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논문 수정 요청에 동의한다는 것을 언제쯤 알려야 적절한가요?
Language Korean 일전에 에디티지에서 논문 편집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그 논문을 제출하였는데, 현재 수정 요청을 받은 상태입니다. 편집자의 이메일을 읽어 보니 대략 2개월 정도 소요되는 대대적인 수정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저널의 제출 시스템에 “수정 요청 수락”과 “수정 요청 거절” 버튼이 있는데, “수정 요청 수락”을 언제 눌러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지금 버튼을 클릭하고 2달 뒤 수정논문을 제출하면 될까요? 아니면 수정이 거의 완료되었을 ...
일반인들도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작성된 연구 성과 요약문의 중요성
"하지만 이렇게 개방하는데에는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모든 연구 논문을 모두에게 개방하는 것이 끝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연구는 또 다른 방식으로 열려 있어야만 합니다. 우리는 연구 공동체 바깥의 독자들과 소통해야만 합니다. 외부의 독자란 학생, 교사, 의료 종사자나 환자, 보호자 등 과학과 연구에 관심을 가질 만 한 모두가 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그들과 소통하기 위해 그들의 언어, 즉 뉴스 매체나 위키피디아에서 쓰이는 언어를 사용해야 ...
[사례연구] 자기 표절(self-plagiarism) 피하기
사례: 한 저자의 논문이 권위 있는 국제 공학 저널에 게재가 승인되었습니다. 그러나 저자는 이러한 결정에 기뻐하는 대신 에디티지를 찾아 이 연구의 일부가 한 국내 저널에 이미 다른 언어로 출판되었다는 매우 중요한 정보를 이야기했습니다. 저자는 표준화 실험을 수행하고 예비 결과를 국내 저널에 출판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저자는 국내 저널에 게재된 논문이 중복 출판으로 여겨질 수 있다는 것 과 현재 논문에 이것을 언급해야 한다는 것을 모르고 있어, 이 ...
자기 표절(self-plagiarism)이 그렇게 중요한 문젠가요?
Language Korean 최근 논문을 투고했는데 게재가 거절되었고 저널에서는 제가 과거에 출판한 것과 데이터가 부분적으로 중복된다고 말했습니다. 이 논문은 동일한 연구를 확장한 것이므로 제가 이전 논문의 데이터를 일부 사용한 것은 맞습니다. 저 자신이 출판한 데이터 중 일부를 앞으로 출판할 논문에 사용하는 것이 왜 용인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논문에 대한 저널의 결정은 안타깝네요. 중복 출판(redundant publication)은 자기 표절( ...
Conflict of interest 에서 현재 직장을 밝혀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
Language Korean 안녕하세요 저는 병원에서 근무(치료방사선과)하다가 완전히 다른 영역으로 나와서 현재 제약회사에서 간염관련 약제의 medical advisor 업무를 수행하고있습니다. 학위 논문(박사)의 작성을 위해서 논문 제출시 제 소속을 그냥 특정대학교의 특정교실소속으로 적으려고 합니다만, 이러한 명백히 conflict of interest가 발생하지 않음이 예상되는데도 (Therapeutic area가 완전히 다른데) 따로 어떤 회사에서 ...
학술 출판과 학술 커뮤니케이션: 2017년 12월의 좋은 읽을거리
한 해의 마지막 달이지만 학계와 학술 출판계에는 여전히 흥미로운 일들이 가득했습니다! 학계와 산업 간 협력에 관한 논의에서부터 연구 영향력에 대한 질적 측정의 필요성까지 한 달 동안 여러 중요한 이슈가 표면화되었습니다. 연말 술자리로 현재 논의되고 있는 흥미로운 소식들을 놓치셨다면, 저희 에디터 팀이 여러분을 위해 준비해뒀습니다. 준비한 소식 재미있게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행복하고 성공적인 새해를 기원합니다! 1. 증가하고 있는 산학 협력: 새로 발 ...
졸업논문 연구결과 중 일부를 사용하는 논문의 사사표시
Language Korean 예전에 졸업논문의 한 파트를 SCI 논문으로 투고 준비하다가 포기한 적이 있습니다. 최근 해당 내용이 이슈가 되고 있어 논문을 새롭게 작성하여 SCI저널에 투고하고 싶습니다. 졸업논문의 해당파트 결과가 주요 결과가 되고 추가실험한 부분이 비교자료로서 포함됩니다. 이때, 사사표시를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제가 올바르게 이해했다면, 귀하가 이전에 출판 한 박사 학위 논문의 일부에 박사논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몇 가지 데이터를 추 ...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를 위한 투고 전 단계 5가지 팁
모든 연구자는 저자권(authorchip)을 진지하게 생각합니다. 논문에 저자로 이름을 올리는 것은 중대한 일입니다. 출판을 위해 글을 쓰는 것은 모든 연구자의 삶의 여정에서 협상할 수 없는 부분이며 여러분도 자신의 여정을 따라가다 보면 곧 이와 같은 일을 하고 있을 것입니다. 여러분이 만약 연구실이나 집중 연구 그룹의 연구 책임자(Principal Investigator, PI) 밑에서 일한다면 여러분은 아마 자신이 수행한 일을 PI에게 보낼 것이며, ...
“약탈적" 해적 출판사 및 저널리스트를 수록한 Beall's list의 폐쇄
의심스러운 저널과 출판사 목록으로 유명해진 블로그 Scholarly Open Access 가 최근 폐쇄됐습니다. 이는 미국 덴버의 콜로라도대학 (UC 덴버) 사서인 Jeffrey Beall 이 2008년부터 운영해 오던 블로그입니다. 그뿐 아니라 Beall의 교원 정보 페이지 또한 접속 할 수 없어졌습니다. 이 사태가 일어난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지만, UC 덴버 대변인에 따르면 이는 Beall의 개인적인 결정이었다고 합니다. 또, “ Beall 교수 ...
논문 심사 상태가 곧바로 “Decision in Process(심사 결정 중)”로 바뀐 것은 거절을 뜻할까요?
Language Korean 2016년 10월 21일 «Elsevier» 에 논문을 제출했습니다. 2017년 1월 18일에 심사 상태가 “Under Editor Evaluation(편집자 검토 중)”으로 바뀌었고, 같은 달 22일에 “Decision in Process(심사 결정 중)”로 변경되었습니다. 수정 요청이 들어올 줄 알았는데, 곧바로 “Decision in Process”로 바뀌었다는 건 논문이 거절될 가능성이 크다는 뜻일까요? 너무 불안합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