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에디티지가 만난 사람

에디티지 인사이트에 등록하시고 전문가의 맞춤 컨설팅을 받아보세요!
Free
글쓴이 이주현 | 2022년 09월 21일
국내 동료심사(Peer review) 현황 및 연구 진실성 개선을 위한 방안 – 이효빈 대학연구윤리협의회 집행이사 인터뷰
피어 리뷰 주간 2022를 맞아, 대학연구윤리협의회 집행이사이자, 한국연구재단 연구윤리정보센터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계신 이효빈 박사님과 국내 동료심사 현황 및 연구 진실성 개선을 위한 방안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이효빈 박사님은 한국연구재단에서 발간한 <신진연구자를 위한 연구윤리 첫걸음>, <학술연구와 관련된 동료심사(Peer...
Free
글쓴이 에디티지 인사이트 | 2022년 08월 11일
주제 경력개발, 학술전문가 인터뷰 | 조회수 576
[학계 밖 경력 탐색 시리즈 02] 윤정인 (주)리윤바이오 공동 대표 인터뷰
유기화학자인 윤정인 대표님은 벤처 창업가로서 신약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리윤바이오를 설립하고, 현재 공동대표이자 CTO로 일하고 있습니다. ESC(변화를 꿈꾸는 과학기술인 네트워크) 이사 및 젠더다양성 위원회 부위원장으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Free
글쓴이 에디티지 인사이트 | 2022년 07월 21일
주제 경력개발, 학술전문가 인터뷰 | 조회수 574
[학계 밖 경력 탐색 시리즈 01] 바이오·제약 전문 변호사, 이우진 박사 인터뷰
연구자들을 위한 ‘학계 밖 경력 탐색’을 주제로 다양한 전문가와 만나는 시리즈의 첫 인터뷰입니다. 이우진 박사는 신경과학 분야의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변호사로서 제약회사 및 병원에 법률 문제를 자문하고, 생명과학 및 제약 분야 전문 특허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우진 박사의 학계 밖 경력 탐색 경험과 조언을 확인하세요!
Free
글쓴이 이주현 | 2021년 12월 06일
주제 학술전문가 인터뷰 | 조회수 3,906
예일대 의과대학 박사후 연구원, 크리스티나 조와의 인터뷰 - 과학 커뮤니케이션과 연구 홍보의 중요성과 팁
과학 커뮤니케이션이 연구자에게 어떤 의미인지, 연구자가 자신의 분야에서 가시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지 이해하기 위해 예일대 박사후 연구원 크리스티나 조 박사를 인터뷰하였습니다. 박사와의 대화에서 자신의 연구에 대해 더욱 잘 알리고, 소통하는 팁을 얻어보세요!
Free
글쓴이 스네하 쿨카니 | 2021년 10월 08일
주제 학술전문가 인터뷰 | 조회수 4,265
출판사가 피어리뷰에서 포괄성을 보장하는 법: 힌다위 찰리 켈너(Charlie Kelner) 인터뷰
출판사가 어떻게 피어리뷰에서 포괄성을 촉진할 수 있는지 이해하고자 힌다위의 찰리 켈너(Charlie Kelner)와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찰리 켈너 (Charlotte(Charlie) Kelner)는 힌다위의 연구자 참여 매니저입니다. 찰리는 리뷰어가 가능한 최고의 경험을 갖도록 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힌다위의 피어 리뷰 프로세스에 참여하는...
Free
글쓴이 스네하 쿨카니 | 2021년 09월 23일
주제 학술전문가 인터뷰 | 조회수 3,938
피어 리뷰의 포괄성과 다양성에 대한 Learned Publishing 저널 Pippa Smart의 편집장과의 인터뷰
저는 피파 스마트 (Pippa Smart)와 함께 편집자들이 피어 리뷰에서 다양성과 포괄성을 촉진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역할에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피파 스마트는 자신의 회사인 PSP Consulting을 운영하는 연구 출판 및 커뮤니케이션 컨설턴트입니다. 30년 이상 학술 및 연구 출판 분야에서 일한 피파는 이 분야에 예리하고 깊이 있는 이해를...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