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저널 제출용 파일 형식 (2부)
서식화는 기본적으로 시각적인 작업입니다. 대상 저널의 기사에서 텍스트 블록의 형태를 관찰하고, 연구자님의 원고에서 해당 블록이 선정된 블록과 비슷하게 보이는 방법을 파악해야 합니다. 제목 서식화 연구의 시각적 특성을 감안하여, 2부 기사를 자유롭게 그림으로 설명하기로 했습니다. 란셋(The Lancet)의 아티클 제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림 1). 그림 1 란셋의 최근(2024년 12월) 기사 제목 서식은 두 가지 측면, 즉, 글꼴의 크기와 ...
논문 양식은 왜 중요한가 – 연구자 및 저자를 위한 전문가 조언
연구를 완료하고 원하는 저널에 논문을 투고할 준비도 마쳤군요. 그런데 잠시만요, 해당 저널이 투고 시 특정 논문 양식에 맞춰 낼 것을 요구하고 있네요. 논문 포맷팅(양식 지정)은 정말로 중요할까요? 왜 어떤 저널은 포맷팅을 의무적으로 요구하고, 또 어떤 저널은 이에 관대한 걸까요? 논문 포맷팅 은 왜 중요하며 어떤 이점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왜 저널 가이드라인에 맞춰 포맷팅 해야 하는가? 모든 저널은 출판된 논문의 양식에 특정한 ‘하우스 스타일( ...
투고 준비의 마지막 과정, 논문 포맷팅
논문은 완성되었고, 공개할 준비가 되셨군요! 그런데 혹시 논문 포맷팅(양식 정리)은 마치셨나요? 논리적인 흐름도 괜찮고, 연구 근거도 탄탄해 보이는데. 포맷팅이 과연 필요할까요? 물론입니다. 포맷팅이 제대로 된 논문은 더 전문적으로 보이는 건 물론이고, 저널 검토 과정을 더 원활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학술 논문을 학계 표준 요건에 맞춰 포맷팅 할 때 중요한 요소 아홉 가지를 알려드립니다. 1. 저널 혹은 출판사 가이드라인을 준수합니다. ...
에디티지 @2025년도 한국화학공학회 봄 총회 및 학술대회
2025년 4월 23일부터 25일까지 대구 EXCO에서는 탄소중립을 향한 화학공학의 디지털 및 에너지 대전환 을 주제로 한국화학공학회 2025년도 봄 총회 및 학술대회 가 개최되었는데요. 에디티지도 연구자 여러분을 만나기 위해 대구로 향했습니다! 63년의 역사를 지닌 한국화학공학회는 전국의 화학공학 관련 학과, 정부기관, 국∙공립 연구소, 산업 협회, 기업체 등 약 10,000여 명의 개인 및 단체 회원이 활동하고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전문 학회입니 ...
학술 논문에 AI 도구를 윤리적으로 사용하는 법
최근 인공지능(AI)이 여러 분야에서 판도를 바꿔놓고 있습니다. 과학 연구 분야도 예외는 아닙니다. 단백질 구조 해독에 기계학습(ML)을 통합한 소프트웨어부터 연구 논문에 삽입될 그림을 생성하는 소프트웨어에 이르기까지, AI는 놀라운 일들을 할 수 있고 연구자들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한편 가장 널리 사용되는 AI 기능은 원고 초안 작성인데요. AI는 숙련된 교정자 역할을 하며 표현을 다듬고 문법 오류를 고쳐줍니다. 이러한 기능은 논문 ...
연구 제안서를 위한 연구문제 진술(statement of the problem) 작성의 기본
연구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여 기존의 지식을 확장하거나 수정하는 체계적인 조사 과정입니다.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죠. (1) 기초 연구: 지식 확장을 목표로 하는 탐구 활동 (2) 응용 연구: 문제 해결이나 새로운 공정, 제품, 기술 개발을 목표로 기초 연구를 활용하는 활동 모든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첫 번째 단계는 연구 문제를 특정 짓고 기술하는 것입니다. 즉, 연구자가 해결하고자 하는 것, 연구자가 대답하고자 하는 질문을 명시하는 거 ...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 – 주요 차이점과 예시
학술 연구에서 독립 변수(independent variable) 와 종속 변수(dependent variable) 는 실험 설계, 데이터 분석, 결론 도출에 있어 필수적인 개념입니다. 인과 관계를 확립하는 데 도움을 주며, 한 요인(독립 변수)이 다른 요인(종속 변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 관계를 나타냅니다.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독립 변수 는 연구자가 변경하거나 통제하는 요소 입니다. 종속 변수 는 변화에 반응하여 측정되거나 ...
의학 연구자를 위한 글쓰기 슬럼프 극복법
역동적인 의학 연구계에서 학술 논문, 연구 논문을 작성하는 일은 중요합니다. 흥미롭게도 의학 연구자 중 대다수는 임상 의사로서의 역할도 겸하고 있어, 이미 벅찬 과업에 업무량이 더해지죠. 환자를 치료하는 일과 과학적 지식을 추구하는 일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일은 쉽지 않습니다. 나아가 글쓰기 슬럼프를 야기해 중요한 연구 결과를 전달하는 데 방해가 될 수도 있죠. 이번 아티클에서는 특히 의료계 연구자를 위해 설계된 실용적인 기법을 알아보며, 글쓰기 슬럼 ...
연구 논문에서 웹사이트 인용하는 법 – APA, MLA 스타일 예시
논문을 작성하다 보면 유용한 정보를 참고한 웹사이트를 인용해야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합니다. 본문에도 적절히 인용해야 하지만 참고문헌 목록에도 반드시 추가해야 하죠. 이번 아티클에서는 APA와 MLA 양식 스타일 가이드라인에 따라 연구 논문에서 웹사이트를 인용하는 법을 알아봅니다. 일반적인 웹사이트 인용 가이드라인 웹사이트 인용에 필요한 세부 사항은 논문에 인용하는 다른 자료와 비슷합니다. 저자 이름, 출판일, 웹페이지 타이틀, 웹사이트 이름, ...
일반 언어 요약(PLS) 작성 시 흔히 발생하는 실수 피하는 법
의학 연구에서 좋은 과학은 이야기의 일부에 불과합니다. 현실 세계에 실제 영향을 미치려면 발견 자체만으로는 충분치 않죠. 실험실 밖의 더 많은 이에게 연구 결과가 전달되어야 합니다. 단순히 학계만이 아니라 환자, 보호자, 정책 입안자, 그리고 대중에게도 말이죠. 모든 것은 명확한 소통에서 시작합니다. 이를 위한 방법 중 하나가 일반 언어 요약(Plain Language Summary, PLS) 또는 일반인을 위한 요약(lay summary) 인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