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LA(Modern Language Association) 스타일 가이드라인은 학술적 글쓰기를 위한 표준화된 포맷팅(양식) 지침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이번 아티클에서는 MLA 스타일의 헤딩(heading)과 헤더(header) 작성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둘이 다르냐고요? 물론입니다! 헤딩과 헤더는 스타일 가이드라인에서 구분되는 서로 다른 요소입니다.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해 드리죠.
MLA 스타일 헤딩
헤딩은 학술 논문에 포함되는 다양한 섹션, 하위 섹션의 제목을 말합니다. 대개 본문 텍스트와 구별되도록 더 크고 굵은 폰트로 작성하죠.
MLA 헤딩 양식
MLA는 헤딩에 대한 특정한 양식을 규정해 놓고 있지는 않지만, 논문 전반에 걸쳐 일관성은 유지해야 합니다. 여러 헤딩 레벨(계층 구조)이 있는 경우 아래의 스타일이 권장됩니다.
Heading Level 1
Heading Level 2
Heading Level 3
MLA 헤딩 스타일과 관련한 가이드라인을 몇 가지 드리자면,
- 헤딩 레벨은 두 번 이상 사용될 때만 적용합니다. 가령, Heading Level 1 하위에 Heading Level 2를 하나만 넣을 수는 없습니다. 하위 섹션(하위 헤딩)이 적어도 두 개는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내용을 하위 섹션으로 나누지 마세요.
- 헤딩은 들여쓰기 없이 왼쪽 정렬로 작성합니다. 중앙 정렬하지 않습니다.
- 헤딩에는 ‘제목용’ 대소문자 규칙을 적용합니다. 즉, 주요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표기하지만 짧은 전치사나 관사는 모두 소문자로 기재합니다.
MLA 헤딩 예시
아래는 논문에서 MLA 헤딩과 하위 헤딩을 기재하는 방식에 대한 예시입니다. 팀 스포츠와 개인 스포츠에 관한 논문을 작성한다고 가정해 보죠.
서론 이후, 논문을 두 개의 주요 섹션으로 나눕니다. 각 섹션은 탐구하려는 스포츠에 따라 하위 섹션으로 구분됩니다.
Introduction (Heading Level 1)
Team Sports (Heading Level 1)
Football (Heading Level 2)
Basketball (Heading Level 2)
Cricket (Heading Level 2)
Individual Sports (Heading Level 1)
Tennis (Heading Level 2)
Single player Match (Heading Level 3)
Double player Match (Heading Level 3)
Badminton (Heading Level 2)
Single player Match (Heading Level 3)
Double player Match (Heading Level 3)
Chess (Heading Level 2)
MLA 헤더
MLA 스타일 헤더는 반드시 논문의 첫 번째 페이지에 기재해야 하며, 각각의 줄에 연구자님의 이름, 지도교수 이름, 과목명, 제출일을 기재해야 합니다.
헤더 아래에는 논문 제목을 중앙 정렬로 기재하며, 본문과 같은 폰트 크기로 작성해야 합니다. 주의! 제목은 굵은 폰트로 작성하지 않습니다.
페이지 우측 상단에는 연구자님의 성(Lee, Kim 등)과 페이지 번호를 기재합니다.
MLA 헤더 양식
MLA 헤더 양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연구자님의 전체 이름
지도교수의 이름
과목명
제출일
논문 제목
MLA 헤더 예시
학술 논문에서 MLA 스타일 헤더를 아래와 같이 기재합니다.
더 읽어 보기
연구 논문에서 웹사이트 인용하는 법 – APA, MLA 스타일 예시
타깃 저널 스타일에 맞춰 인용 및 참고문헌 포맷팅하는 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