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예시로 알아보는 MLA 스타일 헤딩(heading)과 헤더(header) 작성법

Sindhuja A | 2025년7월17일 | 조회수 579
예시를 통해 알아보는 MLA 스타일 헤딩 및 헤더 작성법

MLA(Modern Language Association) 스타일 가이드라인은 학술적 글쓰기를 위한 표준화된 포맷팅(양식) 지침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이번 아티클에서는 MLA 스타일의 헤딩(heading)과 헤더(header) 작성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둘이 다르냐고요? 물론입니다! 헤딩과 헤더는 스타일 가이드라인에서 구분되는 서로 다른 요소입니다.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해 드리죠.

 

MLA 스타일 헤딩

헤딩은 학술 논문에 포함되는 다양한 섹션, 하위 섹션의 제목을 말합니다. 대개 본문 텍스트와 구별되도록 더 크고 굵은 폰트로 작성하죠.

 

MLA 헤딩 양식

MLA는 헤딩에 대한 특정한 양식을 규정해 놓고 있지는 않지만, 논문 전반에 걸쳐 일관성은 유지해야 합니다. 여러 헤딩 레벨(계층 구조)이 있는 경우 아래의 스타일이 권장됩니다.

 

Heading Level 1 

Heading Level 2  

Heading Level 3 

 

MLA 헤딩 스타일과 관련한 가이드라인을 몇 가지 드리자면,

  • 헤딩 레벨은 두 번 이상 사용될 때만 적용합니다. 가령, Heading Level 1 하위에 Heading Level 2를 하나만 넣을 수는 없습니다. 하위 섹션(하위 헤딩)이 적어도 두 개는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내용을 하위 섹션으로 나누지 마세요.
  • 헤딩은 들여쓰기 없이 왼쪽 정렬로 작성합니다. 중앙 정렬하지 않습니다.
  • 헤딩에는 ‘제목용’ 대소문자 규칙을 적용합니다. 즉, 주요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표기하지만 짧은 전치사나 관사는 모두 소문자로 기재합니다.

 

MLA 헤딩 예시

아래는 논문에서 MLA 헤딩과 하위 헤딩을 기재하는 방식에 대한 예시입니다. 팀 스포츠와 개인 스포츠에 관한 논문을 작성한다고 가정해 보죠.

서론 이후, 논문을 두 개의 주요 섹션으로 나눕니다. 각 섹션은 탐구하려는 스포츠에 따라 하위 섹션으로 구분됩니다.

 

Introduction (Heading Level 1) 

Team Sports (Heading Level 1) 

Football (Heading Level 2) 

Basketball (Heading Level 2) 

Cricket (Heading Level 2) 

Individual Sports (Heading Level 1) 

Tennis (Heading Level 2) 

Single player Match (Heading Level 3) 

Double player Match (Heading Level 3) 

Badminton (Heading Level 2) 

Single player Match (Heading Level 3) 

Double player Match (Heading Level 3) 

Chess (Heading Level 2) 

 

MLA 헤더

MLA 스타일 헤더는 반드시 논문의 첫 번째 페이지에 기재해야 하며, 각각의 줄에 연구자님의 이름, 지도교수 이름, 과목명, 제출일을 기재해야 합니다.

헤더 아래에는 논문 제목을 중앙 정렬로 기재하며, 본문과 같은 폰트 크기로 작성해야 합니다. 주의! 제목은 굵은 폰트로 작성하지 않습니다.

페이지 우측 상단에는 연구자님의 성(Lee, Kim 등)과 페이지 번호를 기재합니다.

 

MLA 헤더 양식

MLA 헤더 양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연구자님의 전체 이름

지도교수의 이름

과목명

제출일

논문 제목

 

MLA 헤더 예시

학술 논문에서 MLA 스타일 헤더를 아래와 같이 기재합니다.

MLA 스타일 헤딩 및 헤더 작성법

 

더 읽어 보기

연구 논문에서 웹사이트 인용하는 법 – APA, MLA 스타일 예시

[인포그래픽] APA 참고문헌 양식 한눈에 보기

타깃 저널 스타일에 맞춰 인용 및 참고문헌 포맷팅하는 법

 

스크랩하기

해당 기사를 스크랩해보세요!

지식은 모두에게 함께 공유되어야 한다는 것이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이념입니다. 해당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모든 기사는 Creative Commons license로 재포스팅 및 스크랩이 가능합니다. 아래의 가이드라인만 유념해주신다면 언제든지 무료로 에디티지 학술 전문가의 지식을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


  • 주의 : 에디티지 학술 전문가들은 해당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고 있습니다. 기사를 스크랩 및 재포스팅 하실 때는 명확한 출처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이미지 재사용: 이미지를 원본이 아닌 편집 재사용하실 때는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허가가 필요합니다.

코드를 복사하셔서 기사 공유를 원하시는 사이트에 적용하시면 에디티지 인사이트 기사를 가장 쉬운 방법으로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위 코드를 복사하시어 원하시는 곳에 다시 포스팅 하실 수 있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