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에디티지 인사이트에 등록하시고 전문가의 맞춤 컨설팅을 받아보세요!
내 연구를 번역해야 하는지 결정하는 3가지 방법
읽음
연구 논문을 영어로 번역하게 되면, 훨씬 더 많은 독자층에 전달됨으로써 기존 지식의 격차를 해소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  해당 연구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내 연구를 영어로 번역해야 하는지 어떻게 결정할 수 있을까요? 이 기사에서 3가지 팁을 얻어보세요.
읽음
안녕하세요 아주 멍청한 실수를 저질렀습니다. 며칠 간 잠도 안 오고 정말 너무너무 걱정이 되어 문의 드립니다. 6월 초에 A 저널에 서브미션을 하였습니다. 며칠 후, A 저널의 시스터 저널로 트랜스퍼 하겠다는 메일이 왔습니다. 저는 승진 등등의 이유 때문에 SCI 실적이 꼭 필요해서 그 오퍼를 거절하였습니다. 그러고나서 A 저널에서 리젝 당한 줄 알았습니다. (8년 전에도 그런 적이 있었거든요) 머리 속에 온통 리젝리젝 생각만 들다 보니 더 자세히 알아볼 생각은 안 하고 다른 저널에 빨리 내야 겠다는 생각으로만 가득 찼습니다. 그래서 한달 후인 7월 초에 B 저널에 서브미션을 했습니다. 그런데 8월 초에 A 저널에서 리뷰가 왔습니다. 이거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요? 이 멍청한 생각의 흐름을 B저널에 솔직하게 말하고 투고 철회를 요청 해야 하는 걸까요? B 저널의 에디터가 제가 평소에 존경하던 분이라.. 정말 속상합니다. 더군다나 A 저널의 에디터와 B 저널의 에디터가 서로...
  • Anonymous
  • 2021년8월18일
  • 조회수 676
투고 논문의 ‘수정 및 재투고’를 위한 7가지 팁
읽음
논문 투고는 농구 골대에 공을 골인시키는 것에 비유됩니다. 골대의 높이와 각도를 조준하여 여러 차례 슈팅 끝에  공이 골인이 되듯이 논문도 한 번의 시도만으로 통과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수정 후 재투고하는 사례가 비일비재합니다. 이 글에서는 수정 및 재투고 요청을 받았을 때, 수정 논문을 제출하기 위해 반드시 체크해야 할 사항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읽음
논문 리비젼중 your manuscript was found to have a high repetition rate with previously published articles. Please rewrite your manuscript to reduce similarity. You are encouraged to have a re-check with one of the following software (Turnitin, Cross check or iThenticate) 라는 요구를 받았습니다. 혹시 에티티지에서 이러한 서비스를 해주시는지 궁금합니다.
  • Anonymous
  • 2021년8월9일
  • 조회수 1,413
읽음
안녕하세요. 사회과학계 박사과정생입니다. 박사과정 중 논문 투고를 하려고 하는데요. 이과쪽 다른 전공 박사과정생과 함께 융합연구를 시도하였구요. 제1저자는 저이고, 제2저자는 다른 박사과정생입니다. 저자가 총 2명이고, 둘다 박사과정생이다보니 교신저자를 지정하기가 애매해서요. (학술지 투고프로그램에서 교신저자를 반드시 지정해야 함) 제1저자인 제가 교신저자가 될 수 있나요? 교신저자의 정의만 놓고 보면, 논문에 대한 책임을 지고 연락을 주로 주고받는 역할인데, 문제 없을거 같기도 해서요. 박사과정생이 교신저자가 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Mr. 송
  • 2021년8월5일
  • 조회수 1,663
연구 동기부여 및 창의력 장벽 극복을 위한 팁
읽음
연구자로서 창의력과 동기부여의 장벽을 경험하는 것은 흔한 일입니다. 좋은 소식은 이들을 다루는 방법이 한 가지 이상 있다는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연구 장벽을 방지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기술을 살펴봅니다.
읽음
안녕하세요 1. 대부분의 저널들이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논문은 IRB 를 표기하도록 하고 있는데, 무엇에 근거해서 이렇게 표기를 요구하나요? 2. Case report가 아닌 단순한 Images in clinical medicine (Image vignette, Images..) 등의 원고도 IRB를 표기해야 합니까? 답변 부탁드립니다.
[연구자를 위한 파워 런치 세션] 국제 저널 편집자와 효과적으로 소통하는 법
읽음
국제 저널 투고 시 의사소통 문제를 걱정하신 적이 있으신가요? 국제 저널 편집자와 ‘영어로’ 소통해야 한다는 사실에 불안하신가요? 그렇다면, 에디티지 인사이트가 준비한 온라인 웨비나 이벤트 '연구자를 위한 파워 런치 세션'에 지금 등록하세요!
다양한 유형의 오픈 액세스(Open Access) 모델
읽음
오픈 액세스(OA) 논문은 온라인상에서 무료로 누구나 자유롭게 자료를 읽고, 다운로드, 복제, 보급, 인쇄, 검색, 배포가 가능합니다. 연구자 여러분들이 논문 탐색, 투고, 출판 등 생산적인 연구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포그래픽을 통해 다양한 오픈 액세스 모델을 소개해 드립니다.
읽음
논문을 투고하여 심사한 후 "Major Revision"를 받고 수정하여 재투고하였습니다. 그리고 나서 한분의 Reviewer로부터 추가 수정 요청을 받았으며 ("Minor Revision"), 수정된 논문을 업로드할 때 제출 항목 "Revision Notes"를 사용하라고 합니다. Revision Notes가 무엇인지요? 어떻게 대응하면 되는 것인지요?
  • Anonymous
  • 2021년6월23일
  • 조회수 1,472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