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Results 41 - 50 of 233

검색결과

Free Content
기사

논문작성 지원 서비스를 받은 경우 논문사사(acknowledgments)에 기재해야 하나?

사례: 에디티지는 한 저자에게 논문작성 지원 서비스(메디컬라이팅)를 제공했습니다. 에디티지는 출판윤리를 지키기 위해 저자에게 원고의 논문사사(acknowledgments) 항목에 다음과 같은 문구를 추가하라고 조언했습니다. 이 연구는 XXXX의 펀딩으로 이루어졌다. 모든 저자들은 International Committee for Medical Journal Editors이 정한 저자권 기준을 충족했으며, 논문 내용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가진다. 메디컬 ...

날짜: 2015년 12월 03일
Registered Content
기사

피어리뷰어는 리뷰를 왜 거절하는가?

학술출판에서 피어리뷰는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따라서 출판되는 논문의 품질을 높이고, 의심스러운 연구는 솎아낼 수 있는 피어리뷰어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매년 출판되는 논문의 양이 늘어나기에, 피어리뷰어가 받는 리뷰 요청 또한 늘어납니다. 피어리뷰는 연구자들이 빈 시간에 하는 자원봉사에 가까운 일로, 보통 수고비가 없습니다. 이 때문에, 리뷰를 거절하는 피어리뷰어가 늘어나고, 저널 편집자는 리뷰어를 선정하기 어려워집니다. 피어리뷰어의 거절 사유를 ...

날짜: 2015년 12월 11일
Free Content
기사

사례연구: 부정적 연구결과에 대한 출판편향으로 논문의 방향을 바꾸려는 저자

사례: 한 저자가 논문을 집필하던 중 연구 결과가 처음의 가설과는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깨달았습니다. 이 연구 결과에 따라 귀결된 결론은 저자가 구상한 것과는 다른 것이었습니다. 그는 이 가설이 연구 결과 분석과 맞아떨어지도록 원고를 다시 써야 할 지 에디티지 인사이트에 조언을 구했습니다. 저자 자신도 데이터 조작은 출판윤리에 어긋난다는 점을 알고 있기에 그 부분은 건드리고 싶지 않다고 했습니다. 그런데도, 저자는 자신이 방향을 거꾸로 돌려 연 ...

날짜: 2016년 01월 04일
Free Content
기사

연구자들이 묻고 에디티지가 답합니다: 2015년 Q&A Top 7

2015년을 마무리하면서, 지난 한 해 연구자들을 괴롭힌 질문들을 한번 살펴볼까 합니다. 2015년은 에디 박사에게 신나는 한 해였습니다. 전 세계 연구자들로부터 쏟아지는 질문의 홍수에 답변하느라 분주했거든요. 연구자들은 학술논문 집필과 출판의 다양한 측면을 궁금해했는데, 올 한 해 연구자들이 가장 많이 고민한 세 가지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중복투고, 중복출판 ■ 저널 투고 시스템상의 상태 메시지 ■ 표절 그 밖에도, 저자권(authorship) ...

날짜: 2016년 01월 06일
Free Content
기사

[인포그래픽] 그림으로 보는 피어리뷰 결과

해당 이미지를 통해 저널 논문 투고 후에 진행되는 피어리뷰 과정에서 연구자가 예상할 수 있는 결과를 한 눈에 살펴보겠습니다.  해당 이미지를 통해 저널 논문 투고 후에 진행되는 피어리뷰 과정에서 연구자가 예상할 수 있는 결과를 한 눈에 살펴보겠습니다.  journal peer review 저널거부 rejection 논문거절 피어리뷰 저널투고 저널컨설팅 논문컨설팅 재미로 보는 기사 투고 및 피어리뷰 Free Short CCMKT_6_Infographic_ ...

날짜: 2016년 01월 18일
Free Content
기사

사례연구: 살라미 분할(salami slicing)과 출판윤리

사례: 한 저자가 임상 시험을 수행했는데 프로젝트가 끝나고 보니 이 논문에 포함된 데이터가 많아 이 데이터로 최소한 세 편의 논문을 출판할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이 저자는 데이터를 분할해 세 편의 논문을 쓰겠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각 논문에 같은 환자, 같은 방법을 사용했지만 논문마다 별개의 서론과 결론을 넣을 생각으로 저자는 두 편의 논문을 추가로 작성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단계에서 저자는 이 추가 논문들을 최초의 논문과 같은 저널에 투고 ...

날짜: 2016년 01월 20일
Free Content
기사

과학 출판의 ‘파울플레이’: 학술논문이 인질이 되는 현상

Science is too often a cutthroat venture, with publications as the currency for measuring one’s success-    All’s not fair in science and publishing 과학 연구는 극도의 경쟁으로 변질되었습니다. 누가 가장 빨리 논문을 출판하는가, 누가 가장 많은 논문을 출판하는가, 누가 가장 쉽게 연구 지원금을 따내는가, 누가 가장 인맥을 가지는가...  ...

날짜: 2016년 01월 28일
Free Content
기사

정오표(Erratum), 우려 표명(expression of concern), 게재 취소(Retraction)

이 글은 Wolters Kluwer의 저자 뉴스레터 Author Resource Review  에 게재된 글을 허가를 받아 재수록한 것입니다. 이 글의 내용은 Phil Daly와 Ginny Pittman이 공동으로 작성했습니다. Phil Daly는 <Wolters Kluwer Health> 의 선임 편집자로, STM 분야 편집, 편집관리, 출판 분야에서 25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습니다. Phil은 생물물리학 전공으로 이학사(우등졸업) 학위 ...

날짜: 2016년 02월 05일
Free Content
기사

사례연구: 익명으로 논문을 출판해야 하는 경우

사례: 한 저자가 저널에 논문을 투고했고, 이 논문은 피어리뷰 단계로 넘어갔습니다. 그런데 이 단계에서 논문이 민감한 주제를 다루고 있기에 커리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논문을 철회하라는 동료의 조언이 있었습니다. 저자는 편집자에게 철회 요청을 했지만, 편집자의 답은 이미 피어리뷰가 거의 완료된 상태라 이 단계에서 논문을 철회한다면 저널과 피어리뷰어의 시간과 자원을 낭비한 셈이라는 것이었습니다. 또 올바른 출판 관행 역시 해치는 조처라고 했습니다. ...

날짜: 2016년 02월 18일
Free Content
기사

저널 편집위원이 말하는 논문 투고 후 이야기

저널 출판은 연구 결과 보급의 중요한 한 부분입니다. 저명한 저널에 실린 논문들은 저자들을 잘 조명하여 그들 연구에 대한 전체적이고 상세하며 피어 리뷰를 거친 설명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투고에서 게재 결정에 이르는 과정은 불투명합니다. 연구자들은 보통 저널에 논문을 투고한 후 한 세트의 심사와 투고한 논문의 게재 여부를 통보받기까지 몇 달을 (때로는 더 오랜 기간을) 기다립니다. 그러나 투고 후 이 기간에 정확히 어떠한 일이 진행되는지는 연구자들에게 불 ...

날짜: 2016년 02월 29일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