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건강 교육에 번아웃에 관한 내용도 포함시켜야 할까?

에디티지 인사이트 | 2025년7월31일 | 조회수 547
의료 분야에서 번아웃을 막기 위해, 번아웃과 관련한 내용이 건강 교육에 포함되어야 할까?

건강 교육에 번아웃과 관련한 내용도 포함되면 좋겠어요.”

 

지난주 대학 후배가 제게 말했습니다.

그리고 솔직히 말해서, 저 역시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우리는 번아웃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배운 적이 없습니다.

성과를 내는 법만을 배웠을 뿐이죠. 그리고 끊임없이 성과를 내도록 강요받는 사회에 살고 있고요.

 

번아웃은 그저 피로감을 느끼는 것이 아닙니다.

가장 사랑하는 일을 하면서도 텅 빈 느낌, 공허함을, 무의미함을 느끼는 것에 가깝죠.

의료 분야에는 이 문제가 어디에나 만연해 있습니다.

 

길고 언제 끝날지 알 수 없는 근무 시간

매번 완벽한 결과를 내야 한다는 압박

일이 예상과 달리 진행될 때 의사를 향해 발생하는 폭력의 빈도 증가

보험 한도와 정부 지원 제도 변경에 따른 전문직 임금 삭감

인간 대 인간의 관계가 아니라 거래 중심이 되어가는 사회 시스템

휴식하거나 슬픔을 나누고 반추할 수 있는 공간의 부재

 

임상 현장을 떠나는 의사들을 탓할 수 없죠.

더 심각한 문제는, 정신적으로나 감정적으로 탈진한 상태에서도 계속해서 일하는 경우입니다.

번아웃은 의료 종사자 사이, 제일의 소리 없는 살인자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 문제에 관해 이야기하지 않죠.

정서적 탈진을 ‘정상적’인 것으로 치부합니다.

 

하지만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의료의 미래를 보호하려면 먼저 그 미래를 만들어 갈 사람들부터 보호해야 합니다.

우리는 휴식에 관해 이야기해야 합니다. 경계를 정상으로 되돌려야 해요.

다시 공감해야 합니다. 환자를 위해서는 물론, 전문가들을 위해서도 말이죠.

 

동료 의사와 의대생들에게 이렇게 말하고 싶습니다.

당신은 중요합니다.

당신이 하는 일 때문만이 아니라, 당신이 한 명의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당신도 교과서에 있는 내용 외에 학교에서 배웠으면 했던 한 가지가 있다면 무엇인가요?

 

* 이 글은 혈관 외과의 수미트 카파디아(Sumit Kapadia)가 링크드인에 올린 글을 국문화한 것입니다.

 

더 읽어 보기

[인포그래픽] 연구자들이 주의해야 할 6가지 번아웃 경고 신호

나도 번아웃일까? - 연구자들의 번아웃과 학업 소진에서 회복하는 방법

연구자를 위한 마음챙김 - 정신 건강을 챙기며 생산성 향상하기

 

스크랩하기

해당 기사를 스크랩해보세요!

지식은 모두에게 함께 공유되어야 한다는 것이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이념입니다. 해당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모든 기사는 Creative Commons license로 재포스팅 및 스크랩이 가능합니다. 아래의 가이드라인만 유념해주신다면 언제든지 무료로 에디티지 학술 전문가의 지식을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


  • 주의 : 에디티지 학술 전문가들은 해당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고 있습니다. 기사를 스크랩 및 재포스팅 하실 때는 명확한 출처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이미지 재사용: 이미지를 원본이 아닌 편집 재사용하실 때는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허가가 필요합니다.

코드를 복사하셔서 기사 공유를 원하시는 사이트에 적용하시면 에디티지 인사이트 기사를 가장 쉬운 방법으로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위 코드를 복사하시어 원하시는 곳에 다시 포스팅 하실 수 있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