가 명예훼손으로 고소를 당한 사건으로 인해 과학계가 떠들썩했습니다. 고소인은 디트로이트의 웨인 주립대학 소속 암 연구원 패즐룰 사카르 박사로, 500편이 넘는 논문의 저자이자 미국 국립보건원에서 1,227,000달러 이상의 지원금을 받고 있는 주임 연구원이었습니다. 익명의 사용자가 작성한 부정적인 의견 때문에 그는 직장을 잃게 되었고, 따라서 익명 사용자의 신원을 밝히고 그를 상대로 법 ...

날짜: 2014년 12월 12일
Free Content
Q&A 포럼

저널의 표절 검사를 통과하기 위해 논문의 어떤 부분을 더 수정해야 할까요?

Language Korean SCI 저널에 논문을 투고했는데, 표절 검사에서 표절률이 19%로 나와 거절당했습니다. 이후 최대한 수정했는데, 저널의 표절 검사를 통과하기 위해서 어떤 부분을 더 수정해야 할까요? 질문자님의 고민이 이해 됩니다.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연구자가 영어 텍스트를 자신의 말로 새롭게 표현하려면 어려운 점이 많지요. 논문 표절 검사 이후 논문을 수정했으니, 분명 표절률이 낮아졌을 것입니다. 그래도 불안하시다면, 논문 표절 검사를 제 ...

날짜: 2014년 12월 19일
Free Content
기사

저널 알아보기: BBRC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범위 BBRC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는 생화학, 생물물리학, 세포생물학, 발생생물학, 면역학, 분자생물학, 신경생물학, 식물생물학, 단백체학 등 다양한 생물학 분야에서 시의 적절하고 중요도가 높은 실험 결과의 빠른 보급을 사명으로 하는 국제 저널입니다. 출판주기 주간 출판사 Elsevier (Academic Press 산하) 편집자 정보   편집장:  E. Carafoli; 편집위 ...

날짜: 2014년 12월 22일
Free Content
기사

학술 글쓰기를 위한 영어: 연구자들을 위한 사전 추천

글쓰기를 위해 가장 중요한 자질은 적합한 단어의 사용입니다. 학자와 연구자들은 수준 높은 어휘를 구사합니다. 한 분야의 전문용어에 숙달하려면 수 년이 걸립니다. 그런데, 언어 사용의 문제에 있어 학자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은 어떤 분야의 특수한 용어가 아니라, 주제나 분야와 무관하게 학술 글쓰기 전반에서 널리 쓰이는 단어에서 옵니다. 연구자들을 위한 사전 추천으로 옥스포드 학습자용 학술영어사전(Oxford Learner’s Dictionary of A ...

날짜: 2014년 12월 24일
Free Content
Q&A 포럼

주저자(lead author)와 공동저자(co-author)는 무슨 의미인가요?

Language Korean 논문의 주저자(lead author)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요건을 갖추어야 하나요? 공동저자(co-author)란 무엇입니까? 이 두 가지 용어들이 정확히 어떤 뜻인지 알고 싶습니다. 여러 명의 저자가 존재하는 연구 논문에서, 한 명의 저자가 주저자를 맡게 됩니다. 주저자(lead author)의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원고 전체에 대한 책임을 맡을 것 주로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즉 다른 저자들 ...

날짜: 2014년 12월 26일
Free Content
Q&A 포럼

논문 투고 이후에 논문의 오류를 수정할 수 있을까요?

Language Korean 원고를 수정해서 다시 제출했는데, 제출 후에야 원고에 실수가 있다는 점을 알아차렸습니다. 한 문장을 다시 수정하고 싶습니다. 제 논문이 승인될지 여부는 알 수 없는데, 이 오류를 고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조언 부탁 드립니다. 저널 투고 시스템 중에는 투고한 파일을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곳도 있습니다. 접수 페이지에 들어가 접수 번호를 클릭해 보십시오. 바로 수정할 수 있거나, 아니면 기존 파일을 수정한 파일로 ...

날짜: 2014년 12월 29일
Free Content
기사

심리학 실험 보고서 작성 시 잊지 말아야 할 5가지

지난 20년간 실험심리학 보고에 있어 상당한 발전이 이루어졌는데, 이는 특히 미국심리학회에서 발간한 < 심리학 실험의 보도기준 > 덕분이기도 합니다. 심리학 실험의 보고서 작성 시 빠뜨리거나 불완전하게 기술하는 경우가 많지만 매우 중요하고, 특히 실험의 재현 가능성을 위해서 필수적인 요소 들을 아래에서 살펴보겠습니다. 1. 피험자들이 왼손잡이인지, 오른손잡이인지, 뇌기능이 정상인지, 항정신성 약물을 복용하는지, 정상 시력을 가졌는지 또는 교정 ...

날짜: 2015년 01월 02일
Free Content
기사

피어 리뷰 조작: 저자들이 피어 리뷰어를 추천하는 관례는 계속되어야 할까?

최근 < 효소 억제 및 의료화학 저널 (The Journal of Enzyme Inhibition and Medicinal Chemistry)> 그리고 < 바이오메드 센트럴 (BioMed Central)> 저널의 저자들이 논문 출판을 위해 피어 리뷰 시스템을 조작한 사건이 발생해 피어 리뷰 조작이 과학출판계의 이슈로 떠올랐습니다. 피어 리뷰는 과학 출판물의 품질 관리를 보장하는 시스템이라는 신뢰 하에 여러 명망 높은 저널에서 채택하 ...

날짜: 2015년 01월 05일
Free Content
기사

2014년 학술 출판 전문가들이 전했던 핵심 조언

2014년 한 해는 학술 출판에 있어 새로운 경향의 도입, 의미 있는 발견과 혁신 등 흥미진진한 일들이 가득했습니다. 변화의 시대를 맞아 <에디티지>에서는 출판 산업에 종사하는 전 세계의 전문가들의 인터뷰를 일 년 내내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인터뷰를 통해 출판 산업에 대한 지평이 확장되었을 뿐 아니라, 업계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흥미로운 통찰 역시 엿볼 수 있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이루어진 전문가 인터뷰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 ...

날짜: 2015년 01월 07일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