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Results 861 - 870 of 1430

검색결과

Free Content
기사

연구자를 위한, 연구자에 의한 스토리를 공모합니다

자, 솔직히 말해 봅시다! 연구자가 되는 건 쉬운 일이 아닙니다. 연구자들은 연구 현장 밖의 사람들은 쉽게 떠올리기 힘든 일들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끝없는 읽을 거리들, 완벽한 논문과 투고에 대한 압박, 학계 내에서의 네트워크 유지, 연구자로서의 삶과 분투, 개인적인 시간… 연구자 여러분의 삶은 이 모든 것과 연관되어 있을 겁니다. 여러분이 어떻게 연구자나 학자가 될 수 있는지 이야기를 나누는 플랫폼이나 토론장 (예를 들면, 논문 디펜스는 어떻게 준비하 ...

날짜: 2019년 11월 08일
Free Content
기사

영국 최대 자금 제공처, 연구 현장 내 괴롭힘 문제에 적극 대응키로

연구 독립체들의 연합체이자 영국내 최대 자금 제공처인 ‘ 영국연구혁신기구(UK Research and Innovation, 이하 UKRI) ’가 연구 현장 내 괴롭힘 문제에 대한 입장문 을 발표하였습니다. 이는 올해 초 UKRI가 런던 킹스 칼리지의 ‘여성 리더십을 위한 국제 기구 ’에 의뢰했던 증언 검토 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단체는 1여년 동안 학계의 괴롭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정책 수립을 위해 일했습니다. 아래는 성명문에서 발표한 주요 ...

날짜: 2019년 11월 08일
Free Content
Q&A 포럼

연구 논문과 리뷰 논문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Language Korean 학술 논문을 처음 작성하는데, 리뷰 글을 쓰려고 생각 중입니다. 연구 논문(research paper)과 리뷰 논문(review paper)의 정확한 차이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리뷰 논문이 좋은 저널에 게재될 수 있을까요? 연구 논문은 고유한 연구를 바탕으로 합니다. 연구의 종류는 여러분의 분야나 주제에 따라 매우 다양할 수 있지만(실험, 조사, 인터뷰, 설문 등), 저자는 원 데이터를 모으고 분석하며 고유한 연구를 수 ...

날짜: 2019년 11월 08일
Free Content
기사

연구자들을 위한 정신 건강 설문 조사에 참여해 주세요!

국제 학술 커뮤니케이션 전문 기업인 캑터스커뮤니케이션즈는 연구자들의 행복 및 스트레스 요인과 학계 내의 전반적인 정신 건강 문제를 조사하는 대규모 설문 을 시작하였습니다. 지식 생산의 최전선에 있는 연구자들은 과도하게 경쟁적인 환경에서 일하게 됩니다. 그리고 다른 분야에 비해 높은 수준의 불안과 스트레스와 마주해야 합니다. 학계 내의 정신 건강 문제는 학술 저널과 개인 블로그 등을 통해 과거 몇 년 동안 광범위하게 논의되어 온 주제입니다. 하지만, 이 ...

날짜: 2019년 11월 15일
Free Content
기사

에디티지 인사이트 6주년 생일맞이- 특별한 6주 간의 도전, 준비되셨나요?

에디티지 인사이트가 6주년을 맞이했습니다! 전세계의 연구자들을 위한 플랫폼과 논문 출판 전문가로서 6년의 시간을 힘차게 달려왔습니다. 놀라운 여정이었지요! 수 년 동안 저희가 배우고 성장한 기억을 떠올려 보면, 자랑스러움과 그리움, 기쁨 의 감정이 교차합니다. 저희의 성과들을 돌아보면, 자랑스러움 이 느껴지지요. 여러 사람들과 나눈 멋진 대화들을 떠올리면 그리움 이 밀려옵니다. 저희의 미래와, 이 커뮤니티를 어떻게 만들어 나갈지 생각하면 기쁨 이 가득찹 ...

날짜: 2019년 11월 15일
Free Content
Q&A 포럼

“심사 중(decision in process)” 상태는 무슨 의미인가요?

Language Korean 엘스비어 저널에 논문을 제출했습니다. 수정을 두 번 거치고, 현재 “심사 중(decision in process)” 상태에 있습니다. 이것이 무슨 의미이고, 얼마나 시간이 걸릴까요? “심사 중(decision in process) ” 단계가 표시되었을 때에는, 편집부에서 선생님의 논문에 대해 최종 심사를 내리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편집자가 심사 전에 받은 수정된 원고와 리뷰 코멘트에 대한 선생님의 답변을 검토할 ...

날짜: 2019년 11월 18일
Free Content
Q&A 포럼

문헌 검토를 작성할 때에는 어떤 시제를 사용해야 하나요?

Language Korean 동일한 자극을 사용하는 두 개의 글이 있고,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글을 작성하고 싶은데, 어떤 시제를 사용해야 하나요? 선생님의 논문에서 동일한 혹은 비슷한 주제의  기존 연구에 대해 언급하는 특정 부분(서문 또는 논의)을 말씀하시는 걸까요? 아니면, 문헌 검토(literature review)를 위한 논문 전체를 말씀하시는 것일까요? 전자라면, 단순 과거 시제가 일반적입니다. "Jones (2 ...

날짜: 2019년 11월 18일
Free Content
기사

미국, 중국과의 연구 협업에서 더 큰 이익 얻어

지리상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나라인 미국과 중국은 과학 출판에 관해서도 선두를 이끌고 있습니다. 엘스비어의 인용 및 초록 데이터베이스인 스코퍼스를 기반으로 저널과 국가과학지표 순위를 평가하는 SJR(SCImago Journal and Country Rank)에 따르면, 이 두 국가는 연구 출간 종 수에서도 가장 높은 순위 를 자랑합니다. 또한 2018년 STM(국제 과학∙기술 및 의학 출판 협회)  보고서 에서도, 두 국가는 인용 면에서도 가장 높은 순 ...

날짜: 2019년 11월 21일
Free Content
Q&A 포럼

논문게재 승인 후 공저자 및 사사 추가

Language Korean 논문이 accept된 상태입니다. 공저자를 1인 추가하고, 공저자가 진행중인 과제를 사사로 넣고자하는데 가능한 부분인지, 문제가 되는 바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먼저 논문 게재 승인을 축하드립니다! 선생님의 질문에 답변드리기에 앞서, 새로운 저자를 현 단계에서 추가하고자 하는 이유를 명확히 밝히시지 않은 관계로, 답변에 제약이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연구 작업에 큰 기여를 하지 않은 사람을 공저자로 추가하는 것은 비윤 ...

날짜: 2019년 11월 27일
Free Content
기사

[인포그래픽] 연구 논문과 리뷰 논문의 5가지 차이점

세상에는 다양한 종류의 학술 논문이 있습니다. 이 중 일부는 연구자의 독창적인 작업을 요하고, 어떤 것은 이전의 연구를 기반으로 합니다. 이러한 학술문헌의 유형을 이해하고 그것들이 서로 어떻게 다른 지를 이해하는 것은 연구자, 특히 신진 연구자에게 다소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Q&A 포럼 중 가장 조회수가 높은 질문 중 하나가 ‘ 연구 논문과 리뷰 논문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인 것에서도, 연구자들이 많은 종류의 학술 문헌 ...

날짜: 2019년 12월 04일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