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노벨상 수상자는 상금을 어디에 쓸까?
furthering scientific research donate Nobel amount 노벨상 노벨상상금 노벨상2015 출판과 학계 이야기 Free Long ...
저널 웹사이트와 투고 시스템상의 가이드라인이 상이한 경우
사례: 한 저자가 에디티지의 도움으로 원고를 교정하고 저널 선택과 투고를 위해 에디티지 출판 지원 서비스의 힘을 빌렸습니다. 에디티지에서는 저널을 선택한 뒤 이 논문이 저널에서 밝힌 저자 가이드라인의 요건을 모두 갖추었음을 확인했습니다. 그런데 저자가 온라인 투고 시스템을 통해 원고를 투고하였지만 하자 시스템에서 원고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논문 초록이 저널 요건에 맞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온라인 투고 시스템에서는 초록이 200단어를 초과하면 안 된다 ...
노벨상, 이대로 좋은가?
올해는 노벨상 115주년입니다. 이 상은 1895년 물리, 화학, 생리학/의학, 문학, 평화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발견 또는 발명”을 한 사람들을 치하하기 위해 재산 대부분을 사용하겠다는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장에 따라 설립되었습니다. 이 선언과 함께 노벨은 노벨상 시상 규정 을 마련했습니다. 노벨상은 오늘날 학자의 지적 성취를 치하하는 가장 큰 영예인 것으로 받아들여집니다. 하지만 과학적 성취를 인정하는 100년 전의 규정이 오늘날의 과학 문화를 반영 ...
노벨상 Facts Part 2: 분야별, 나라별 노벨상 수상자 알아보기
노벨상 Facts 시리즈 part 1 에서는 과학자들이 받을 수 있는 최고의 영예로 일컬어지는 노벨상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이제 몇 가지 수치를 살펴봅시다. 노벨상은 지금까지 몇 번 주어졌을까요? 그중 여성 수상자는 몇 명일까요? 노벨상 수상자를 가장 많이 배출한 분야, 나라는 어디일까요? 노벨상에 대한 더 많은 흥미로운 사실들이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노벨상 Facts 시리즈 part 1에서는 과학자들이 받을 수 있는 최고의 영예로 ...
2015년 노벨 생리의학상 윌리엄 C. 캠벨, 오무라 사토시, 투유유
[노벨 생리의학상] 10월 5일 스톡홀름 카롤린스카 연구소 노벨 회의의 발표 에 따르면 2015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회충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에 대한 획기적인 치료법을 발견한 공로”를 남긴 William C. Campbell, Satoshi Omura, 그리고 “말라리아에 대한 획기적 치료법을 발견한 공로”를 남긴 Youyou Tu에게 돌아갔습니다. 이 세 명의 수상자들이 남긴 업적인 “매년 무수히 많은 사람을 쇠약하게 만드는 질병들을 무찌르는 새롭고 ...
노벨상은 수상자의 삶을 어떻게 바꿀까?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되자마자 수상자들은 엄청나게 바빠집니다. 연구기관, 학회, 라디오나 TV 쇼에서 대중강연 초청을 잔뜩 받고, 전 세계를 여행하며 사업가, 정책담당자, 정치인을 만나야 합니다. 노벨상 수상자 중 많은 수가 학술계에서 탄탄한 지위를 얻고, 심지어 정부의 고위직을 얻어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데 목소리를 내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플루토늄(핵폭탄의 연료)을 발견한 공로로 1951년 노벨상을 받은 Glenn Seaborg 는 미국 핵에너지 ...
노벨상 Facts Part 3: 재미로 보는 노벨상 이야기
이제 노벨상에 관한 기본적인 사실들을 알았으니, 노벨상에 관해 잘 알려지지 않은 뒷이야기를 알아볼 시간입니다. 최고령 수상자, 최연소 수상자는 각각 누구일까요? 노벨상 수상자들은 어떤 언어권의 사람이었을까요? 노벨상 수상을 거부한 사람도 있을까요? 인포그래픽을 통해 알아봅시다. 다른 시리즈 기사 보기 노벨상 Facts Part 1: 알프레드 노벨의 유산, 노벨상의 시작 노벨상 Facts Part 2: 분야별, 나라별 노벨상 수상자 알아보기 이제 ...
노벨 물리학상(2015)- 카지타 타카아키, 아서 B. 맥도날드
10월 6일 스웨덴 왕립과학원은 2015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를 발표 했습니다. 이번 수상자는 “중성미자가 질량을 갖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성미자 진동(neutrino oscillations)을 발견한” 일본의 Takaaki Kajita, 그리고 캐나다의 Arthur B. McDonald 입니다. 중성미자는 빛의 소립자인 광자(photon) 다음으로 우주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소립자입니다. Kajita와 McDonald의 발견은 중성미자 이해 ...
노벨 화학상(2015) DNA 복구의 공로자- 토마스 린달, 폴 모드리치, 아지즈 산자르
of Sciences Tomas Lindahl Paul Modrich Aziz Sancar DNA and cancer researchers 토마스 린달 폴 모드리치 아지즈 산자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