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학회 포스터 만드는 법 – 연구자를 위한 가이드

Sindhuja A | 2025년11월21일 | 조회수 587
학회 포스터 만드는 법 – 연구자를 위한 가이드

포스터 발표 세션에서 연구자는 대형 포스터를 통해 연구 내용을 시각적으로 제시하면서 학회 참석자들에게 연구 내용을 구두로 설명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지난 아티클 ‘포스터 발표가 중요한 이유 – 연구자를 위한 가이드’에서는 포스터 발표가 중요한 이유를 알아봤다면, 이번에는 포스터에 어떤 핵심 요소가 포함되는지, 어떻게 하면 효과적인 포스터를 만들 수 있는지 알아보려 합니다.

 

연구 포스터란 무엇인가?

연구 포스터(학술 포스터)에서는 복잡한 연구 내용을 명확하고 간결하게 전달하기 위해 텍스트와 그래픽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학 연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독자가 긴 연구 논문을 읽지 않고도 핵심 메시지를 파악하도록 도와야 하죠.

과학 포스터는 학술 논문과 그래픽 초록의 중간에 있는 형태의 자료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포스터는 전체 논문만큼 텍스트가 많이 들어가지는 않지만, 단순한 그래픽 초록 수준으로 연구가 압축되어 있는 것도 아닙니다. 따라서, 텍스트를 통해 연구의 주요 방법론, 결과, 결론을 강조하면서 동시에 시각적으로 연구 내용도 제시합니다.

 

포스터 발표는 어떻게 진행되는가

학회에 가 보면 한쪽 영역에 수많은 포스터가 전시되어 있고, 포스터를 보러 온 다른 연구자에게 자신의 연구를 열심히 설명하는 연구자들의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보통 포스터 발표는 연구 주제, 구두 발표의 핵심 내용, 말하는 속도, 질의응답 등에 따라 5~15분 사이에서 진행됩니다.

포스터 발표는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 여러분의 포스터는 자신의 연구를 알리고 싶어 하는 다른 연구자들의 포스터 사이에 전시될 겁니다. 관심이 있는 학회 참석자들은 포스터에서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요소, 제목과 시각적 요소를 보고 다가오겠죠. 다른 요소들에 관해서는 뒤에서 더 알아보겠습니다.
  • 구두 발표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중요한 내용을 적은 카드 몇 장을 준비해 보세요. 발표할 때는 포스터에 적힌 내용을 그대로 읽기보다는 대화체로 설명하려 노력합니다. 다른 연구자들은 원하면 언제든 여러분의 포스터를 읽을 수 있습니다. 이들이 관심이 있는 건 여러분이 연구를 어떻게 해석하는가입니다.
  • 발표 후에는 연구와 관련해 질문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답변도 철저히 준비해 갑니다. 질의응답은 발표라기보다는 대화처럼 느껴져야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관심 있는 연구자들이 명함을 교환하고 향후 연구 협력을 위해 연락을 취해 올 수도 있습니다.

 

연구 포스터의 구성 요소

일반적으로 연구 포스터에는 제목, 저자 정보, 초록, 서론, 방법론, 결과, 결론, 그림/표, 참고문헌/사사, 9가지의 핵심 구성요소가 들어갑니다.

  • 제목: 연구 포스터에서 가장 먼저 시선을 사로잡는 요소입니다. 참석자의 관심을 끌 정도의 글자 크기(50~100포인트)를 사용합니다. 제목은 간결하고 핵심이 담겨 있어야 하며, 가급적이면 12~15단어를 넘기지 않도록 합니다.
  • 저자 정보: 다음으로 저자 정보를 기재합니다. 여기에는 연구에 참여한 저자들의 이름과 소속 기관을 명시합니다. 관심 있는 동료 연구자나 학회 참석자가 이후 연락할 수 있도록 연락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 권장하는 글자 크기는 40~60포인트이며, 단어 수는 100~150단어로 제한됩니다.
  • 초록: 연구 포스터의 간략한 개요를 제공합니다. 연구와 그 결과, 결론에 관한 핵심 정보를 강조하는 데 집중하여 250단어 이내로 작성합니다.
  • 서론: 독자가 연구 목적을 이해할 수 있도록 연구 배경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연구 목적을 명확히 기술하여 200단어 이내로 작성합니다.
  • 방법론: 연구 과정에 활용한 주요 기법을 설명하며 분석에 적용된 방법론을 알립니다. 본문은 250단어 이내로 작성하고, 가능한 한 실험 세부사항을 도표나 그림으로 시각화하여 제시합니다.
  • 결과: 연구의 핵심 결과를 제시합니다. 결과 요약과 최대한의 세부사항을 전달하되, 표나 그래픽 등을 활용해 시각적으로 전달하면 좋습니다. 본문 역시 약 250단어 이내로 작성합니다.
  • 결론: 연구의 주요 결론을 요약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합니다. 가설을 바탕으로 연구를 시작한 경우, 해당 가설이 입증되었는지 명시합니다. 순수 실험 연구인 경우, 연구 결과에서 도출된 핵심 결론을 언급합니다. 서론에서 제시된 정보는 반복하지 않습니다. 단어 수는 200자로 제한됩니다.
  • 참고문헌/사사: 과학 포스터 본문에서 인용한 참고문헌을 나열합니다. 실험 수행 중 받은 지원 등 감사의 말도 포스터 말미에 포함할 수 있습니다. 해당 섹션의 글자 크기는 16~20포인트면 충분합니다.
  • 그림/표: 연구 포스터 본문(서론, 방법, 결과, 결론 등) 전반에 걸쳐 연구 데이터를 표나 시각 자료로 제시합니다. 각 자료에는 충분한 캡션(20~25단어)을 달고, 독자가 쉽게 볼 수 있도록 25~30포인트로 작성합니다.

Default Alt text

효과적인 포스터 만드는 법

포스터 발표의 진행 방식과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를 알았으니, 이제 더 효과적인 포스터를 만드는 법을 알아봐야겠죠!

  • 과도한 전문 용어 사용은 피합니다 – 복잡한 개념을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간결하고 직관적으로 기술합니다. 물론 기술적인 용어를 아주 사용하지 않을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전문 용어가 지나치게 많고 특정 분야의 용어에 집중되면, 그 외 분야에 속한 독자의 관심을 잃을 수 있습니다.
  • 가독성이 높은 글꼴을 사용합니다 – 연구 포스터의 주요 목적은 독자의 시선을 사로잡는 것이죠. 따라서 모든 요소에 선명하고 쉽게 읽히는 폰트를 사용합니다. 제목은 다소 멀리 떨어진 독자도 읽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작성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걸어가면서 포스터를 살피기 때문입니다.
  • 글머리 기호나 번호를 활용하세요 –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가능하다면 글머리 기호나 번호를 활용해 목록화합니다. 이를테면, 방법론 섹션에서는 실험 단계를 목록으로 요약할 수 있을 겁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결과 섹션에서 번호를 매겨 제시할 수 있겠죠. 긴 문단이나 장황한 문장은 피합니다. 아무리 설명하는 내용이라도 문장은 짧고 간결한 편이 좋습니다.
  • 눈에 띄는 그래픽을 활용합니다 – 포스터의 주 목적 중 하나는 지나가는 연구자들의 시선을 사로잡는 것입니다. 가독성 좋은 폰트로 작성된 제목을 제외하면, 연구자들이 가장 먼저 주목하는 건 그래픽과 일러스트입니다. 따라서 데이터를 명확히 표현한, 눈길을 사로잡는 도표나 그래픽을 만들어 포함하세요. 도표는 지나치게 복잡하게 만들지 않고, 디자인은 간결하게 유지합니다. 과학적으로 관련성 있는 아이콘을 사용해야 하는 점도 잊지 마세요.
  • 컬러 팔레트의 균형을 고려합니다 – 화려한 색은 시선을 끌지만, 연구 포스터에 색을 과도하게 많이 사용하는 건 지양하는 편이 좋습니다. 포스터 본문 텍스트에 적용하는 글자 색상은 통일합니다. 단, 제목과 저자 정보는 다른 색상을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총 3~4개의 색을 넘지 않도록 합니다. 균형 잡힌 배경을 뒤로 세부 사항이 선명히 보여야 합니다. 전체적으로 지저분해 보이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더 읽어 보기

포스터 발표가 중요한 이유 – 연구자를 위한 가이드

학술적 글쓰기란? - 학생과 신진 연구자를 위한 가이드

연구 논문의 서론에는 무엇이 포함되어야 하나요?

 

스크랩하기

해당 기사를 스크랩해보세요!

지식은 모두에게 함께 공유되어야 한다는 것이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이념입니다. 해당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모든 기사는 Creative Commons license로 재포스팅 및 스크랩이 가능합니다. 아래의 가이드라인만 유념해주신다면 언제든지 무료로 에디티지 학술 전문가의 지식을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


  • 주의 : 에디티지 학술 전문가들은 해당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고 있습니다. 기사를 스크랩 및 재포스팅 하실 때는 명확한 출처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이미지 재사용: 이미지를 원본이 아닌 편집 재사용하실 때는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허가가 필요합니다.

코드를 복사하셔서 기사 공유를 원하시는 사이트에 적용하시면 에디티지 인사이트 기사를 가장 쉬운 방법으로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위 코드를 복사하시어 원하시는 곳에 다시 포스팅 하실 수 있습니다.

Comments

원고 거절 사유

연관된 카테고리

에디티지 인기 서비스 바로가기

  • 논문 시각화 그래픽초록​
    짧은 제작기간 + 저널 맞춤 디자인

    자세히 보기>
  • 저널게재 성공은, 저널 포맷팅부터!
    업계 최저가 + 빠른 납기 일정

    자세히 보기>
  • 한정기간 EVENT!
    SCI저널투고 패키지 40% 할인!

    지금 할인 받으러>
  • 학술 전용 AI도구 페이퍼팔
    논문 작성부터 제출까지 한 번에!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