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에디티지 인사이트에 등록하시고 전문가의 맞춤 컨설팅을 받아보세요!
읽음
논문을 써서 투고를 하고 시간이 지나 게재까지 확정이 되어 in press상태입니다. 그래서 투고가 확정된 논문을 읽어 보던 중 이 실험 데이터를 통해 새로운 논문을 쓸수 있을거 같아서 논문까지 작성했습니다. 방법론은 비슷하고 사용한 재료도 비슷하지만, 서론과 결과, 결론이 다르긴 합니다. 이런 경우 논문 분할에 포함 되나요?
  • Anonymous
  • 2016년2월5일
  • 조회수 12,102
읽음
안녕하세요. 논문이 아닌, 자신이 출판한 서적의 내용(데이터, 방법론)를 가져다가 논문을 쓰는 경우도 자기표절에 해당하나요? 인용표시를 하면 문제는 안되나요?
  • Anonymous
  • 2016년1월29일
  • 조회수 23,659
읽음
같은 연구로 학회지 투고를 하였고 이것으로 양을 늘이고 수정하여 석사논문을 제출하려고 합니다. 이것 또한 표절인지요? 표절이 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Anonymous
  • 2015년12월24일
  • 조회수 12,507
읽음
논문에서 자신은 뭐라고 지칭해야하나요? '필자는 A에 대하여 ~라고 생각한다.' 이런 식으로 써야하나요?
읽음
저널 대부분은 참신한 논문만을 출판한다고 합니다. 제 논문이 참신한지 어떻게 판단하면 좋을까요? 또, 제가 연구하는 분야의 최신 소식을 잘 파악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읽음
연구자가 여러명이고, 독립적인 medical writer가 원고를 작성하여 저자 (연구자)들이 회람한 경우 연구비 및 Medical writing 비용을 지원한 스폰서에서 논문 투고를 진행하여도 상관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 Anonymous
  • 2015년9월17일
  • 조회수 16,901
읽음
[SCI논문 번역/교정 에디티지 제공] 연구자는 커리어 초기부터 출판을 시작하게 됩니다. 출판 이력이 없으면 앞날의 전망이 위태로워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원저연구(original research)는 완성하는 데는 수 년이 걸리기도 합니다. 그렇다고 연구를 끝내기 전까지는 논문을 한 편도 출판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에디티지에서 제공하는 저널 출판 유형을 통하여 연구원님에게 맞는 가장 적합한 형식을 찾아보세요! 
연구비 지원서 작성 시 양식 준수(conformance)의 중요성
읽음
한 연구자가 정부 지원기관에 제출한 연구비 지원서(grant proposals)가 심사도 받지 못하고 탈락했습니다. 그 이유가 “서식 작성요건 양식을 준수하지 않음(non-conformance)” 때문이었는데요, 연구비 지원서를 작성 할 때 유의해야할 사항을 다시 한 번 체크해봅시다. 
[의학논문] 임상사례보고서(clinical case report) 작성법
읽음
임상사례보고서는 의학 커뮤니케이션의 가장 초기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임상 사례 보고서 또는 사례연구는 임상 실무에서 얻은 새로운 지식을 전파하는 수단입니다. 이 기사를 통해 임상사례 보고서 작성법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읽음
저널에 영어논문을 투고했지만 아직 실리지 않았습니다. 영어논문에서 사용한 분석 방법과 토론 항목을 수정한 다음에 다른 저널에 투고해도 될까요?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