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검색결과
[인터뷰] AI의 효율성 + 인간의 전문성 = 논문 심사 과정의 진화
다양한 인공지능(AI) 도구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고 보편화되면서 연구 및 학술 출판 분야에서 AI의 활용과 그 영향력에 대한 논의 가 진행되고 있죠. 여러 의견이 있지만, 학술 출판계에서 AI의 잠재력 을 무시할 수는 없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AI에만 의존한다고 해서 모든 것이 해결되지는 않죠. AI에 의존하는 대신 기술의 힘을 활용해 인간의 통찰력을 보완 한다면 넘쳐 나는 교정 업무와 피어 리뷰 체계에 내재한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도 있 ...
국내 의료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 결과 – 논문 작성 시 어려움과 AI 활용 현황
의학 분야에서 국제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는 과정은 단순한 학문적 성취를 넘어 환자 진료의 질에도 영향을 미치죠. 하지만 실제로 임상의가 연구와 출판을 병행하는 과정에는 다양한 장벽이 존재합니다. 에디티지는 최근 국내 의료 전문가 3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는데요. 그 결과는 이러한 현실을 실제적인 수치로 확인해 주었습니다. 동시에, 인공지능(AI)의 활용 현황과 관심 있는 교육 분야에 관해서도 파악할 수 있었죠. 레지던트와 초기 경력 연구자부터 ...
학술적 글쓰기에서 알맞은 어휘 선택하는 법
학술적 글쓰기에서는 단어도 고심해서 선택해야 합니다. 학술적 글쓰기란 새로운 아이디어나 발견을 정확히 보고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연구나 지식을 구축하기 위한 기반이죠. 의도하지 않은 표현상의 오류는 독자를 오해하게 하거나 혼란스럽게 할 수 있으며, 연구의 효과나 영향력을 제한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의 생각을 올바르게 전달하기 위해 학생, 연구자는 학술적 글쓰기에서 알맞은 단어와 구문을 선택해 사용해야 합니다. 잘못된 단어 선택 영어가 모 ...
그래픽 초록을 통해 저널 독자 유지율을 향상하는 법
연구 논문을 작성하며 이런 생각이 든 적 있나요? ‘ 사람들이 얼마만큼의 시간을 내서 내 논문을 읽을까?’ 독자 유지율(reader retention)을 확보하는 건 과학자, 연구자가 직면하는 주요한 과제 중 하나입니다. 짧은 형식의 콘텐츠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연구자들은 ‘내 논문이 마땅히 받아야 할 관심을 얼마나 받을 수 있을지’ 우려하게 되죠. 그래서 연구 출판계에서 그래픽 초록을 주목하는 것입니다. 한 연구 에 따르면, 일반 텍스트 20 ...
방법론- 정량적 연구와 정성적 연구의 차이 (영상 포함)
연구를 수행하는 방법론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으로 비교되는 것이 정성적(qualitative) 방법론과 정량적(quantitative) 방법론이 있죠. 정성적 연구는 관찰과 인터뷰를 통해 개인의 경험과 관점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는 반면, 정량적 연구는 수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합니다. 각기 서로 다른 장/단점이 있으며, 연구 성격과 목표에 따라 적절한 방법론을 선택해야 원하는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
임상 시험에서 대조군(Control Group)의 뜻과 목적, 예시
임상시험은 대개 새로운 약물이나 치료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하는 시험을 포함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통제된 조건과 실험 조건 모두에서 환자군을 테스트해야 하지요. 이를 대조군(control group)과 실험군(치료군)이라고 합니다. 대조군이란? 대조군의 뜻 모든 비교 연구에서 대조군은 결과 비교의 기준이 되는 그룹입니다. 예를 들어 신약이나 치료법을 시험할 때 대조군에 위약이나 기존 약물/치료법이 투여됩니다. 신약을 투여 받는 그룹이 ‘실험군 ...
데스크 리젝을 유발하는 흔한 논문 양식 오류 피하는 법 (저널별 양식 예시)
거절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죠. 개인적 삶에서든, 연구 논문을 출판하는 경우에든 모두 마찬가지입니다. 오랜 시간을 들여 작성한 소중한 논문의 출판을 목표로 한 저널에서 거절당한다면 큰 좌절감을 느낄 수 있을 겁니다. 비롯, 논문 거절은 연구 여정의 일부이기는 하지만, 거절 가능성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팁도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정확한 원고 양식 지정, 즉 논문 포맷팅이죠! 이번 아티클에서는 데스크 리젝(desk rejection)을 피하는 ...
학술적 글쓰기 실력 늘리는 법 – 실용적인 조언 6가지
recorded” 사용 “many researchers believe” 대신 “it is widely believed” 사용 “we surveyed” 대신 “a survey was ... www.editage.com/insights/tips-for-writing-the-perfect-imrad-manuscript Joshi Y. 2018. 4 Step approach to writing the Introduction section of a research paper. < ...
점점 더 많은 저널이 그래픽 초록 제출을 의무화하는 이유
지난 수년 내 연구 논문을 게재 본 적이 있다면 그래픽 초록 제출을 요구하는 저널을 여럿 접해 보셨을 겁니다. 심지어 그 수는 늘어나고 있죠! 그런데 저널들은 왜 그래픽 초록을 요구하는 걸까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과학 커뮤니케이션 예전에는 과학 연구가 주로 과학자, 연구자, 학자들만의 전유물이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이후 시대에는 일반 대중과 비전문가까지 과학에 점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였죠. 다시 말하면, 저널이 더 넓은 전 세계 독자층을 확보 ...
박사 학위 연구 주제, 어떻게 찾을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
학위 논문 주제를 정할 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고민이 됩니다. 연구 질문은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요? 논문 주제로 삼을 만한 내용을 구별할 지식과 경험은 어떻게 쌓을 수 있을까요? 연구를 시작할 때 도움이 될 만한 몇 가지 요소를 공유합니다. 하지만, 이는 박사나 석사 과정 내내, 혹은 몇 년 동안 연구를 지속해야 익숙해질 수 있을 겁니다. 먼저, 주간 학과 회의 같은 모임이 있다면 꾸준히 참석하세요. 의학 분야 같은 경우에는 주에 한 번 그랜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