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저자권(authorship)에 대해 무엇을 알아야 할 것인가?

므리강카 아와티 | 2020년11월3일 | 조회수 1,462
저자권(authorship)에 대해 무엇을 알아야 할 것인가?

편집 노트: 이 글은 연구윤리정보센터에디티지와의 “연구자의 연구윤리 인식 재고를 위한 출판윤리 협업 프로젝트”에 의하여 작성된 것입니다. 2020년 8월부터 매월 1회씩 총 6회 동안 게재됩니다. 이번 기사는 학술 출판 전문가 므리강카 아와티에디티지 한국지사 오광일 이사가 함께 협업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연구자로서 당신은 연구논문의 저자가 되기 위해 어떤 자격을 갖추어야 하는지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는가? 혹은 당신이나 다른 누군가의 기여도가 저자가 될 만한가에 대해 의문을 가지고 있지는 않는가? 그럼 지금 간단히 스스로를 시험해 보자. 아래의 사람들 중에서 어떤 사람이 당신의 연구 논문의 공동저자로서 자격이 있다고 생각하는가?

  1. 당신이 소속된 학과의 장 (학과장은 그 학과에서 나오는 모든 논문에 이름을 올려야 하니까)
  2. 연구를 위한 재료 또는 장비를 제공한 동료
  3. 연구의 개념화, 연구 수행, 논문 작성 및 최종 승인에 참여한 연구자
  4. 해당 연구분야에서 유명한 연구자 (논문이 게재 승인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으니까
  5. 영어 글쓰기 실력이 부족한 당신을 위해 논문의 영어의 교정 및 감수를 도와준 친구

3번을 골랐다면 (오직 3번만이 자격이 있음), 당신은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다른 선택지들도 골랐다면, 이 글을 끝까지 읽어 보기를 권한다.

누가 저자가 될 수 있는가?

저자권은 연구에 대한 인정(credit)을 의미한다. 학계에서 이러한 인정은 굉장히 중요하다. 이름이 논문에 명시된다는 것은 연구자로서의 업적을 대변하는 것이고, 연구자로서의 나아갈 길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저자권은 출판된 연구업적에 대한 지적(intellectual)이고, 윤리적이며 종종 사회적인 책임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연구에 상당히 많이 기여했고, 연구에 대한 책임을 질 수 있는 연구자만이 저자로서 자격이 있는 것이다.

저자표시에 대해 명확하고 널리 사용되는 정의들(definitions)이 있다. 그 중에서 국제 의학 학술지 편집인 위원회(International Committee of Medical Journal Editors, ICMJE)에 의하면, 저자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아래의 4개의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 연구의 개념 또는 설계; 또는 연구를 위한 데이터의 획득, 분석 또는 해석에 상당한 기여를 해야 한다; 그리고
  • 논문의 초안을 작성하거나 중요한 지적(intellectual) 내용에 대하여 논문을 수정하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그리고
  • 논문이 출판되는 것에 대해 최종적으로 동의해야 한다; 그리고
  • 연구의 정확성이나 진실성과 관련된 질문들이 적절하게 조사되고 해결될 것을 보장하여 연구의 모든 측면에 대해 책임질 것에 동의해야 한다.

어느 누구도 상사, 학과장, 언어 편집자라는 이유로, 혹은 연구를 위한 자금이나 재료, 장비를 제공했다는 이유만으로 자동적으로 저자의 자격을 갖출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에 나열된 모든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도움은 감사의 말씀(acknowledgements)에 포함하여 노고를 인정하는 것이 좀더 적절할 것이다.

윤리적인 저자 표시가 왜 중요한가?

학문적인 진실성을 유지: 비윤리적인 저자표시는 연구에서 공로와 책임의 원칙을 모두 위반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때때로, 저자의 동의없이 이름을 더하거나 누락시키는 것과 같은 행위는 데이터를 훔치거나 이해충돌을 숨기는 등과 같은 부정행위(fraud)가 있을 수 있다는 암시일 수 있고, 결국 논문의 과학적인 진실성(integrity)에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데이터 위조/변조 혹은 표절과 같은 비윤리적 행위들과는 달리, 저자표시에 문제가 있는 출판 논문의 경우는 그 연구의 질이나 신뢰성에 반드시 문제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저자표시 문제 때문에 논문의 게재가 철회되는 경우가 드물고, COPE (Committee on Publication Ethics)는 오로지 저자표시에 대한 논란만으로 게재 철회하라고 권하지는 않는다. 출판된 논문의 저자권에 대한 논란이 발생하면 그 논란이 해소될 때까지 “논문의 과학적인 내용에 대해 누가 책임질 것인가?” 라는 질문이 계속 남을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불필요한 갈등과 출판의 지연을 방지: 논문을 제출하기 전에 혹은 제출하는 시점에 저자표시에 대한 논란이 발생한다면, 논문출판이 늦어질 지도 모른다. 공공 보건과 관련된 연구처럼 연구결과들이 세상에 빨리 알려져야 하는 것이라면 특히 문제가 될 수 있다. 출판 전이나 후에 저자권에 대한 분쟁이 발생하는 것과 관계없이 학술지는 일반적으로 저자권에 대한 논란을 중재하지 않는다. 학술지는 해당 사안을 저자가 소속된 기관에 통지하고, 해당 기관이 문제를 해결하고 학술지에 통보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전형적인 방식이다.

저자됨에 관한 문제는 얼마나 널리 퍼져 있는가?

Whose Paper Is It Anyway? Authorship Criteria According to Established Scholar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More than one-third of Cochrane reviews had gift authors, whereas ghost authorship was rare 같은 연구들은 저자권에 관한 과실이 현장에 팽배해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특히, 연구에 상당한 기여를 하지 않은 사람이 저자로 이름을 올리는 ‘선물 저자’ 같은 행위가 좋은 예이다. 저자권에 관한 부정행위의 비율은 설문 조사 대상의 41%에서 60% 까지 다양하다.

그럼 한국에서의 사례를 살펴보자. 생물학연구정보센터(Biological Research Information Center, BRIC)에서 2015년에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저자권과 관련된 갈등과  비윤리적인 행위들이 꽤 많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설문에 참여한 연구자들 중에서 설문조사 시점으로부터 과거 3년 동안 저자권에 관련된 갈등을 경험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거의 절반에 다다른다. 이들 중에서 72%가 ‘선물 저자’라고 보고되었다.

뿐만 아니라, 저자권 갈등을 경험했던 참가자들 중 60%는 설문 진행 시점에서 그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태로 있다고 대답했다.

최근에 한국에서는 학술논문에 고등학생들이 저자로서 이름을 올리는 사례가 발견되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여기서 중요하게 짚고 넘어갈 내용이 있다. 학술논문의 저자 자격을 부여하기 위한  ‘최소 연령 기준’이라는 것 자체가 없고, 전형적으로 적용되는 저자권의 기준을 적용할 뿐이라는 점이다. 이런 상황에 대한 조사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어떻게 어린 학생들이 그렇게 많은 연구논문에 참여했는지, 그리고 저자로서의 자격이 정당했는지에 대한 것들은 조사를 통해 밝혀질 것으로 기대한다.

에디티지가 실시글로벌 저자 설문조사에서 설문참여자들에게 이 글의 처음에 제시했던 것과 같은 질문을 던졌다. 저자가 되기 위한 자격을 부여할 수 있는 기여도(contributions)에 대해 응답자의 25%가 잘못된 이해를 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부적절한 저자표시 행위가 퍼져 있다는 것은 모든 경력단계에 있는 연구자들에게 왜 윤리적인 저자권에 대해 철저히 이해하고 실천해야 하는지 말해 준다.

연구자들을 위한 팁!

  1. 저자권에 관한 표준적인 가이드라인을 숙지해야 한다. ICMJE, COPE, Council of Science Editors, 연구윤리정보센터 등과 같은 기관에서 제공하는 가이드라인들을 주의 깊게 살펴 보기를 권한다. 논문을 제출하고자 하는 학술지가 제공하는 저자 자격과 기여자 자격 기준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확인해 본다.
  2. 저자권에 대한 결정은 선행해서 될 수 있도록 한다. 연구 프로젝트가 시작되기 전에 저자권과 관련된 모든 결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이상적이다. 연구에 관해 누가 무엇을 기여하고, 누구의 기여가 저자로서의 자격을 부여할 정도인지 그리고 저자의 순서는 어떻게 할 것인지를 논의해야 한다. 모든 사람이 동의한 후에 최종 결정이 내려져야 할 것이다. 그래야 미래에 발생할 수도 있는 오해와 분쟁을 최소화할 수 있다.
  3. 저자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합한 경로를 확인해야 한다. 소속된 대학교나 기관에 저자권과 관련된 분쟁을 중재하거나 조사할 윤리위원회가 존재하는가? 그렇지 않다면, 연구/출판 윤리 문제들을 감독하는 지역/국가 기구가 있는가? 출판된 논문에 적절하지 못한 방식으로 사전에 알림이나 동의없이 저자로서 명단에 오른 것을 발견한다면, 이 사실을 논문이 출판된 학술지에 즉시 알려야 한다. 필요하다면, 논문의 교신저자가 소속된 기관에도 알려야 한다. 연구자로서 상당한 기여를 했음에도 사전에 알림없이 논문의 저자 목록에서 배제된 것을 발견한 경우에도 같은 방식으로 문제를 제기해야 한다.
  4. 모든 저자의 소속은 갱신되고 정확해야 한다. 저자의 소속은 저자를 정확하게 등록하는 것만큼 중요할 수 있다. 저자의 소속은 저자가 연구에 참여하는 것을 지원하는 기관의 역할을 반영해야 한다. 한 저자가 연구 진행 중에 다른 기관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특히 그렇다. 소속 정보가 정확하지 않으면 저자권 분쟁이 발생했을 때 기관에서 중재하는 것이 복잡해질 수도 있다.

더 읽을 거리

스크랩하기

해당 기사를 스크랩해보세요!

지식은 모두에게 함께 공유되어야 한다는 것이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이념입니다. 해당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모든 기사는 Creative Commons license로 재포스팅 및 스크랩이 가능합니다. 아래의 가이드라인만 유념해주신다면 언제든지 무료로 에디티지 학술 전문가의 지식을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


  • 주의 : 에디티지 학술 전문가들은 해당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고 있습니다. 기사를 스크랩 및 재포스팅 하실 때는 명확한 출처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이미지 재사용: 이미지를 원본이 아닌 편집 재사용하실 때는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허가가 필요합니다.

코드를 복사하셔서 기사 공유를 원하시는 사이트에 적용하시면 에디티지 인사이트 기사를 가장 쉬운 방법으로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위 코드를 복사하시어 원하시는 곳에 다시 포스팅 하실 수 있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