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점점 더 많은 저널이 그래픽 초록 제출을 의무화하는 이유
지난 수년 내 연구 논문을 게재 본 적이 있다면 그래픽 초록 제출을 요구하는 저널을 여럿 접해 보셨을 겁니다. 심지어 그 수는 늘어나고 있죠! 그런데 저널들은 왜 그래픽 초록을 요구하는 걸까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과학 커뮤니케이션 예전에는 과학 연구가 주로 과학자, 연구자, 학자들만의 전유물이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이후 시대에는 일반 대중과 비전문가까지 과학에 점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였죠. 다시 말하면, 저널이 더 넓은 전 세계 독자층을 확보 ...
박사 학위 연구 주제, 어떻게 찾을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
학위 논문 주제를 정할 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고민이 됩니다. 연구 질문은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요? 논문 주제로 삼을 만한 내용을 구별할 지식과 경험은 어떻게 쌓을 수 있을까요? 연구를 시작할 때 도움이 될 만한 몇 가지 요소를 공유합니다. 하지만, 이는 박사나 석사 과정 내내, 혹은 몇 년 동안 연구를 지속해야 익숙해질 수 있을 겁니다. 먼저, 주간 학과 회의 같은 모임이 있다면 꾸준히 참석하세요. 의학 분야 같은 경우에는 주에 한 번 그랜드 ...
2025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에디티지가 만난 연구자들!
지난 9월 29일부터 10월 2일까지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는 한국분자 ∙세포생물학회 국제학술대회(KSMCB 2025 International Conference) 가 개최되었습니다. 이번에도 에디티지 는 연구자 여러분을 만나기 위해 제주도로 날아갔죠! 에디티지는 이번에도 연구자 여러분이 페이퍼팔과 그 기능들을 더 자세히 살펴볼 수 있도록 대형 스크린을 설치해 가시성을 높였습니다. 부스를 방문한 연구자 여러분은 물론이고, 부스를 지나쳐 가는 연구자 ...
2025 오픈 액세스 주간 – ‘우리의 지식은 누구의 것인가?’
오는 10월 20일부터 27일까지 2025 오픈 액세스 주간(Open Access Week 2025) 이 진행됩니다. 올해는 ‘ 우리의 지식은 누구의 것인가?(Who Owns Our Knowledge?) ’라는 주제 하에 현황에 관한 날카로운 질문을 던지며, 혼란한 시대에 커뮤니티가 스스로 생산한 지식에 대한 통제권을 어떻게 다시 재정비할 수 있을지 논의합니다. 다양한 의견이 공유될 이번 오픈 액세스 주간에서는 아래와 같은 주제들을 심도 있게 논의합니다 ...
STEM 저널 vs. 인문학 저널을 위한 논문 포맷팅 가이드라인
STEM 분야와 인문학 분야의 연구 논문 포맷팅(양식 지정)에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저널은 대개 자체적인 포맷팅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거나 논문 포맷팅을 할 때 통용되는 스타일 가이드(APA, MLA, 시카고 매뉴얼 등) 중 하나를 따를 것을 권합니다. 이번 아티클에서는 STEM 분야 논문과 인문학 분야 논문의 양식 차이, 그리고 효과적인 저널 포맷팅 팁을 공유합니다. STEM 논문 포맷팅 방법 STEM 분야에서는 논문 작성보다 실질적인 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