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임상 시험에서 대조군(Control Group)의 뜻과 목적, 예시

Sindhuja A | 2025년9월19일 | 조회수 522

임상시험은 대개 새로운 약물이나 치료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하는 시험을 포함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통제된 조건과 실험 조건 모두에서 환자군을 테스트해야 하요. 이를 대조군(control group)과 실험군(치료군)이라고 합니다.

 

대조군이란?

대조군의 뜻

모든 비교 연구에서 대조군은 결과 비교의 기준이 되는 그룹입니다. 예를 들어 신약이나 치료법을 시험할 때 대조군에 위약이나 기존 약물/치료법이 투여됩니다. 신약을 투여 받는 그룹이 ‘실험군’ 또는 ‘치료군’입니다.

대조군 사례 예시

예시: 한 스포츠 연구소가 육상 선수들을 위한 새 훈련 방식을 시험하고자 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비슷한 연령대의 남성 선수 100명을 50명씩 두 그룹으로 나누어 서로 다른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합니다. 대조군은 기존의 훈련 방식을 그대로 유지하는 반면, 실험군은 새로운 방식의 훈련을 받습니다.

분석: 10주 후, 선수들의 여러 육상 종목별 경기력을 비교하여 새 훈련 방식이 성적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 확인합니다. 차이가 유의미한 경우, 해당 연구소는 선수들의 성적 향상에 새로운 훈련 프로그램이 유용하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겁니다.

 

대조군은 왜 중요한가?

연구에서 대조군은 실험이나 임상시험 설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대조군의 목적은 신약, 치료법 또는 시험 대상 변수의 효능과 안전성을 판단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인데요. 정확한 결과를 얻으려면 대조군과 실험군이 유사한 특성을 지녀야 합니다. 결과가 시험 대상 변수만을 기준으로 평가되어야 하며, 다른 요인의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앞서 소개한 훈련 프로그램 테스트 사례를 살펴보죠. 대조군 선수들의 식단이 실험군의 식단과 다를 경우 결과는 일관성을 잃습니다. 식단과 훈련 모두 운동선수의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두 그룹 모두 같은 식단을 유지해야 하는 것이죠.

 

연구 실험에서의 대조군 실제 사례

대조군은 수십 년간 임상시험 및 기타 연구 실험에 적용되어 왔습니다. 대표적인 사례 두 가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솔크 소아마비 백신 현장 테스트 (1954)

목적: 조너스 솔크 박사(Dr. Jonas Salk)가 개발한 소아마비 백신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진행되었습니다.

연구 세부 사항: 1954년, 미국 내 60만 명 이상의 학생을 모집하여 연구에 참여시켰습니다. 이 사례에서는 두 유형의 대조군이 고려되었습니다. ‘관찰 대조군’과 ‘플라시보 대조군’입니다. 관찰 대조군에서는 한쪽 그룹 아동들에게 백신을 접종했고, 반대 그룹에 속한 아동들은 위약조차 주사하지 않고 단순히 관찰만 했습니다. 현장 테스트의 유효한 평가를 위해 플라시보 대조군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습니다.

결과: 1955년, 테스트 결과는 해당 백신의 효과가 90%에 달함을 보여주었습니다.

에디티지 저널 투고 패키지

2. 당뇨병 예방 프로그램 (1996~2001)

목적: 생활습관 변화(식단 개선, 규칙적인 운동, 기타 중재 요법)가 연구 참가자의 제2형 당뇨병 발병을 지연하거나 예방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습니다.

연구 세부 사항: 당뇨병 예방 프로그램(Diabetes Prevention Program, DPP)은 치료적 중재가 환자의 당뇨병 위험을 줄일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생활습관 변화 프로그램을 개발했습니다. 3,000명 이상이 참여했고, ‘생활습관 개선 그룹’, ‘메트포르민(metformin) 그룹’, ‘위약 그룹’과 같이 세 그룹으로 구분되었습니다. 1번 그룹 참가자는 DPP 생활습관 개선 프로그램을 따랐습니다. 2번과 3번 그룹 참가자에게는 각각 메트포르민(당뇨병 치료에 효과적인 약물)과 위약을 투여하고, 식단 및 운동에 관한 표준적인 조언을 제공했습니다.

결과: 3년 후 드러난 결과, DPP 생활습관 개선 그룹 참가자는 위약 그룹 참가자 대비 제2형 당뇨병 발병 위험이 58% 낮았으며, 메트포르민 그룹은 당뇨병 위험이 31% 감소했습니다. 참가자들은 10~15년의 추적 관찰을 받았으며, 현재도 모니터링되고 있습니다.

 

핵심 요약

- 대조군은 임상시험 및 연구 실험에서 결과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연구 참가자를 그룹으로 나눌 때,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의 유사성을 유지하여 결과의 유효성을 해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 연구 결과는 검증 대상 변수만의 영향을 받아야 하고, 다른 요인의 영향을 받아서는 안 됩니다.

 

더 읽어 보기

국내 의료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 결과 – 논문 작성 시 어려움과 AI 활용 현황

의학 저널에 논문 게재하는 비결 5가지

횡단 연구란? 횡단 연구의 뜻과 사례, 장점 및 한계점

 

스크랩하기

해당 기사를 스크랩해보세요!

지식은 모두에게 함께 공유되어야 한다는 것이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이념입니다. 해당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모든 기사는 Creative Commons license로 재포스팅 및 스크랩이 가능합니다. 아래의 가이드라인만 유념해주신다면 언제든지 무료로 에디티지 학술 전문가의 지식을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


  • 주의 : 에디티지 학술 전문가들은 해당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고 있습니다. 기사를 스크랩 및 재포스팅 하실 때는 명확한 출처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이미지 재사용: 이미지를 원본이 아닌 편집 재사용하실 때는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허가가 필요합니다.

코드를 복사하셔서 기사 공유를 원하시는 사이트에 적용하시면 에디티지 인사이트 기사를 가장 쉬운 방법으로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위 코드를 복사하시어 원하시는 곳에 다시 포스팅 하실 수 있습니다.

Comments

원고 거절 사유

연관된 카테고리

에디티지 인기 서비스 바로가기

  • 논문 시각화 그래픽초록​
    짧은 제작기간 + 저널 맞춤 디자인

    자세히 보기>
  • 저널게재 성공은, 저널 포맷팅부터!
    업계 최저가 + 빠른 납기 일정

    자세히 보기>
  • 한정기간 EVENT!
    SCI저널투고 패키지 40% 할인!

    지금 할인 받으러>
  • 학술 전용 AI도구 페이퍼팔
    논문 작성부터 제출까지 한 번에!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