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최신기사
Free
Q&A 포럼
2016년 03월 07일
의견 0
8개월 전에 한 저널에 원고를 투고했습니다. 해당 저널이 사이트가 아닌 이메일로 직접 투고하는 규정이 있어서, 분야 에디터에게 직접 다이렉트로 투고를 했습니다. 그러나 투고 규정에 따라서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원고의 용량이 크다는 이유로 용량 수정과 파일 종류 변경을 요청 받았습니다. 하지만 구체적인 방안은 듣지 못해서 할수 있는 범위내로 다시 재투고를... 자세히보기
Free
Q&A 포럼
2016년 03월 03일
<Nature Geoscience>에서는 어떤 유형의 논문을 출판합니까? 저널 사이트에는 논문 유형이 나와 있지 않았지만, 저널에 견해(perspective) 논문이 출판된 것을 본 적이 있습니다. 논문을 써서 <Nature Geoscience> 저널에 출판하고 싶은데요, 견해, 서신(letters), 연구논문(research... 자세히보기
Free
Q&A 포럼
2016년 03월 03일
피어 리뷰 의견을 받아 보니 제 논문이 단어 수 제한을 초과했다고 합니다. (단어 수 제한은 55,000단어인데 제 논문은 67,000단어입니다.) 저널의 저자 안내사항을 보니 단어 수를 초과한 논문의 경우 개개의 사례에 따라 고려한다고 적혀 있었습니다. 저널 편집자에게 제 논문 출판을 고려해달라는 부탁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Free
기사
2016년 02월 29일
연구자들은 보통 저널에 논문을 투고한 후 한 세트의 심사와 투고한 논문의 게재 여부를 통보받기까지 몇 달을 (때로는 더 오랜 기간을) 기다립니다. 그러나 투고 후 이 기간에 정확히 어떠한 일이 진행되는지는 연구자들에게 불분명합니다. 이 글에서는 편집위원의 관점에서 투고 후 일반적으로 진행되는 일련의 단계들에 관해 설명하고 이로써 이 기간의 과정을 좀 더... 자세히보기
Free
기사
2016년 02월 26일
갈수록 논문의 숫자는 늘어가면서 출판된 논문을 찾고 온라인에서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힘들어지고 있습니다. 게다가 웹페이지가 업데이트되고 논문의 링크가 잘 못되어 더는 볼 수 없는 경우가 생길 때도 있습니다. DOI(Digital Object Identifiers)는 이런 문제를 간단히 해결해 줄 수 있습니다. 아래 인포그래픽을 통하여 DOI에 대해... 자세히보기
Free
기사
2016년 02월 23일
연구자분들의 2016년 타겟 저널은 어딘가요? 저널명을 남겨주신 모든 분들께 선물을 제공합니다. 지금 바로 참여해보세요!
Free
기사
2016년 02월 22일
변화하는 대중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많은 저널은 대중에게 접근하고 그들을 사로잡기 위한 혁신적 방안을 내놓고 있습니다. 이러한 혁신의 하나가 과학 저술의 홍보를 위해 사용되는 그림 초록과 비디오 초록입니다.
Free
기사
2016년 02월 19일
세계적으로 과학과 기술은 크나큰 발전을 이루고 있습니다. 개발도상국들은 연구개발 투자와 기술 진보, 연구 성과, 연구 지원 활동 측면에서 눈에 띄게 빠른 속도로 선진국들을 따라잡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의 구조를 파악하고 세계 최신 동향을 이해하고자 2016년 1월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은 <Science& Engineering... 자세히보기
Free
기사
2016년 02월 18일
익명으로 논문을 출판하고자 하는 저자, 논문이 자신이 일하는 제약회사가 생산한 약물의 부정적인 부작용을 드러내기 때문이었습니다. 이런 경우, 익명으로도 출판이 가능할까요?
Free
Q&A 포럼
2016년 02월 15일
3주 전 한 저널에 원고를 투고했습니다. 투고한 다음 주가 되도록 논문의 고유번호(reference number)와 편집자가 배정되지 않았기에 편집자에게 제 원고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알려달라는 이메일을 보냈습니다. 저널의 편집장으로부터 바로 답장이 왔는데, 제 원고에 더 잘 맞는 것 같은 다른 저널이 있다며 추천해 주는 내용이었습니다. 그런데 동시에... 자세히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