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하이임팩트 저널에 논문 게재하기 위한 팁
솔직히, 학문적 여정을 시작하면서 하이임팩트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는 것을 꿈꾸지 않았나요? 못 할 것 없죠! 연구가 주목을 얻을 때 받는 인정과 존경은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을 겁니다. 하지만 이 여정에는 전략과 노력, 인내가 필요합니다. 하이임팩트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지 알아봅니다. 1. 적합한 저널 선택 모든 것은 적합한 저널 선택에서 시작합니다. 연구 내용이 저널의 범위와 맞지 않으면 데스크 리젝(desk rejec ...
에디티지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25년 정기학술대회’에 가다!
2025년 6월 25일부터 27일까지 부산 벡스코(BEXCO)에서는 ‘Academy-Industry Convergence: Driving Future Innovations’ 라는 주제로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25년 정기학술대회 및 국제심포지엄(KMB 2025) 이 개최되었는데요. 이번에도 에디티지 는 연구자 여러분을 만나기 위해 부산으로 달려갔습니다!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는 1973년 한국산업미생물학회로 창립한 후 오늘날 미생물·생명공학 분야 ...
자기 표절(self-plagiarism)의 정의와 이를 피하는 방법
표절은 타인의 작업물을 자신의 것으로 주장하는 행위입니다. 학술 출판의 경우, 타인의 작업물이란 보통 타인이 작성한 글의 일부, 그림, 사진, 방정식 등이 해당하지요. 자기 표절(self-plagiarism)이란, 과거에 자신이 도출한 자료를 인지하지 못한 채 혹은 의도적으로 새로운 것이라며 다시금 주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기 표절 사례 예를 들어서, 과거에 개발한 실험 절차를 이미 논문에 기재하여 출판한 적이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번 연 ...
과학적 시각화는 연구 영향력을 어떻게 높이는가
과학적 시각화(scientific visualization)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우주에서 지구를 관측하는 수십 대의 위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위성들은 기후 변화부터 기상 예보, 재난 관리, 자원 탐사 등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전송하죠. 이 위성들 중 두 대에는 중간 해상도 영상 분광계(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라는 장비가 탑재되어 있는데요. MODIS는 ...
예시로 알아보는 MLA 스타일 헤딩(heading)과 헤더(header) 작성법
MLA(Modern Language Association) 스타일 가이드라인은 학술적 글쓰기를 위한 표준화된 포맷팅(양식) 지침 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이번 아티클에서는 MLA 스타일의 헤딩(heading)과 헤더(header) 작성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둘이 다르냐고요? 물론입니다! 헤딩과 헤더는 스타일 가이드라인에서 구분되는 서로 다른 요소입니다.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해 드리죠. MLA 스타일 헤딩 헤딩은 학술 논문에 포함되는 다양한 섹션, 하 ...
예술은 어떻게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파급력을 확대하는가
“ 예술은 말로는 표현할 수 없는 세상을 보는 방식이다.” – 장 뤽 고다르(Jean-Luc Godard) 과학은 고등 교육을 받은 전문가만을 위한 배타적인 영역 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과학계 밖에도 과학을 이해하고 과학적 증거에 관심을 두는 사람이 많지만, 과학 지식이 많은 이의 삶에 가져줄 가치를 인정하지 않는 사람도 여전히 많죠. 과학 커뮤니케이션은 과학을 더 투명하게 만들고, 일반 대중에 지식을 전달하며, 정책 입안자에 인사이트를 제 ...
예시로 알아보는 상관관계와 인과관계의 차이점
이 문장 들어보신 적 있나요? ‘ 커피를 마시는 사람은 더 오래 사는 경향을 보인다.’ 커피를 즐기는 분들에게는 좋은 소식처럼 들릴 수 있지만, 이 문장은 결국 커피가 더 긴 수명으로 이어진다는 뜻인 걸까요?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바로 여기에서 상관관계(correlation) 와 인과관계(causation) 의 고전적인 논의가 시작됩니다. 우리는 두 가지 사건이 함께 발생하면 한 사건이 다른 사건을 일으켰다고 잘못 가정하곤 합니다. 그러나 인과관계와 ...
[생물의학 연구자를 위한 가이드] 빈도주의 통계 vs. 베이지안 통계, 무엇을 선택할까?
넘쳐 나는 통계 방식 중, 생물의학 연구자 여러분은 전통적인 빈도주의(frequentist) 통계와 점차 인기를 얻고 있는 베이지안(Bayesian) 통계 사이에서 고민 하게 되는 일이 빈번하죠. 연구자님의 연구 주제에 맞는 접근 방법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두 통계 방법론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기본 개념부터 이해해 봅시다 빈도주의 통계 빈도주의 통계는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전통적인 방법론으로, 확률과 p값 의 개념에 의존합니다. 이는 마치 ...
신진 연구자의 연구를 지원합니다 – 제2회 2025 에디티지 연구 장학금
연구 커리어 초반, 많은 연구자께서 다양한 장벽으로 연구를 진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시죠. 경제적 제약이 있을 수도 있고, 연구를 진행하거나 논문을 써 본 경험이 부족할 수도 있고, 전문적인 조언이나 멘토링이 부족하여 혼자 헤쳐 나가야 하는 경우도 있을 겁니다. 이에 에디티지는 연구자 여러분께 학술적 글쓰기, 학계 트렌드 등과 관련하여 다양한 인사이트를 제공해 드리기 위해 에디티지 인사이트 를 운영하며, 매월 여러분의 학술적 여정에 도움이 될 다양한 주 ...
건강 교육에 번아웃에 관한 내용도 포함시켜야 할까?
“ 건강 교육에 번아웃과 관련한 내용도 포함되면 좋겠어요.” 지난주 대학 후배가 제게 말했습니다. 그리고 솔직히 말해서, 저 역시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우리는 번아웃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배운 적이 없습니다. 성과를 내는 법만을 배웠을 뿐이죠. 그리고 끊임없이 성과를 내도록 강요받는 사회에 살고 있고요. 번아웃은 그저 피로감을 느끼는 것이 아닙니다. 가장 사랑하는 일을 하면서도 텅 빈 느낌, 공허함을, 무의미함을 느끼는 것에 가깝죠. 의료 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