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Results 971 - 980 of 981

검색결과

Free Content
기사

점점 더 많은 저널이 그래픽 초록 제출을 의무화하는 이유

지난 수년 내 연구 논문을 게재 본 적이 있다면 그래픽 초록 제출을 요구하는 저널을 여럿 접해 보셨을 겁니다. 심지어 그 수는 늘어나고 있죠! 그런데 저널들은 왜 그래픽 초록을 요구하는 걸까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과학 커뮤니케이션 예전에는 과학 연구가 주로 과학자, 연구자, 학자들만의 전유물이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이후 시대에는 일반 대중과 비전문가까지 과학에 점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였죠. 다시 말하면, 저널이 더 넓은 전 세계 독자층을 확보 ...

날짜: 2025년 10월 02일
Free Content
기사

박사 학위 연구 주제, 어떻게 찾을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

학위 논문 주제를 정할 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고민이 됩니다. 연구 질문은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요? 논문 주제로 삼을 만한 내용을 구별할 지식과 경험은 어떻게 쌓을 수 있을까요? 연구를 시작할 때 도움이 될 만한 몇 가지 요소를 공유합니다. 하지만, 이는 박사나 석사 과정 내내, 혹은 몇 년 동안 연구를 지속해야 익숙해질 수 있을 겁니다. 먼저, 주간 학과 회의 같은 모임이 있다면 꾸준히 참석하세요. 의학 분야 같은 경우에는 주에 한 번 그랜드 ...

날짜: 2025년 10월 02일
Free Content
기사

2025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에디티지가 만난 연구자들!

지난 9월 29일부터 10월 2일까지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는 한국분자 ∙세포생물학회 국제학술대회(KSMCB 2025 International Conference) 가 개최되었습니다. 이번에도 에디티지 는 연구자 여러분을 만나기 위해 제주도로 날아갔죠!     에디티지는 이번에도 연구자 여러분이 페이퍼팔과 그 기능들을 더 자세히 살펴볼 수 있도록 대형 스크린을 설치해 가시성을 높였습니다. 부스를 방문한 연구자 여러분은 물론이고, 부스를 지나쳐 가는 연구자 ...

날짜: 2025년 10월 15일
Free Content
기사

2025 오픈 액세스 주간 – ‘우리의 지식은 누구의 것인가?’

오는 10월 20일부터 27일까지 2025 오픈 액세스 주간(Open Access Week 2025) 이 진행됩니다. 올해는 ‘ 우리의 지식은 누구의 것인가?(Who Owns Our Knowledge?) ’라는 주제 하에 현황에 관한 날카로운 질문을 던지며, 혼란한 시대에 커뮤니티가 스스로 생산한 지식에 대한 통제권을 어떻게 다시 재정비할 수 있을지 논의합니다. 다양한 의견이 공유될 이번 오픈 액세스 주간에서는 아래와 같은 주제들을 심도 있게 논의합니다 ...

날짜: 2025년 10월 16일
Free Content
기사

STEM 저널 vs. 인문학 저널을 위한 논문 포맷팅 가이드라인

STEM 분야와 인문학 분야의 연구 논문 포맷팅(양식 지정)에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저널은 대개 자체적인 포맷팅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거나 논문 포맷팅을 할 때 통용되는 스타일 가이드(APA, MLA, 시카고 매뉴얼 등) 중 하나를 따를 것을 권합니다. 이번 아티클에서는 STEM 분야 논문과 인문학 분야 논문의 양식 차이, 그리고 효과적인 저널 포맷팅 팁을 공유합니다.   STEM 논문 포맷팅 방법 STEM 분야에서는 논문 작성보다 실질적인 연구 ...

날짜: 2025년 10월 16일
Free Content
기사

괜찮지 않아도 괜찮아요 – 학계에서의 정신 건강 지원은 필수입니다

"정신 건강 문제가 당신을 정의하지는 않습니다. 그저 당신이 경험하는 것뿐입니다. 비를 맞으며 걸을 때 그 비를 느끼지만 당신이 그 비인 것은 아닙니다.”- 매트 헤이그, 《살아야 할 이유》 저자-   학계에 속한 사람들에게 물어보면 정신 건강 문제 가 그리 드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생각보다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문제라는 걸 어렵지 않게 알 수 있습니다. 데이터도 이를 뒷받침합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학계 종사자들은 교육 과정 중 상당한 심 ...

날짜: 2025년 10월 21일
Free Content
기사

증례 연구는 언제 해야 할까? 증례 보고서를 작성하는 이유

의사라면 수많은 환자를 접하고 각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게 됩니다. 그중에서 증례 연구(case study)를 할 가치가 있는 경우는 많이 않죠. 특정 사례가 의료계 전반에 유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는지는 무엇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할까요? 이때 증례의 독창성, 데이터 가용성, 실행 가능성 을 고려해 봅시다. 각 요소를 평가하면 증례 보고서(case report) 작성이 연구에 적합한 접근법인지 아닌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증례 연구는 언제 수행해 ...

날짜: 2025년 10월 23일
Free Content
기사

의료계의 숨은 영웅들 – 임상 검사 과학자(Clinical Lab Scientist)

의료계의 영웅들을 떠올릴 때 대부분은 의사나 간호사, MA(medical assistant, 의료 보조사), 응급 구조 대원을 떠올립니다. 그러나 눈에 띄지는 않지만 조용히 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또 다른 사람들이 있습니다. 바로 의학 검사 전문가 들입니다.   의료 기술사, 임상 검사 과학자의 하루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환자 검체를 언제든 처리할 수 있도록 검사실이 하루 24시간, 연중무휴 운영됩니다(BLS, 2024). 검체에는 혈액, 소변, 조직 ...

날짜: 2025년 10월 23일
Free Content
기사

오픈 액세스 저널 찾는 법 – 신진 연구자를 위한 가이드

2025년 10월 20일부터 26일까지 진행되는 2025 오픈 액세스 주간(Open Access Week 2025) 은 학계가 한자리에 모여 혼란한 시대에 지식 공유의 방향을 재고하는 계기가 되었는데요. ‘우리의 지식은 누구의 것인가?(Who Owns Our Knowledge?)’ 라는 주제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만큼, 지식은 누구의 소유인지 고민하는 동시에 지식이 올바른 플랫폼에서 공유되도록 보장하는 것을 주제로 담론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2025 ...

날짜: 2025년 10월 23일
Free Content
기사

연구자들에게 APEC 2025이란 – 지속 가능한 연결, 혁신, 번영의 미래를 위해

드디어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주간이 시작되었습니다. 지금 경주는 APEC 2025에 대한 기대감과 정상회의를 맞이해 열리는 다양한 행사들, 아태 지역에서 찾아온 반가운 손님들로 인해 기분 좋은 소란스러움으로 가득합니다.     20년 만에 한국에서 개최되는 APEC 2025 에서는 “Building a Sustainable Tomorrow: Connect, Innovate, Prosper”, 즉 ‘지속 가능한 내일을 위한 연결, 혁신 ...

날짜: 2025년 10월 28일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