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학위 논문 요약(summary)은 어떻게 작성하나요?
Language Korean 박사 학위 논문 작성에서 요약 작성은 어떻게 하는지 질문드립니다. 논문의 요약은 논문의 초록과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요약의 목적은 독자에게 논문의 주요 요점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요약에는 다음 사항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무엇에 관한 논문인가? 논문의 목적은 무엇인가? 정보를 조사하는 데 사용된 방법은 무엇인가? 논문이 제시하는 결과, 결론 및 제안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요약의 길이는 약 200~350 단 ...
[사례 연구] 의학 연구자가 임상 시험 등록에서 알아야 할 필수 사항
[사례] 한 의학 연구자 분이 자신의 논문을 주요 의학 저널에 투고할 계획이라며, 편집 교정을 위해 저희에게 논문을 보내주셨습니다. 임상 연구를 기반으로 한 이 연구 결과는 정말 참신하였습니다. 이메일 소통 과정에서 저희 에디터가 임상 연구 등록 여부를 문의하였고, 저자는 등록했음을 확인했습니다. 저자는 교정 결과에 만족하였고, 투고 저널에 해당 의학 논문이 출판되기를 바라며, 저널이 이 논문에 관심이 있는지 투고 전 사전 투고 문의를 보냈습니다. 저널 ...
성 소수자 인권의 달(Pride Month) 이후, LGBTQ+ 학술 행사 소식
성 소수자 인권의 달(프라이드 먼스·Pride Month)는 6월로 마무리가 되었지만, 학계가 내년 6월까지 이에 관한 대화를 보류하는 것은 아닙 니다! 올해 안에도 아직 많은 행사가 있습니다. 이 기사에서는 다양한 국가와 분야에서 예정된 다양한 LGBTQ+ 관련 학술 행사 중 일부 요약하여 공유드립 니다. 학계에서 이 행사가 중요한 이유 중심축이 된 1969년 스톤월 폭동 과 1970년에 개최된 최초의 프라이드 행사 이래로 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
임팩트 팩터(IF)는 절대적인 척도일까?
임팩트 팩터(IF, Impact Factor)는 피인용지수 라고도 불리우며, 1955년 유진 가필드(Eugene Garfield)에 의해 만들어진 저널 영향력을 나타내는 지표 입니다. 유진 가필드가 설립한 데이터베이스 업체 ISI(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는 이후, 톰슨 로이터(Thomson Reuters)에 인수되었고, 현재 별도로 분리된 회사인 클래리베이트(Clarivate Analytics)에서 논문을 출판 ...
AE 할당없이 "In Peer Review"는 뭘 의미하는가요?
Language Korean IEEE Transactions에 논문을 투고한 후 석 주 동안 "AE: Not Assigned; ADM: ***; Submitted"이었다가 지금 "AE: Not Assigned; ADM: ***; In Peer Review"로 바뀌었어요. AE없이도 Peer Review가 진행되나요? ADM이 AE도 겸한다는 소리인가요? 연구자 님, 질문 감사드립니다! 링크 에 설명된 프로세스와 ...
올해 '피어 리뷰 주간' 행사 주제를 알아볼 준비가 되셨나요?
학술 출판사 및 협회, 기관, 연구자들을 포함한 전 세계의 학술 커뮤니케이션 관계자들이 학술 출판계의 가장 큰 연례 행사인 <피어 리뷰 주간> 행사를 준비하기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1. 피어 리뷰 주간 (Peer Review Week, PRW)은 신뢰할 수 있고 수준 높은 연구가 출판되기 위해 피어 리뷰가 수행하는 역할을 기념하기 위해 열리는 연례 국제 행사입니다. 이 행사는 매년 피어 리뷰 과정의 특정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됩니다. 피어 ...
2022년 저널 인용 보고서(JCR) 하이라이트
지난 6월 말, 클래리베이트(Clarivate)는 2022년 저널 인용 보고서 (JCR, Journal Citation Reports)을 발표했습니다. JCR은 학계 커뮤니케이션에서 중요한 연례 보고서이며, 모두가 손꼽아 기다리는 저널의 영향력 정보, 저널 임팩트 팩터(JIF, Journal Impact Factor)에 대한 수치를 제공합니다. 이 지표는 어느 출판사에 치우치지 않는 중립적인 자료이기 때문에 저널을 평가할 때에 크게 의존하는 자료입니다. ...
한국계 첫 필즈상 수상, 허준이 교수 “공동연구 경험 소중, 여유있는 연구 환경 필요”
지난 7월 5일, 국제 수학 연맹(IMU, International Mathematical Union)은 핀란드 헬싱키 알토대학교에서 2022 세계수학자대회(ICM)를 열고, 필즈상(Fields Medal) 수상자를 발표했습니다. 4명의 수상자 가운데, 한국계 수학자가 최초로 수상의 영광을 안아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그 주인공은 올해 39살인 허준이 교수로,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겸 한국 고등과학원(KIAS) 수학부 석학교수입니다. 필즈상은 수학 ...
[학계 밖 경력 탐색 시리즈 01] 바이오·제약 전문 변호사, 이우진 박사 인터뷰
이우진, 바이오/제약 전문 변호사 Language Korean 연구자들을 위한 ‘학계 밖 경력 탐색’을 주제로 다양한 전문가와 만나는 시리즈의 첫 인터뷰입니다. 이우진 박사는 신경과학 분야의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변호사로서 제약회사 및 병원에 법률 문제를 자문하고, 생명과학 및 제약 분야 전문 특허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우진 박사의 학계 밖 경력 탐색 경험과 조언을 확인하세요! * 이 인터뷰는 연구자들을 위한 ‘ 학계 밖 경력 탐색 ’을 주제로 ...
연구자를 위한 휴가 계획 팁: 가벼운 마음으로 휴가를 떠나는 법!
책상에 가득 쌓인 자료들에 둘러싸여 올해의 반을 보내온 연구자들과 석 · 박사 과정생들에게도 ‘휴가’라는 단어는 떠올리는 자체만으로도 온 몸에 긴장이 완화되는 것 같은 기분이 들게 하는 마법의 단어입니다. 하지만 막상 휴가를 사용하려고 하면, 마음 한 켠이 무거워지곤 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자신만을 위한 시간이 되어야 할 휴가를 사용하는 게 주저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쉼’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면서, 정부 부처나 민간 및 연구 기관 등에서 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