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원고 상태가 ‘검토 중’으로 변경된 다음 날, 왜 다시 ‘리뷰어 배정’으로 바뀌었을까요?
Language Korean 저널 '기생충 및 벡터(Parasites & Vectors)'에 논문을 제출하였습니다. 이후 원고 상태가 다음과 같습니다. 11/26 제출 (submission) 11/27 편집자 배정 (Editor assigned) 12/3 검토 중 (Under review) 12/4 리뷰어 배정 (Reviewers assigned) 왜 ‘검토 중’으로 바뀐 바로 다음 날, 다시 ‘리뷰어 배정’으로 바뀌었을까요 ...
연구자를 위한 10가지 실험실 안전 규칙
실험실에서의 안전 문제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실험실에는 화학적, 생물학적, 물리적, 심지어 방사능까지 포함한 수많은 위험요소를 지니고 있습니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잠재적인 위험 환경에 늘 노출되어 있는 것이지요. 2019년 11월, 네이처지에 실린 다나 머나드와 존 트랜트의 논문 은 실험실 안전에 관한 무서운 장면들을 보여줍니다. 다음은 이 연구의 놀라운 결과들입니다. 과학자 30%가 의료진의 치료를 요하는 심각한 실험실 사고를 목격한 ...
랩 실험이 유발하는 신체증후군(RSI)이 왜 사소하지 않은가
편집 노트: 이 기사는 페이 친 의 블로그 ‘ 데이터마이너 일기 ’ (해당 글 보기) 에 실렸던 글을 저자의 허락을 받고 재발행하였습니다. 제가 처음 ‘반복운동손상증후군’ 혹은 ‘건초염’ 등으로 불리는 RSI에 대해 듣게 된 것은 실험실 동료로부터였습니다. 그녀는 박사 시작 전부터 5년이 넘게 실험실에서 연구 보조로 일했고, 심한 피펫팅 작업으로 어깨 통증이 지속된다고 했습니다. 사실, 저는 몇 주 전 심한 어깨 통증으로 안마사를 찾기 전까지 그녀가 하 ...
엄마 과학자의 생존기: 내 배는 누가 지켜주나?
임신인 것이 확인이 되었다. 입덧이 시작되었다. 배가 점점 나오기 시작했다. 하지만 나는 실험을 놓지 않고 있었다. 임신을 확인하고, 내가 제일 먼저 한 행동은 회식자리에서 “저 임신했습니다! ”라고 지도 박사님 이하 팀에 오픈하는 것이었다. 보통 임신 초기에는 유산이 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아기집이 생기고 태아가 자리잡기 전까지는 알리지 않는다고 하지만, 나는 아기집이 보이기도 전 혈액검사만으로 임신을 확인한 뒤 바로 그 사실을 공개했다. 왜? ...
리뷰어 6명의 의견이 크게 다를 경우, 논문의 결과는 어떻게 될까요?
Language Korean 컴퓨터과학 저널에 논문을 제출하였습니다. 꽤 기다린 후에, 6명의 리뷰어로부터 ’메이저 수정(major revision)’ 결정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모든 리뷰 결과를 받은 것은 아닙니다. 제 생각에 리뷰어가 6명이나 되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리고 리뷰어들의 의견이 많이 다릅니다. 코멘트는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 리뷰어1: 메이저 수정을 통한 승인 결정. 우수한 논문이며, 결론 부분만 개선할 것을 제안.- ...
[책 소개] 영어 논문에서 가장 일반적인 문법 오류 피하기
영어 문법을 공부하는 것은 여러분의 글쓰기에서 일반적인 문법 오류를 줄이는 데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러나 연구자가 영문법 책을 집어들 가능성은 낮을 것 같습니다. 여기, 『 연구자를 위한 영어: 용법, 스타일과 문법 (English for Research: usage, style and grammar) 』 은 문법 책이 아니라, 논문 글쓰기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문법 오류와 이를 피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입니다. 1 특히 이 책은 영어를 모 ...
연구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5가지 필수 팁
연구 프로젝트 펀딩에 성공적으로 지원하고 지원금을 받게 되었다면, 이제 프로젝트 관리를 시작할 시간입니다! 하지만 연구 프로젝트를 처음 관리하신다면, 당면하게 될 문제들에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것은 여러 측면을 고려해야 하는 일입니다. 이 기사에서는 성공적인 연구 프로젝트 로드맵을 만들 수 있는 5가지 유용한 팁을 드립니다. 업무 공유 위치 설정하기 여러분이 개인 연구실에서 일하든, 다학제적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든 ...
저는 논문 디펜스에 실패했습니다. 하지만 실패자는 아닙니다
아무도 논문 디펜스에 대한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해서 당부해 주지 않았습니다. 그러니까, 실패에 대해서 말입니다. 90분이 넘게 복도 밖에서 심사 결과를 기다린 후에, 저는 실패를 확신하게 되었습니다. 지도교수는 저를 뒤로 불러서는 “다시 해야 할 거야.” 하고 말했습니다. 심사위원들의 말이 잘 들리지도, 정확하게 이해되지도 않았습니다. 이들이 모두 떠나고, 지도교수가 “이건 내 잘못이야...”하고 말했을 때에 탁자를 뚫어져라 쳐다고 보고 있었던 기억은 ...
리뷰어가 1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될 추가 연구를 제안하는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Language Korean 몇 달 전,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논문을 제출하였습니다.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몇 가지 가능한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참가자들에게 각 프로그램의 매력 여부를 묻는 설문지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이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프로그램을 제안했습니다. 리뷰어들은 설문 내용과 결과에는 관심을 보였으나,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은 의견을 보였습니다. ‘제안 프로그램을 실제로 시행하여 참여자들의 의견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 추 ...
[웨비나] 한 단계 도약하는 법: 학문적, 개인적 장벽 넘어서기
* 여기 를 클릭하시면, 지난 웨비나 강연을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학계나 이 업계에서 성공할 수 없을 것 같아요. 내 주변의 사람들은 모두 주류처럼 보이고... 어떻게 여기에서 기회를 잡을 수 있을까요? 극복하기에는 너무 많은 장벽이 있는 것 같아요." 자주 이런 생각이 드시나요?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지 못할까 걱정이 되시나요? 만일 학문적, 개인적, 직업적 장벽들이 극복 가능한 것이라고 누군가 말해준다면 어떨까요. 다가오는 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