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논문에서 서지(bibliography)는 연구 과정에서 참고한 모든 자료를 나열한 목록을 뜻합니다. 논문에서 직접 인용한 자료는 물론, 주제를 고민하면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 자료들도 여기에 포함되죠.
서지를 작성하는 목적
서지목록은 왜 중요할까요?
1) 연구가 신뢰할 수 있는 자료에 기반함을 보여줌으로써 연구의 신뢰성과 질을 높입니다.
2) 활용한 자료를 투명하게 공개하여 독자가 참고 자료를 교차 참조하고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3) 다른 연구자들이 해당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를 한층 더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학술적 협력과 지식 발전에 기여합니다.
서지와 인용 문헌의 차이점
자주 묻는 질문 중 하나가 ‘인용 문헌 목록 또는 참고문헌과 서지목록이 같은가요?’인데요. 간단히 답하자면, 둘은 다릅니다.
인용 문헌(Works Cited) 페이지에는 논문 본문에 직접 인용한 출처만 기재합니다. 반면 서지에는 연구 과정에서 참고한 모든 자료를 기재하며, 본문에 직접 인용하지 않은 자료도 포함합니다. 서지는 ‘참고 자료 목록(works consulted)’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연구 주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 출처를 포괄적으로 기록한 목록이죠.
서지목록 작성법
서지는 다양한 스타일 가이드라인에 따라 서로 다른 형식으로 작성됩니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형식인 MLA, APA, 시카고 스타일의 서지 작성법을 살펴보죠.
MLA 스타일 서지목록 작성법
MLA 스타일은 본문 내 인용 시 괄호를 사용하며, 참고문헌은 보통 인용 문헌(Works Cited)에 기재합니다. 모든 MLA 논문에서 서지 목록이 필수인 건 아니지만, 포함해야 하는 경우 본문에서 직접 인용하지 않은 자료라도 연구 과정에서 참고한 모든 출처를 기재합니다. 각 항목은 첫 줄을 제외하고 모두 들여쓰기를 적용하며(hanging indent), 일반적으로 저자 이름, 논문 제목, 출판 연도, 기타 세부 정보를 포함합니다.
(예시)
APA 스타일 서지목록 작성법
APA에서는 서지 목록을 ‘Reference list’라고 칭합니다. ‘References’라는 제목은 페이지 상단 중앙에 정렬되어야 하며, 그 뒤에 자료들을 알파벳순으로 나열합니다. MLA 스타일과 마찬가지로 첫 줄을 제외하고 모두 들여쓰기를 적용합니다. 본문 내 인용은 서술 인용[Hamilton (2024)] 또는 괄호 인용[(Hamilton, 2024)]으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예시)
시카고 스타일 서지목록 작성법
시카고 인용 스타일에는 두 가지 형식이 있습니다.
1. 저자-연도 형식: 저자 이름, 출판 연도, 쪽 번호를 포함합니다.
2. 각주-서지목록 형식: 위첨자 숫자를 사용하여 인용을 표시하며, 각주 또는 미주에 기재합니다.
마찬가지로 시카고 스타일 참고문헌 형식은 선택한 인용법에 따라 다릅니다.
a) 참고문헌 목록: 저자-연도 인용 형식에 사용됩니다.
b) 서지목록: 각주-참고문헌 형식(각주 및 미주)에 사용됩니다.
서지는 논문 말미에 삽입되며, 페이지 상단에 ‘Bibliography’라는 제목을 중앙 정렬하고 굵은 글씨로 표기합니다. 시카고 스타일 논문에서 서지는 본문과는 달리 더블 스페이스(2줄 간격)으로 작성하지 않습니다. 대신, 각 항목 사이에 한 줄의 공백을 추가합니다.
(예시)
논문 양식을 수정하는 데 너무 많은 시간이 들어가나요? 논문 포맷팅은 전문가에게 맡기고, 연구자님은 연구에만 집중하세요! 에디티지의 저널 포맷팅 서비스가 연구자님을 도와드리겠습니다.
더 읽어 보기
연구 논문에서 웹사이트 인용하는 법 – APA, MLA 스타일 예시
예시로 알아보는 MLA 스타일 헤딩(heading)과 헤더(header) 작성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