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최신기사
Free
기사
2015년 02월 23일
의견 0
손꼽히는 과학저널 출판사 엘스비어(Elsevier)가 올해 학술계와의 협력을 통해 오픈액세스 저널을 창간할 준비 중이라고 발표했습니다.
Free
기사
2015년 02월 17일
빅데이터는 과학의 모든 학제에서 실험이 수행되는 방식에 있어 유례 없는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연구자들이 사용하는 도구는 분야의 특성에 따라 제한되어 있지만, 이제 빅데이터는 어느 학제에서나 공통적인 도구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빅테이터셋의 이용가능성, 그리고 대량의 데이터를 보존하고 공유할 능력은 연구자들의 과학적 탐구에 있어 여러 가지 새로운 방향을... 자세히보기
Free
기사
2015년 02월 16일
표기 법칙 중 어떤 것은 단순하고 직설적이지만, 무엇을 다루느냐에 따라 깊은 이해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유전자와 그 생산물이 이런 경우입니다. “종의 학명은 이탤릭체로 쓴다”, 그리고 “유전자 기호는 이탤릭체로 쓴다” 같은 단순한 지시사항도 있는 반면, 유전자의 명칭은 보다 복잡합니다. 이 글에서는 단순한 설명보다는 이렇게 복잡한 사항에 대해 이야기해... 자세히보기
Free
기사
2015년 02월 10일
논문이 아이디어를 잘 전달하려면 짜임새 있는 구조가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저널에서는 과학논문의 경우 전통적인 포맷인 IMRaD (서론, 자료 및 방법, 결과, 토론) 포맷으로 작성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논문이 연구 내용을 잘 전달할 수 있도록 IMRaD 의 각 항목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Free
Q&A 포럼
2015년 02월 05일
저널 편집자가 저에게 이런 의견을 보냈습니다. “연구에서 수행한 모든 실험이 모든 필수 가이드라인을 준수했음을 표시해 주시겠습니까? 상세 기술 바랍니다.” 저는 어떤 답변을 보내야 하나요? 여기서 ‘가이드라인’ 이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프리미엄
기사
2015년 01월 29일
“빅 데이터(big data)” 라는 용어는 무슨 의미일까요? 왜 빅데이터가 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여겨지는 걸까요? 최근 대량의 데이터의 이용 가능성이 과학의 속성을 크게 변화시켰습니다. 이 데이터의 홍수가 과학에 유익한 영향을 줄까요? 그렇다면 어떤 영향일까요? 이 글을 통해 “빅 데이터” 가 무엇인지, 또 과학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자세히보기
Free
Q&A 포럼
2015년 01월 29일
단일 저자 논문을 집필하고 있는데, 여러 군데에서 'we'를 주어로 사용했습니다. 이 점이 문법적 오류로 간주될까요? 만약 'I' 를 사용하면, 거만하거나 자기중심적으로 읽힐 가능성이 있을까요?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Free
기사
2015년 01월 29일
세계적인 학술 출판 및 편집 지원 서비스 공급사이자 캑터스 커뮤니케이션즈의 플래그십 브랜드 에디티지가, WriteLaTeX 를 사용한 온라인 협력집필 및 출판 플랫폼으로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오버리프(Overleaf)와 파트너 계약을 체결해, 이제 오버리프를 이용하는 저자들이 에디티지로 직접 원고를 전송해 전면적인 언어 교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자세히보기
Free
Q&A 포럼
2015년 01월 26일
저는 영어 원어민 사용자가 아니며 이번에 첫 논문을 썼습니다. 제 논문은 상당한 수정 요청을 받은 조건부 승인 상태인데, 권장한 수정 사항이 대부분 언어에 대한 문제입니다. 공동저자는 아니지만 영어 교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만한 사람의 도움을 받아도 좋을까요?
Free
기사
2015년 01월 22일
포맷 가이드라인은 스펠링, 문장부호, 데이터의 명확한 제시(참고문헌 목록 등) 등의 측면에 일관성을 유지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시카고 스타일 매뉴얼 (CMS)는 특정 명사의 대문자 표기법에서 날짜 형식에 이르기까지 논문 준비의 모든 측면들에 대한 권장사항을 명시하고 있는 스타일 가이드의 좋은 예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