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유성펜으로 종이 위 유체를 조종하는 이도환 교수
이도환 교수 Language Korean- '2024년 에디티지 장학금' 프로그램에서 1위를 수상하신 광운대학교 이도환 교수님이 어떻게 종이 위에서 유체 흐름을 조종하는 스마트 페이퍼를 개발하게 되었는지, 인터뷰했습니다. 2024 년, 에디티지는 신진 연구자 여러분이 연구 커리어 초기의 어려운 연구 환경을 효과적으로 헤쳐나갈 수 있도록 돕고자 ‘에디티지 장학금’ 프로그램을 진행했습니다. 그리고 대망의 1등에는 ‘현장 진단 장치의 재정의 ...
그래픽 초록 디자인 시 흔히 저지르는 실수, 어떻게 피할까?
많은 국제 저널에서 그래픽 초록을 요청하고 있지요. 연구 논문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그래픽 초록을 설계하는 일이 벅차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영향력 있는 그래픽 초록을 설계할 때 무엇이 필요한지 헷갈려 하는 연구자 분들이 많죠. 이에 이번 아티클에서는 그래픽 초록 설계 시 흔히 저지르는 실수 다섯 가지를 살펴보고, 이를 피할 수 있는 팁을 공유해 드리려 합니다. 그래픽 초록 설계 시 흔히 저지르는 실수들 전 세계의 저자들이 연구의 가시성 강화를 ...
피어리뷰란? 논문 투고 전 피어리뷰의 중요성 이해하기
피어리뷰(peer review) 는 학계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평가 과정으로, 특정 분야의 전문가들이 출판 전 논문의 품질과 독창성을 평가하는 단계입니다. 큰 행사를 위한 새 레시피를 만들어 요리를 내기 전에 하는 시식 테스트를 떠올려 보세요. 전문 셰프들이 맛의 균형을 확인하고, 음식이 완벽히 조리되었는지 보고, 필요하다면 개선 사항을 제안하겠죠. 피어 리뷰도 마찬가지입니다. 해당 주제의 전문가들이 출판되기 전 연구 논문의 정확성과 우수성, 관련성을 검 ...
파킨슨병을 유발하는 PINK1 유전자 돌연변이 메커니즘이 밝혀지다
2025년 4월 7일부터 13일까지는 ‘파킨슨병 주간(Parkinson’s Disease Week)’입니다. 파킨슨병의 증상을 처음으로 알린 제임스 파킨슨(James Parkinson)의 생일인 4월 11일은 ‘파킨슨병의 날’이죠. 이를 기념하는 것일까요? 최근 호주 멜버른 대학교 연구팀은 PINK1에 의해 발현되는 핵심 단백질 돌연변이가 파킨슨병을 유발하는 메커니즘 을 밝혀냈습니다. 해당 연구 는 인간의 PINK1 단백질의 모습과 단백질의 오기능이 어 ...
논문 주제문(thesis statement) 작성 가이드
대학원에서 공부하고 있다면 언젠가 반드시 논문 주제문을 작성해야 하는 때가 옵니다. 그저 논문의 요소 중 하나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막상 쓰려고 하면 ‘어떻게 시작해야 하지?’ ‘무엇에 초점을 맞춰야 하지?’ 궁금해질 겁니다. 논문 주제문이란 무엇일까요? 논문 주제문은 여러분의 연구 논문과 에세이의 토대입니다. 그렇다면 논문 주제문은 정확히 무엇이며, 연구계획서나 논문에 맞는 우수한 논문 주제문은 어떻게 작성하고 또 의도한 메시지를 명확히 전달할 ...
투고 준비의 마지막 과정, 논문 포맷팅
논문은 완성되었고, 공개할 준비가 되셨군요! 그런데 혹시 논문 포맷팅(양식 정리)은 마치셨나요? 논리적인 흐름도 괜찮고, 연구 근거도 탄탄해 보이는데. 포맷팅이 과연 필요할까요? 물론입니다. 포맷팅이 제대로 된 논문은 더 전문적으로 보이는 건 물론이고, 저널 검토 과정을 더 원활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학술 논문을 학계 표준 요건에 맞춰 포맷팅 할 때 중요한 요소 아홉 가지를 알려드립니다. 1. 저널 혹은 출판사 가이드라인을 준수합니다. ...
에디티지 @2025년도 한국화학공학회 봄 총회 및 학술대회
2025년 4월 23일부터 25일까지 대구 EXCO에서는 탄소중립을 향한 화학공학의 디지털 및 에너지 대전환 을 주제로 한국화학공학회 2025년도 봄 총회 및 학술대회 가 개최되었는데요. 에디티지도 연구자 여러분을 만나기 위해 대구로 향했습니다! 63년의 역사를 지닌 한국화학공학회는 전국의 화학공학 관련 학과, 정부기관, 국∙공립 연구소, 산업 협회, 기업체 등 약 10,000여 명의 개인 및 단체 회원이 활동하고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전문 학회입니 ...
그래픽 초록 만드는 방법 (그래픽 초록 예시 포함)
저널에서는 논문과 함께 그래픽 초록(graphical abstract)이나 시각적 초록(visual abstract)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쇄물에서 디지털 출판물로 전환되어 감에 따라 학술 콘텐츠의 형태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죠. 저널 및 출판사는 검색 엔진에서의 검색 접근성, 색인화, 배포, 도가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그래픽 초록 같은 웹 친화적인 요소를 논문에 포함시키려 하고 있습니다. 전문가에게 그래픽 초록 의뢰하기 그래픽 초록은 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