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국내 의료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 결과 – 논문 작성 시 어려움과 AI 활용 현황
의학 분야에서 국제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는 과정은 단순한 학문적 성취를 넘어 환자 진료의 질에도 영향을 미치죠. 하지만 실제로 임상의가 연구와 출판을 병행하는 과정에는 다양한 장벽이 존재합니다. 에디티지는 최근 국내 의료 전문가 3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는데요. 그 결과는 이러한 현실을 실제적인 수치로 확인해 주었습니다. 동시에, 인공지능(AI)의 활용 현황과 관심 있는 교육 분야에 관해서도 파악할 수 있었죠. 레지던트와 초기 경력 연구자부터 ...
임상 시험에서 대조군(Control Group)의 뜻과 목적, 예시
임상시험은 대개 새로운 약물이나 치료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하는 시험을 포함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통제된 조건과 실험 조건 모두에서 환자군을 테스트해야 하지요. 이를 대조군(control group)과 실험군(치료군)이라고 합니다. 대조군이란? 대조군의 뜻 모든 비교 연구에서 대조군은 결과 비교의 기준이 되는 그룹입니다. 예를 들어 신약이나 치료법을 시험할 때 대조군에 위약이나 기존 약물/치료법이 투여됩니다. 신약을 투여 받는 그룹이 ‘실험군 ...
점점 더 많은 저널이 그래픽 초록 제출을 의무화하는 이유
지난 수년 내 연구 논문을 게재 본 적이 있다면 그래픽 초록 제출을 요구하는 저널을 여럿 접해 보셨을 겁니다. 심지어 그 수는 늘어나고 있죠! 그런데 저널들은 왜 그래픽 초록을 요구하는 걸까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과학 커뮤니케이션 예전에는 과학 연구가 주로 과학자, 연구자, 학자들만의 전유물이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이후 시대에는 일반 대중과 비전문가까지 과학에 점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였죠. 다시 말하면, 저널이 더 넓은 전 세계 독자층을 확보 ...
2025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에디티지가 만난 연구자들!
지난 9월 29일부터 10월 2일까지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는 한국분자 ∙세포생물학회 국제학술대회(KSMCB 2025 International Conference) 가 개최되었습니다. 이번에도 에디티지 는 연구자 여러분을 만나기 위해 제주도로 날아갔죠! 에디티지는 이번에도 연구자 여러분이 페이퍼팔과 그 기능들을 더 자세히 살펴볼 수 있도록 대형 스크린을 설치해 가시성을 높였습니다. 부스를 방문한 연구자 여러분은 물론이고, 부스를 지나쳐 가는 연구자 ...
2025 오픈 액세스 주간 – ‘우리의 지식은 누구의 것인가?’
오는 10월 20일부터 27일까지 2025 오픈 액세스 주간(Open Access Week 2025) 이 진행됩니다. 올해는 ‘ 우리의 지식은 누구의 것인가?(Who Owns Our Knowledge?) ’라는 주제 하에 현황에 관한 날카로운 질문을 던지며, 혼란한 시대에 커뮤니티가 스스로 생산한 지식에 대한 통제권을 어떻게 다시 재정비할 수 있을지 논의합니다. 다양한 의견이 공유될 이번 오픈 액세스 주간에서는 아래와 같은 주제들을 심도 있게 논의합니다 ...
괜찮지 않아도 괜찮아요 – 학계에서의 정신 건강 지원은 필수입니다
"정신 건강 문제가 당신을 정의하지는 않습니다. 그저 당신이 경험하는 것뿐입니다. 비를 맞으며 걸을 때 그 비를 느끼지만 당신이 그 비인 것은 아닙니다.”- 매트 헤이그, 《살아야 할 이유》 저자- 학계에 속한 사람들에게 물어보면 정신 건강 문제 가 그리 드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생각보다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문제라는 걸 어렵지 않게 알 수 있습니다. 데이터도 이를 뒷받침합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학계 종사자들은 교육 과정 중 상당한 심 ...
증례 연구는 언제 해야 할까? 증례 보고서를 작성하는 이유
의사라면 수많은 환자를 접하고 각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게 됩니다. 그중에서 증례 연구(case study)를 할 가치가 있는 경우는 많이 않죠. 특정 사례가 의료계 전반에 유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는지는 무엇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할까요? 이때 증례의 독창성, 데이터 가용성, 실행 가능성 을 고려해 봅시다. 각 요소를 평가하면 증례 보고서(case report) 작성이 연구에 적합한 접근법인지 아닌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증례 연구는 언제 수행해 ...
의료계의 숨은 영웅들 – 임상 검사 과학자(Clinical Lab Scientist)
의료계의 영웅들을 떠올릴 때 대부분은 의사나 간호사, MA(medical assistant, 의료 보조사), 응급 구조 대원을 떠올립니다. 그러나 눈에 띄지는 않지만 조용히 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또 다른 사람들이 있습니다. 바로 의학 검사 전문가 들입니다. 의료 기술사, 임상 검사 과학자의 하루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환자 검체를 언제든 처리할 수 있도록 검사실이 하루 24시간, 연중무휴 운영됩니다(BLS, 2024). 검체에는 혈액, 소변, 조직 ...
연구자들에게 APEC 2025이란 – 지속 가능한 연결, 혁신, 번영의 미래를 위해
드디어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주간이 시작되었습니다. 지금 경주는 APEC 2025에 대한 기대감과 정상회의를 맞이해 열리는 다양한 행사들, 아태 지역에서 찾아온 반가운 손님들로 인해 기분 좋은 소란스러움으로 가득합니다. 20년 만에 한국에서 개최되는 APEC 2025 에서는 “Building a Sustainable Tomorrow: Connect, Innovate, Prosper”, 즉 ‘지속 가능한 내일을 위한 연결, 혁신 ...
노벨상과 이그노벨상을 모두 받은 과학자, 안드레 가임 이야기
올해도 과학, 문학, 평화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의 인물들이 노벨상을 통해 조명되었습니다. 2025년 생리의학상은 면역체계에서 자기 조직을 공격하지 않도록 조절하는 조절 T세포(Regulatory T-cell)를 발견한 메리 브런코, 프레드 람스델, 사카구치 시몬에게 수여되었고, 물리학상은 전기 회로에서 거대 양자 터널링과 에너지 양자화를 실증한 업적으로 존 클라크, 미셸 드보레, 존 마티니스에게 돌아갔죠. 화학상은 금속-유기 골격체(metal-org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