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경쟁력 있는 초록 작성을 위해 알아야 할 모든 것

수나이나 싱 | 2025년8월14일 | 조회수 596
예시와 함께 알아보는 연구 논문 초록 작성법 – 정형 초록과 비정형 초록의 차이점은?

연구 논문의 초록은 독자가 핵심 내용을 빠르게 이해하고, 전체 논문을 읽을지 결정하는 데 도움을 주는 요약문입니다. 따라서 초록은 연구 논문에서 가장 중요하면서도 설득력을 지니는 요소 중 하나죠. 초록의 목적은 무엇이죠,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요?

 

초록이란?

연구 논문에서 초록은 논문의 내용을 간결하면서도 포괄적으로 정리한 요약문입니다. 논문에 포함된 주요 아이디어와 방법론, 연구 결과, 결론을 제시합니다.

 

초록을 작성하는 이유

초록은 독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중요성을 요약해 알려줍니다. 독자가 논문을 자세히 탐구하도록 유도하는 이를테면 ‘예고편’ 같은 역할을 하죠. 해당 연구가 독자의 관심 분야와 관련이 있는지 빠르게 판단하도록 돕습니다. 더불어 초록은 인덱싱 서비스와 데이터베이스에서 논문을 분류하고 검색하는 데도 자주 사용됩니다.

 

초록, 어떻게 작성할까?

시작 단계

초록은 논문 본문을 작성한 후에 씁니다. 내용을 명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더불어, 목표로 하는 저널의 요건과 가이드라인(구조, 단어 수 등)을 사전에 검토할 시간도 확보해 놓아야 합니다. 초록을 작성할 때는 늘 가이드라인을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합니다.

초안 작성

요점, 방법론, 연구 결과, 결론을 구별하여 적어 봅니다. 그다음, 이 핵심 내용들을 연결하여 문장으로 만들고, 맥락-내용-결론(context–content–conclusion, C-C-C) 구조를 따라 구성합니다.

먼저 ‘맥락’을 설정합니다. 흥미로운 도입문으로 초록을 시작하면서 연구의 관련성과 중요성을 명시하며, 배경 정보를 충분히 제공합니다. ‘내용’에서는 주요 연구 결과를 설명합니다. 마지막으로 ‘결론’ 부분에서는 연구 결과의 간단한 해석, 함의,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합니다.

초안 작성 단계에서 언어와 철자는 일단 신경 쓰지 마세요. 초안이니까요. 논리적인 흐름으로 필수적인 요소가 잘 들어갔는지 먼저 확인하세요.

퇴고하기

이제 초안을 다듬어야겠죠. 반복되는 단어와 불필요한 내용을 지웁니다. 명확하고 간결하며 읽기 쉬운지 확인합니다. C-C-C 구조가 저널 가이드라인과 맞는지 확인합니다. 초안이 본문에 기대지 않고 독립적으로도 내용을 충분히 전달하는지 확인합니다.

검색에 노출되도록 초록을 작성하려면, 처음 몇 문장에 주요 키워드와 핵심 문구를 넣어 보세요. 키워드는 초록 전반에 걸쳐 몇 차례 등장해야 합니다.

 

정형 초록과 비정형 초록이란?

비정형 초록(unstructured abstract)은 연구를 시작한 동기, 방법, 연구 결과, 결론 등 연구의 주요 내용을 요약한 하나의 문단입니다. 서술적 방식으로 정보를 제시하며, 저자가 다양한 요소를 자유롭게 오가며 기재할 수 있죠. 반면, 정형 초록(structured abstract)은 배경(Background), 방법(Methods), 연구 결과(Results), 결론(Conclusions)처럼 정해진 제목이 있는 구분된 섹션으로 구성된 초록입니다.

정형 초록과 비정형 초록 중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요? 그 답은 타깃 저널의 가이드라인이나 선호도, 연구 성격에 따라 다릅니다. 의학이나 자연과학 분야에서는 표준화된 형식이 명확성과 접근성이 높기 때문에 정형 초록을 선호합니다. 반면, 서술적 접근이 더 일반적인 분야에서는 비정형 초록이 더 적합할 수 있겠죠.

 

초록 관련 자주 묻는 질문(FAQ)

초록은 어떻게 시작해야 하나요?’

논문에서 다루는 주요 주제나 문제를 명확히 밝히는 문장으로 시작합니다. 첫 문장은 독자의 관심을 끌고 초록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맥락을 설정해야 합니다.

초록 분량은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요?’

A general guideline is 150–300 words. However, the length of an abstract varies depending on the requirements of the journal or discipline. Be sure to check the target journal’s word or character limit and never exceed it. In fact, it is a good practice to aim for the lower end of the recommended word count range.

연구 논문 초록 예시를 보여주세요’

아래는 가상의 연구 논문을 위한 비정형 초록 예시입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social media usage on academic performance among college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50 participants from a large public university, gathering data on their social media habits and grade point averages (GPAs). The results indicat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xcessive social media use and academic achievement. Students who spent more than 3 hours per day on social media platforms had lower GPAs than those with more moderate usage. Th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better time management strategies and awareness programs to help students balance their online activities with academic responsibilities.

 

더 읽어 보기

논문 초록(Abstract): 모든 이야기를 한 장에 설명하는 영화 포스터처럼!

연구를 시각화하는 방법 – 그래픽 초록 vs. 비디오 초록

생물학 연구 논문에서 초록(abstract)과 시놉시스(synopsis)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스크랩하기

해당 기사를 스크랩해보세요!

지식은 모두에게 함께 공유되어야 한다는 것이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이념입니다. 해당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모든 기사는 Creative Commons license로 재포스팅 및 스크랩이 가능합니다. 아래의 가이드라인만 유념해주신다면 언제든지 무료로 에디티지 학술 전문가의 지식을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


  • 주의 : 에디티지 학술 전문가들은 해당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고 있습니다. 기사를 스크랩 및 재포스팅 하실 때는 명확한 출처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이미지 재사용: 이미지를 원본이 아닌 편집 재사용하실 때는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허가가 필요합니다.

코드를 복사하셔서 기사 공유를 원하시는 사이트에 적용하시면 에디티지 인사이트 기사를 가장 쉬운 방법으로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위 코드를 복사하시어 원하시는 곳에 다시 포스팅 하실 수 있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