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논문은 오픈 액세스가 되어야 할까요? 학술 커뮤니티의 의견을 들어봤습니다

Radhika Vaishnav | 2025년6월27일 | 조회수 551
오픈 액세스 학위 논문 – 학위 논문을 오픈 액세스로 출판해야 할까요? 학술 커뮤니티의 다양한 의견

2024년 국제 오픈 액세스 주간(International Open Access Week)에 이루어진 논의 중 하나는, 석사 및 박사 학위 논문이 오픈 액세스를 통해 대중에 널리 공유되고 있는 현황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지난 20년간 석사, 박사 학위 논문을 전자 출판하고 공개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왔습니다. 물론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지만, 책이나 음악처럼 출판된 여타 창작물과 달리 사용료는 없죠. 실제로 오픈 액세스와 비(非)오픈 액세스의 유일한 차이점은 논문을 읽고자 하는 사람들의 접근 가능성 여부 뿐입니다. 학술 커뮤니티에서는 이와 관련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물어봤습니다.

 

학위 논문이 오픈 액세스여야 한다고 생각하나요?

 

하리쉬 파드 박사(Dr. Harish Padh), 사르다르파텔대학교 전 부총장 (인도)

“저는 석/박사 학위 논문뿐만 아니라 과학 문헌 전체가 오픈 액세스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저자들, 특히 개발도상국의 저자들이 출판에 수천 달러를 지불하지 않아도 되도록 자금 지원을 위한 더 나은 메커니즘이 필요하다고도 생각합니다.”

 

루치오 미엘리 박사(Dr. Lucio Miele), 루이지애나 주립 대학교 보건 과학 센터, 연구 부학장 겸 유전학부 부학장 (미국)

“개인적으로 오픈 액세스를 지지합니다. 과학을 민주화하고 일반 대중의 접근성을 높이며, 값비싼 저널들을 구독할 수 없는 교육 기관들도 최신 연구 결과를 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머랜다 베이더-굿먼 박사(Dr. Miranda Bader-Goodman), 애쉬필드 메드컴스(Ashfield MedComms) 선임 의료 작가 (미국)

“물론이죠! 안 보이게 할 필요가 뭐가 있나요? 대부분의 과학 논문은 이미 동료의 평가를 거친 연구를 기반으로 작성된 것이잖아요. 제가 박사 학위 논문과 디펜스 발표를 준비할 때, 제 논문의 기반을 형성한 정보 대부분은 이전 학생들의 논문과 오픈 액세스 연구 논문들에서 얻은 것이었어요. 더불어, 논문을 쓰는 학생들은 ‘경험 많은 전문가’들과는 생각하고 소통하는 방식이 다릅니다. 이들이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은 관점을 넓히는 데 꽤 큰 영향을 미칩니다.”

 

아나스타냐 라이언 박사(Dr. Anastasia Lyon), 과학 커뮤니케이터 (미국)

“저는 오픈 액세스의 장점이 단점을 넘어선다고 생각해요. 일부 경우에는 다른 연구진이 새로운 연구나 아이디어를 가로채지 못하도록 공개를 일정 기간까지 유보하는 게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결국 과학 연구의 목표는 자신의 연구 결과를 타인과 공유하는 것이기 때문에, 오픈 액세스를 허용하는 건 가시성, 투명성, 협업, 혁신을 촉진한다고 생각합니다.”

 

킬리 브랜든(Keely Brandon), 비전가이자 창의적 전략가 (미국, 일본)

“보안이나 지적 재산권과 관련이 없다면 오픈 액세스로 공개하는 것이 더 유익할 수 있습니다.”

 

마이클 윌하이드(Michael Wilhide), 의료 실험실 기술자 및 분자 생물학자, MS, MB (ASCP)CM (미국)

“’Hsp70.1 Contributes to the NF-κB Paradox After Myocardial Ischemic Insults’라는 제 논문은 200쪽이 넘는 긴 논문인데 900회 이상 다운로드 되었어요! 오픈 액세스로 출판한 후 제 논문을 접한 사람들의 수에 놀랐죠.

오픈 액세스와 유료 액세스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었는데, NIH 연구비와 같은 공공 리소스의 지원을 받은 연구는 항상 대중에게 공개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과학자로서 우리에게는 인류의 이익을 위해 지식을 교육하고 발전시켜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제 연구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그것을 활용해 임상 응용 분야의 발전을 이룰 수도 있을 거라는 생각에 뿌듯합니다.”

 

호반 레보예도 박사(Dr. Jovan Rebolledo), 미래 디자이너 겸 혁신가 (일본)

“학위 논문의 오픈 액세스 의무화는 중복 연구를 줄이고 고유한 통찰력이 공유되도록 장려하여, 각각의 대학을 넘어 글로벌 지식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유용할 겁니다.

오픈 액세스로 공개된 학위 논문은 미래의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훈련을 위한 기초 데이터세트로 활용될 수 있으며, 덕분에 AI가 학술 연구의 집단 지식을 기반으로 과학적 발견을 가속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겁니다. 오픈 액세스 논문들을 오픈 혁신 플랫폼으로 전환하면 지식을 민주화하고 인류가 직면한 가장 시급한 문제를 협력하여 해결할 수 있을 겁니다. 학술 연구를 실행 가능한 해결책으로 바꿀 수 있겠죠.”

 

여러 부문의 연구자들이 생각을 자극하는 다양한 의견을 제시해 주었습니다. 연구자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로 의견을 남겨 주세요!

 

더 읽어 보기

오픈 액세스 연구에 그래픽 초록이 미치는 영향

오픈 액세스 발행에 대한 흔히 오해하는 6가지

연구자들이 알아야 할 오픈 액세스(Open Access)의 모든 것

 

스크랩하기

해당 기사를 스크랩해보세요!

지식은 모두에게 함께 공유되어야 한다는 것이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이념입니다. 해당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모든 기사는 Creative Commons license로 재포스팅 및 스크랩이 가능합니다. 아래의 가이드라인만 유념해주신다면 언제든지 무료로 에디티지 학술 전문가의 지식을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


  • 주의 : 에디티지 학술 전문가들은 해당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고 있습니다. 기사를 스크랩 및 재포스팅 하실 때는 명확한 출처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이미지 재사용: 이미지를 원본이 아닌 편집 재사용하실 때는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허가가 필요합니다.

코드를 복사하셔서 기사 공유를 원하시는 사이트에 적용하시면 에디티지 인사이트 기사를 가장 쉬운 방법으로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위 코드를 복사하시어 원하시는 곳에 다시 포스팅 하실 수 있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