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Results 11 - 20 of 190

검색결과

Free Content
Q&A 포럼

[논문컨설팅] 논문을 다른 저널에 투고하는 경우 피어 리뷰어가 동일인일 수도 있습니까?

Language Korean 거절당한 논문을 다른 저널에 투고했습니다. 그런데 새로운 저널의 피어리뷰어가 제기한 질문이, 처음 투고했던 저널의 피어리뷰어가 한 질문과 똑같습니다. 그렇다면 같은 피어리뷰어가 제 논문을 검토한 것입니까? 제 논문이 또 거절당하게 될까요? [논문컨설팅] 같은 피어리뷰어가 질문자 님의 논문을 검토했을 수도 있습니다. 특정 주제에 대한 논문을 몇 명의 특정 리뷰어가 전담하는 경우들이 있기에, 두 번째 투고 저널에서 동일인에게 질 ...

날짜: 2015년 01월 16일
Free Content
기사

네이처 출판사, 스프링거와 합병해 합작투자계약 체결

런던을 기반에 둔 <네이처> 및 <사이언티픽 어메리칸>의 출판사 맥밀란 사이언스 & 에듀케이션은 베를린에 기반을 둔 세계 최대 과학 출판사 중 하나인 스프링거 사이언스 플러스 비즈니스 미디어와 합병하게 됩니다. 이번 합병은 맥밀란의 소유주인 사기업 홀츠브링크 출판그룹, 2013년 스프링거를 매입한 투자기업 BC파트너스에 의해 1월 15일자로 발표 되었습니다. 스프링거의 더크 한크 CEO는 “ 학술출판의 전통에 굳건히 뿌리내린 ...

날짜: 2015년 01월 20일
Free Content
기사

에디티지, 보다 간편한 논문 투고를 위해 에어리스(Aries) 와 협력

2015년 1월 21일 (미국 필라델피아), 세계적인 학술 편집 및 출판 지원 서비스 공급사 <에디티지>가 고객에게 보다 원활한 논문 투고의 경험을 선사하기 위해 에어리스(Aries)의 <편집 매니저(Editorial Manager)> 원고 인제스트 기능을 처음으로 도입할 것임을 발표했습니다. 에디티지와 에어리스의 이번 파트너십으로, 에디티지를 이용하는 7만 명 이상의 저자들이 EM(Editorial Manager)을 사용하는 6천 ...

날짜: 2015년 01월 22일
Free Content
Q&A 포럼

공동저자가 아닌 사람이 논문 수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까?

Language Korean 저는 영어 원어민 사용자가 아니며 이번에 첫 논문을 썼습니다. 제 논문은 상당한 수정 요청을 받은 조건부 승인 상태인데, 권장한 수정 사항이 대부분 언어에 대한 문제입니다. 공동저자는 아니지만 영어 교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만한 사람의 도움을 받아도 좋을까요? 논문을 수정할 때 언어 교정을 받는다 해도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사실, 언어 교정을 통해 논문의 품질이 향상되고, 독자들이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가독성 또한 높아 ...

날짜: 2015년 01월 26일
Registered Content
기사

[과학논문] 과학에서 “빅데이터(Big Data)”란 무엇일까?

불과 몇십 년 전만 해도 과학은 세 가지 상호 연관된 패러다임, 즉 실험, 이론, 계산의 산물 이었습니다. 인터넷과 컴퓨터의 발달로 데이터의 수집, 저장, 공유 능력이 크게 확장되었습니다. 그 결과, 데이터 생산의 속도가 빨라져 과학 데이터 산출량은 연간 30% 증가하며 2년마다 규모가 두 배로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이 같은 데이터의 유입을 “빅테이터” 라고 합니다. 데이터 홍수 또는 쓰나미라고 불리기도 하는 빅데이터는 인터넷, 스마트폰, 과학연구, 비 ...

날짜: 2015년 01월 29일
Free Content
기사

출판 시스템의 선두 주자 오버리프(Overleaf), 에디티지와 협력

오버리프(Overleaf)가 에디티지와 협력해 저자들에게 출판을 위한 언어 교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2015년 1월 26일 런던 – 세계적인 학술 출판 및 편집 지원 서비스 공급사이자 캑터스 커뮤니케이션즈의 플래그십 브랜드 에디티지가, WriteLaTeX 를 사용한 온라인 협력집필 및 출판 플랫폼으로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오버리프(Overleaf)와 파트너 계약을 체결해, 이제 오버리프를 이용하는 저자들이 에디티지로 직접 원고를 전송해 전면적인 언어 ...

날짜: 2015년 01월 29일
Free Content
Q&A 포럼

영어 논문 작성 시, I와 we 가운데 주어를 무엇으로 사용해야 하나요?

Language Korean 단일 저자 논문을 집필하고 있는데, 여러 군데에서 'we'를 주어로 사용했습니다. 이 점이 문법적 오류로 간주될까요? 만약 'I' 를 사용하면, 거만하거나 자기중심적으로 읽힐 가능성이 있을까요?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과거에는 ‘we’가 단일 저자 논문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이는 ‘저자와 독자’ 혹은 이 분야의 연구 종사자 전체를 의미하였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단일 저자 논문에서 ‘ ...

날짜: 2015년 01월 29일
Free Content
전문가

Dr. Jo Røislien 인터뷰: 생물통계학자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도 큰 시기

Dr. Jo Røislien, Associate Professor, Dept. of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Stavanger Language Korean Jo Røislien 박사는 라디오, TV, 인쇄 매체 등에 출연해 널리 이름을 알린 과학 커뮤니케이터입니다. 그의 강의는 까다로운 주제나 과학적 지식을 전달하기도 하고 박사 자신의 연구에 대해 알리기도 합니다. Jo  Røislien 박사는 라디오, TV, 인쇄 매체 ...

날짜: 2015년 02월 02일
Free Content
전문가

거대한 발견을 찾아서: 연구, 반복연구, 논문리뷰

Dr. Jo Røislien, Associate Professor, Dept. of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Stavanger Language Korean Jo Røislien 박사는 라디오, TV, 인쇄 매체 등에 고정 출연해 널리 이름을 알린 과학 커뮤니케이터입니다. 그의 강의는 까다로운 주제나 과학적 지식을 전달하기도 하고 박사 자신의 연구에 대해 알리기도 합니다 Jo Røislien 박사는 라디오, TV, 인쇄 매체 ...

날짜: 2015년 02월 02일
Free Content
Q&A 포럼

[저널투고규정] 실험을 수행할 때 준수해야 하는 가이드라인은 무엇입니까?

Language Korean 저널 편집자가 저에게 이런 의견을 보냈습니다. “연구에서 수행한 모든 실험이 모든 필수 가이드라인을 준수했음을 표시해 주시겠습니까? 상세 기술 바랍니다.” 저는 어떤 답변을 보내야 하나요? 여기서 ‘가이드라인’ 이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이 질문에 답변을 드리기 위해서는 질문자님의 연구 분야, 논문 주제, 그리고 연구에서 수행한 실험의 종류를 알아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논문 작성 시에는 수행된 실험이 필수 가이드라인을 준수했음 ...

날짜: 2015년 02월 05일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