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여성의날 특집] 학계에서의 여성
거트루드 엘리언이 그 시절의 관점을 받아들였더라면 그녀의 선구적인 연구는 가능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 연구를 통해 AZT가 개발되었는데, 이는 바로 AIDS의 진행을 늦추는 데 사용되는 약입니다. 연구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여성을 배제하지 않는 젠더의 평등을 주장하고 나서는 운동이 시작된 지 수 년이 흘렀습니다. 세계 여성의 달인 올해 3월, 에디티지는 <학계 안의 여성> 이라는 주제의 시리즈로 연구, 출판, 과학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여 ...
미국에서 박사후과정(포스닥) 연구직얻기: 정보를 찾고 선택지를 평가하는 방법
연구자로서 앞으로 원하는 바를 계획한 다음 목표를 이루기에 좋은 연구실을 찾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사실 이 같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은 무수히 많은데, 정보의 과잉 때문에 오히려 더 혼란스러울 때도 있습니다. 이번에는 정보를 어디에서 어떻게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한 간단한 도움말을 드리고자 합니다. 사실 이 시점에서 연구자들의 마음속에 이미 결정되어 있어야 하는 것은 박사후과정 커리어를 계발하고 싶은 분야, 그리고 박사후과정 연구직의 유형입니다 ...
미국에서 박사후과정 연구직 얻기: 계획과 준비
[미국에서 포스닥 후] 이 시리즈는 외국인 연구자들이 미국에서 성공적인 박사후과정을 밟기 위해 준비해야 할 일들을 다룬 몇 편의 짧은 글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저는 몇 년 전 스페인에서 메릴랜드로, 다시 앨라배마로 자리를 옮겼는데, 그 후로 수년간 제 개인적인 경험에 비추어 외국인 연구자들이 미국에 정착하는 과정에 조언자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박사후과정을 하기로 마음먹은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이유를 막론하고 중요한 것은 ...
미국에서 박사후과정 연구직 얻기: 원하는 랩의 PI와 첫 연락 주고받기
지난번 글 에서 박사후과정에 적합한 랩에 대한 정보를 찾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그것이 첫걸음이었다면, 이제부터는 랩의 선임 연구원 또는 연구책임자(PI)와 접촉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합시다. 이 글에서는 박사후과정을 알아보는 동안 자기를 소개할 때 어떤 정보들이 필요한지, 또 어떤 순서로 여러 군데 랩에 접촉할지를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지금쯤 여러분은 박사후과정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랩들을 여러 군데 찾아냈을 것입니다. 이때 몇 군데를 알아두는 것이 ...
SNS를 통한 연구를 알리기의 중요성
SNS를 통한 연구 알리기의 중요성 social media multimedia 출판과 학계 이야기 단순히 즐거움을 위해 SNS를 찾던 것은 옛날 일입니다. 오늘날 트위터와 링크드인 같은 SNS를 통해 연구자들은 인맥을 쌓고 연구를 나누고 많은 독자들과 소통하고 협력자를 찾는 등 수많은 일을 할 수 있습니다. 이 비디오를 보고 연구자에게 SNS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아봅시다. Sources: Icon made by Freepik from www.fl ...
구독시스템이었던 저널이 오픈액세스로 바뀌는 이유는?
인터넷 시대가 열리자 오픈액세스 운동이 가속화되었고 이와 함께 학술문헌에 대한 접근이 공공의 권한이라는 의식 역시 증대되었습니다. 페이월(paywall)을 거치지 않고 연구에 접근할 수 있도록 더 많은 학술 단체, 펀딩 기관, 출판사, 연구자들이 힘을 합치면서 세계적으로 OA 운동에 대한 합의는 점점 커졌습니다. 그 결과, OA 저널이 차지하는 비중은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데, 이는 새로운 OA 저널들의 창간 덕분이기도 하지만 유료(toll access; ...
과학의 영향력 측정: 2014년 연구우수성 프레임워크(Research Excellence Framework) 보고서 개요
연구가 과학 외부에 미치는 영향력은 얼마나 될까요? 과학의 영향력을 양적으로 측정할 수 있을까요? 이런 본질적인 질문들은, 과학 연구가 처음 생겨났을 때부터 과학자들의 과제였습니다. 과학의 세계화가 이루어진 다음에, 과학에 대한 투자가 얼마만큼, 또 어떤 종류의 영향력을 창출하는지를 평가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졌습니다. 그 결과, 많은 국가의 펀딩 기관에서 연구의 품질, 그리고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분석의 한 예가 영국 고등교 ...
저널의 이름이 바뀌었을 때 임팩트 팩터(IF)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Language Korean <Human Vaccines> (ISSN: 1554-8600) 저널이 2012년 < Human Vaccines & Immunotherapeutics>로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2014년 이 저널의 임팩트 팩터(IF)는 3.643 이었는데, 제가 저널인용보고(JCR)에서 ISSN 번호를 통해 확인한 수치는 2.131 이었습니다. 저널 웹사이트에는 IF가 3.643으로 실려 있었는데 말입니다. 이 저널 ...
저널 색인 등재(journal indexing)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 Clinical Endoscopy > 저널에서 에디티지 팀에 저널의 등재에 대해 문의했습니다. 현재 PubMed 와 Scopus 에 등재되어 있는 저널 측에서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되는 방법, 그리고 고려해 볼 권위 있는 데이터베이스는 어떤 것이 있는지에 관해 에디티지의 조언을 구했습니다. 에디티지 팀에서는 저널 측에 상세한 답변과 함께 출판된 논문을 등재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목록을 알려 주었습니다. 이번 글에서 저널 색인체계에 대해 ...
그림으로 보는 연구 및 논문 출판물 통계
아래의 내용이 궁금하신 적 있으신가요? 해마나 얼마나 많은 논문이 출판되었을까? 피어리뷰가 되고 출판되는 original research는 몇 편이나 될까? 얼마나 많은 연구자들이 전 세계적으로 있을까? 출판 산업은 얼마나 성장하고 있을까? 위에 해당하는 질문의 답은 아래의 인포그래픽을 통해 쉽게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출처: Data: STM Publishing report 2015 Image: Atlas designed by freepik.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