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을 확립하고 연구 문제를 정한 다음, 이제 논문을 작성해야겠죠. 그리고 논문의 서론 작성에 돌입할 겁니다. 대부분의 연구자가 서론의 첫 문장을 작성하며 시작할 텐데, 이와는 다른 방법으로 논문 작성을 시작하는 걸 권하고 싶습니다.
서론을 작성하며 논문을 시작하는 것도 좋지만, 결과와 방법론을 작성하고 고찰까지 마친 뒤 다시 처음으로 돌아와 서론을 작성하는 겁니다. 그래야 어떤 말을 하고 싶은지, 전체적인 그림을 볼 수 있으니까요.
논문 서론에 포함하는 내용
서론에는 다음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 연구 영역
- 연구 문제
- 해결책으로서의 본 연구 논문
이를테면, 사우디아라비아의 심혈관 건강 문제를 이해하려 한다고 해 봅니다. 이 경우, 해당 분야에서 아직 밝혀지지 않은 내용이 있거나, 다른 나라 혹은 환경에서 수행된 연구가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아직 수행된 적이 없기 때문에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등의 문제가 있겠죠. 이에 본 논문을 통해 이를 해결하겠다는 취지를 설명하는 겁니다.
서론의 구성
1. 연구 영역 확립
주제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의학이나 생태학 등, 분야에 따라 다르겠지만, 가령 특정 문제에 의해 영향을 받은 환자의 수를 언급함으로써 강조할 수 있을 겁니다.
다음으로 이를테면 의학적 측면에서 특정 질병의 증상이나 특정 유형의 암이 미치는 영향 등 일반적인 사실을 설명합니다. 사람들의 이해를 돕고, 이것이 왜 중요한지 이해할 수 있도록 말이죠.
그리고 현존하는 연구에 관해 이야기합니다. 새로운 연구를 시작하는 입장에서는 까다로운 부분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해당 연구 분야에서 수년간 다양한 사람들이 기여를 해왔기 때문에, 본 연구 이전에 어떤 연구가 선행되었고 본 연구의 위치는 어디인지 제대로 이해하는 게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주요 용어를 정의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는 디지털 시대에 접어들면서 특히 초록과 관련해 중요한 부분이 되었는데요. 주요 연구 용어를 서론에서 살피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하는 환자 집단은 무엇인지, 기간은 얼마나 되는지 등, 용어가 명확히 이해될 수 있도록 밝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연구 공백 파악
다음으로 연구에 있는 공백을 알아봅니다. 현재 어떤 가정이 존재하고 있으며, 해당 연구 분야에 존재하는 공백은 무엇인지 기술하는 겁니다. 이를 명확히 정리해야 연구 질문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3. 본 연구의 위치 정의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해당 연구 영역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 정의합니다. 다른 연구 논문과는 어떻게 다른지, 본 연구의 특별한 점은 무엇인지 설명합니다. 물론 방법론 섹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적어도 기본적인 부분이라도 본 연구의 고유성, 독창성을 알리는 겁니다. 해당 질문을 어떻게 다른 방식으로 바라보았는지, 도입한 새로운 기술은 있는지 말이죠. 더불어 논문 구조에 대한 개요도 제시하면 좋습니다.
더 읽어 보기
학술적 글쓰기란? - 학생과 신진 연구자를 위한 가이드
오픈 액세스 저널 찾는 법 – 신진 연구자를 위한 가이드
2025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에디티지가 만난 연구자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