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Results 91 - 100 of 100

검색결과

Free Content
기사

그래픽 초록을 통해 저널 독자 유지율을 향상하는 법

연구 논문을 작성하며 이런 생각이 든 적 있나요? ‘ 사람들이 얼마만큼의 시간을 내서 내 논문을 읽을까?’ 독자 유지율(reader retention)을 확보하는 건 과학자, 연구자가 직면하는 주요한 과제 중 하나입니다. 짧은 형식의 콘텐츠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연구자들은 ‘내 논문이 마땅히 받아야 할 관심을 얼마나 받을 수 있을지’ 우려하게 되죠. 그래서 연구 출판계에서 그래픽 초록을 주목하는 것입니다. 한 연구 에 따르면, 일반 텍스트 20 ...

날짜: 2025년 09월 25일
Free Content
기사

방법론- 정량적 연구와 정성적 연구의 차이 (영상 포함)

연구를 수행하는 방법론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으로 비교되는 것이 정성적(qualitative) 방법론과 정량적(quantitative) 방법론이 있죠. 정성적 연구는 관찰과 인터뷰를 통해 개인의 경험과 관점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는 반면, 정량적 연구는 수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합니다. 각기 서로 다른 장/단점이 있으며, 연구 성격과 목표에 따라 적절한 방법론을 선택해야 원하는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

날짜: 2025년 09월 26일
Free Content
기사

임상 시험에서 대조군(Control Group)의 뜻과 목적, 예시

임상시험은 대개 새로운 약물이나 치료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하는 시험을 포함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통제된 조건과 실험 조건 모두에서 환자군을 테스트해야 하지요. 이를 대조군(control group)과 실험군(치료군)이라고 합니다.   대조군이란? 대조군의 뜻 모든 비교 연구에서 대조군은 결과 비교의 기준이 되는 그룹입니다. 예를 들어 신약이나 치료법을 시험할 때 대조군에 위약이나 기존 약물/치료법이 투여됩니다. 신약을 투여 받는 그룹이 ‘실험군 ...

날짜: 2025년 09월 19일
Free Content
기사

데스크 리젝을 유발하는 흔한 논문 양식 오류 피하는 법 (저널별 양식 예시)

거절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죠. 개인적 삶에서든, 연구 논문을 출판하는 경우에든 모두 마찬가지입니다. 오랜 시간을 들여 작성한 소중한 논문의 출판을 목표로 한 저널에서 거절당한다면 큰 좌절감을 느낄 수 있을 겁니다. 비롯, 논문 거절은 연구 여정의 일부이기는 하지만, 거절 가능성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팁도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정확한 원고 양식 지정, 즉 논문 포맷팅이죠! 이번 아티클에서는 데스크 리젝(desk rejection)을 피하는 ...

날짜: 2025년 09월 25일
Free Content
기사

학술적 글쓰기 실력 늘리는 법 – 실용적인 조언 6가지

일상적인 소통에서는 문장의 수준이나 질은 거의 신경쓰지 않습니다. 친구와 이야기 할 때 내 억양은 어떤지, 어조는 어떤지, 올바른 어휘를 사용했는지 고민하지는 않죠. 하지만 연구 계획서나 과제, 논문을 작성할 때는 이 모두를 신경 써야 합니다. 철자, 문법, 구두점과 단어 사용에 문제는 없는지, 독자에게 좋은 인상을 줄 수 있는지, 의견이나 정보를 명확하고 간결하게 전달하고 있는지 고민해야 하죠. 대중 앞에서 연설을 할 때 목소리와 복장, 자세를 고민하 ...

날짜: 2025년 10월 02일
Free Content
기사

점점 더 많은 저널이 그래픽 초록 제출을 의무화하는 이유

지난 수년 내 연구 논문을 게재 본 적이 있다면 그래픽 초록 제출을 요구하는 저널을 여럿 접해 보셨을 겁니다. 심지어 그 수는 늘어나고 있죠! 그런데 저널들은 왜 그래픽 초록을 요구하는 걸까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과학 커뮤니케이션 예전에는 과학 연구가 주로 과학자, 연구자, 학자들만의 전유물이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이후 시대에는 일반 대중과 비전문가까지 과학에 점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였죠. 다시 말하면, 저널이 더 넓은 전 세계 독자층을 확보 ...

날짜: 2025년 10월 02일
Free Content
기사

박사 학위 연구 주제, 어떻게 찾을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

학위 논문 주제를 정할 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고민이 됩니다. 연구 질문은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요? 논문 주제로 삼을 만한 내용을 구별할 지식과 경험은 어떻게 쌓을 수 있을까요? 연구를 시작할 때 도움이 될 만한 몇 가지 요소를 공유합니다. 하지만, 이는 박사나 석사 과정 내내, 혹은 몇 년 동안 연구를 지속해야 익숙해질 수 있을 겁니다. 먼저, 주간 학과 회의 같은 모임이 있다면 꾸준히 참석하세요. 의학 분야 같은 경우에는 주에 한 번 그랜드 ...

날짜: 2025년 10월 02일
Free Content
기사

2025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에디티지가 만난 연구자들!

지난 9월 29일부터 10월 2일까지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는 한국분자 ∙세포생물학회 국제학술대회(KSMCB 2025 International Conference) 가 개최되었습니다. 이번에도 에디티지 는 연구자 여러분을 만나기 위해 제주도로 날아갔죠!     에디티지는 이번에도 연구자 여러분이 페이퍼팔과 그 기능들을 더 자세히 살펴볼 수 있도록 대형 스크린을 설치해 가시성을 높였습니다. 부스를 방문한 연구자 여러분은 물론이고, 부스를 지나쳐 가는 연구자 ...

날짜: 2025년 10월 15일
Free Content
기사

2025 오픈 액세스 주간 – ‘우리의 지식은 누구의 것인가?’

오는 10월 20일부터 27일까지 2025 오픈 액세스 주간(Open Access Week 2025) 이 진행됩니다. 올해는 ‘ 우리의 지식은 누구의 것인가?(Who Owns Our Knowledge?) ’라는 주제 하에 현황에 관한 날카로운 질문을 던지며, 혼란한 시대에 커뮤니티가 스스로 생산한 지식에 대한 통제권을 어떻게 다시 재정비할 수 있을지 논의합니다. 다양한 의견이 공유될 이번 오픈 액세스 주간에서는 아래와 같은 주제들을 심도 있게 논의합니다 ...

날짜: 2025년 10월 16일
Free Content
기사

STEM 저널 vs. 인문학 저널을 위한 논문 포맷팅 가이드라인

STEM 분야와 인문학 분야의 연구 논문 포맷팅(양식 지정)에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저널은 대개 자체적인 포맷팅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거나 논문 포맷팅을 할 때 통용되는 스타일 가이드(APA, MLA, 시카고 매뉴얼 등) 중 하나를 따를 것을 권합니다. 이번 아티클에서는 STEM 분야 논문과 인문학 분야 논문의 양식 차이, 그리고 효과적인 저널 포맷팅 팁을 공유합니다.   STEM 논문 포맷팅 방법 STEM 분야에서는 논문 작성보다 실질적인 연구 ...

날짜: 2025년 10월 16일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