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에토스, 로고스, 파토스 – 과학적 글쓰기에 설득의 수사법 3요소 적용하기

Sindhuja A | 2025년8월22일 | 조회수 527

연구자는 세상이 우리 연구를 보고 이를 믿기를 바랍니다. 연구 논문을 통해 과학계가 연구 결과를 신뢰하도록 설득하고자 노력하죠. 그런데, 이것을 과연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요? 독자가 연구자의 관점을 이해하고 같은 결론에 도달하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수사적 접근 방식이 여기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득의 수사학 3요소인 에토스(ethos), 파토스(pathos), 로고스(logos)는 독자가 주장을 받아들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번 아티클에서는 각 수사법의 의미를 알아보며, 이를 과학적 글쓰기에 어떻게 적용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에토스, 파토스, 로고스의 뜻

에토스의 정의

에토스는 기본적으로 화자의 기질을 의미합니다. 말하는 사람의 말하는 방식, 목소리, 자세, 신뢰도, 풍기는 분위기 등, 화자 고유의 성질을 뜻하죠.

에토스는 독자가 화자를 신뢰하도록 설득함으로써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포커스는 저자, 즉 연구자님에게 있으며, 독자가 연구자님을 믿을 만하다는 사실을 설득시켜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연구자님의 전문성을 보여주세요. 독자가 충분히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검증된 내용을 제시하세요.
  • 신뢰성을 강조하세요. 해당 분야에서 쌓은 경험을 적극적으로 언급하세요. 논문에서는 훌륭한 연구를 출처로 인용함으로써 해당 주제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는 점을 보여줄 수도 있을 겁니다.
  • 연구 논문을 전문적으로, 오류 없이 작성하세요. 잘 포맷팅된 원고는 좋은 첫인상을 남기고 저자와 독자 사이의 신뢰 구축에 도움이 됩니다.

파토스의 정의

파토스는 상대방의 감정에 호소하는 방식입니다. 우리의 경우에는, 독자의 감정을 자극하여 연구 주장에 관심을 갖도록 하는 것이지요. 영화에서 자주 접하는 방식으로, 스토리라인이 청중의 감정을 자극하면 청중은 영화에 몰입하게 되죠. 글쓰기에는 이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요?

  • 스토리텔링을 활용합니다. 연구 논문은 단순히 사실과 숫자를 나열하는 것 이상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서론부터 결론에 이르기까지 스토리텔링 기술을 활용해 독자의 몰입도를 높여보세요.
  • 파토스는 긍정적 감정도, 부정적 감정도 자극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학술적 글쓰기에서는 단순히 감정을 자극하는 것 이상이 필요하죠. 형용사와 동사를 활용하며 분석 결과를 설명하고 연구에 관한 생생한 이미지를 전달해 보세요.

로고스의 정의

로고스는 논리적인 호소입니다. 영어에서 ‘논리적인’을 뜻하는 ‘logic’이라는 단어도 로고스에서 파생된 것이지요. 그렇기에 연구자는 이 설득의 수사법 3요소 중 로고스적 호소를 가장 쉬워합니다. 로고스의 목표는 이 주장이 타당하다고 독자가 믿게 하는 것입니다. 이때 다음의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주장에 대한 사실적 증거를 제시하세요. 이전 연구들의 검증되어 잘 확립된 정보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그래픽 데이터, 일러스트, 그림, 표 등 시각적으로 집중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주장을 입증해 보세요. 연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독자와 논리적으로 소통하세요. 비현실적인 주장을 하거나 검증되지 않은 정보를 제시하여 독자를 오도해선 안 됩니다. 이는 평판과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 있고, 에토스를 통해 얻은 신뢰까지도 잃게 할 수 있습니다.

 

에토스, 파토스, 로고스 예시

위의 정의를 염두에 두고, 에토스와 파토스, 로고스의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세 요소를 구별해 보세요.

코끼리 새끼는 너무 부끄러운 나머지 (혹은 무서운 나머지) 어미의 곁을 떠나지 않았다. 약간의 시간을 들여 새끼는 드디어 일어나는 데 성공했다. 대부분의 코끼리 새끼는 태어난 지 20분이면 스스로 일어날 수 있다! 이후 한 시간 정도면 걸을 수 있으며, 며칠이 지나면 무리와 함께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이 조그마한 코끼리 새끼의 여정을 우리 내내 기록하여 아프리카코끼리에 관한 다음 다큐멘터리에서 소개할 계획이다. [에토스 예시]

아프리카코끼리, 둥근귀코끼리, 아시아코끼리, 세 종 중 아프리카코끼리가 가장 큰 육상 동물에 해당한다. 지난 15년 이상을 야생동물 사진작가로 활동해 왔지만, 이 거대하면서도 온화한 동물들은 지금도 나를 놀라게 한다! 이들의 소통 능력, 여기저기 쓰이는 코, 아름다운 상아 등, 코끼리의 모든 요소가 흥미롭다. 그러나 모두가 이들을 같은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은 아니다. [파토스 예시]

지난 100년 동안 아프리카코끼리의 약 90%가 사라졌다. 주로 상아 무역을 위한 포획 때문이었다. 아시아코끼리의 개체 수는 아프리카코끼리만큼 급감하지는 않았으나, 인간 정착지와 농경지로 인해 서식지가 바뀌고 있다. 이에 따라 물가나 먹이 먹는 곳, 서식지를 찾는 기존의 이동 경로에 방해를 받으면서 위험할 정도로 인간과 가까운 거리까지 몰리게 되었다. [로고스 예시]

야생동물 사진작가이자 자연 보호 활동가로서 내 다큐멘터리가 코끼리의 삶과 이들이 보호받아야 하는 이유를 관객에게 알리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과학적 글쓰기에는 어떻게 적용할까?

가상의 상기 블로그 포스팅에서 저자는 먼저 독자의 감성에 호소하기 위해 파토스를 사용한 다음, 신뢰도를 얻기 위해 에토스를 사용합니다. 곧이어, 로고스를 통해 아프리카코끼리와 마찬가지로 아시아코끼리도 보호받지 않는다면 유사한 영향을 받게 될 것이라고 설명하죠.

캐주얼한 글에서는 작성이 그리 어려울 것 같지 않지만, 과학적 글쓰기에서는 이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요? 이상적으로는 세 가지 수사적 요소를 결합하는 것이 좋습니다.

 

에토스 파토스 로고스

 

연구 논문의 섹션에서 각 수사적 요소를 어떻게 적용하면 좋을지, 간략히 정리했습니다.

  • 논문 서론에서는 에토스와 파토스를 조합하여 연구 동기를 제시하고 연구 목표를 강조할 수 있습니다.
  • 문헌 검토(Literature Review) 섹션에서는 에토스를 활용해 신뢰성을 보여주세요. 유관 연구를 인용하고, 이전에 보고된 결과에 대해 이해한 것을 설명하면서, 이를 바탕으로 본인의 연구를 어떻게 구축했는지 설명합니다.
  • 방법론 및 결과 섹션에서는 로고스를 활용합니다. 특정 실험 기법이나 분석 방법을 선택한 논리적 근거를 제시합니다. 결과 섹션에서는 그림, 그래프, 표 등의 데이터를 활용해 분석 결과를 뒷받침하고 결과를 검증합니다.
    (참고: 사람이나 동물 피실험체가 포함된 연구의 경우, 방법론 섹션에서 파토스를 포함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마지막으로, 고찰과 결론 섹션에서는 로고스와 파토스를 조합해 활용해 보세요. 결과 해석에 대한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면서 향후 연구 방향을 강조함으로써 행동을 촉구합니다.

 

더 읽어 보기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 – 주요 차이점과 예시

예시로 알아보는 상관관계와 인과관계의 차이점

[생물의학 연구자를 위한 가이드] 빈도주의 통계 vs. 베이지안 통계, 무엇을 선택할까?

 

스크랩하기

해당 기사를 스크랩해보세요!

지식은 모두에게 함께 공유되어야 한다는 것이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이념입니다. 해당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모든 기사는 Creative Commons license로 재포스팅 및 스크랩이 가능합니다. 아래의 가이드라인만 유념해주신다면 언제든지 무료로 에디티지 학술 전문가의 지식을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


  • 주의 : 에디티지 학술 전문가들은 해당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고 있습니다. 기사를 스크랩 및 재포스팅 하실 때는 명확한 출처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이미지 재사용: 이미지를 원본이 아닌 편집 재사용하실 때는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허가가 필요합니다.

코드를 복사하셔서 기사 공유를 원하시는 사이트에 적용하시면 에디티지 인사이트 기사를 가장 쉬운 방법으로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위 코드를 복사하시어 원하시는 곳에 다시 포스팅 하실 수 있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