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영어 논문에서 문장 끝의 “etc.” 뒤에 쉼표를 사용하는 것이 맞나요? 연구 논문의 다음과 같은 영어 문장에서 쉼표 사용 여부가 궁금합니다.Various technologies like Java, Microsoft, Unix, etc.
- Anonymous
- 2019년11월1일
- 조회수 667,647
연구 제안서나, 과제, 학술 논문 등을 쓸 때면, 혹여나 내 글에 문법적으로 문제가 있거나 오타가 있지는 않은지, 구두법 혹은 단어 사용은 적절한지 등등에 대해 여러가지 고민을 하게 됩니다. 이같은 고민을 하는 독자 여러분을 위해, 저희가 실질적인 도움을 드릴 수 있는 기사를 준비했습니다. 아래 기사를 통해 스스로의 의견과 정보를 명확하고 간결하게 전달할 수 있는 6 가지 유용한 팁을 드리고자 합니다. 일독을 권합니다!
자신의 과학적 성과를 전달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를 재미있고 흥미로운 방식으로 독자에게 전달하는 훌륭한 과학 원고를 쓰는 일은 만만치 않습니다. 글쓰기가 어떤 사람들에게는 쉬운 일이지만, 또 다른 어떤 사람들에게는 상당히 버거운 일입니다. 이 글에서는 연구 논문을 작성할 때 적용할 수 있는 5가지 실행 가능하고 강력한 팁을 제공합니다.
수없이 많은 시간 피와 땀과 눈물을 학위 논문에 쏟아붓고 이제 최종 제출이 거의 준비되었습니다. 가슴 설레는 시간이며 자신의 목표가 점점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학위 논문이 가능할 수 있는 최상의 상태이기를 바랄 것이며 정정할 수 있었던 실수를 놓치고 싶지 않을 것입니다. 이것은 학위 논문을 교정해야 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교정 오류 없는 학위 논문을 위해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몇 가지 팁과 요령이 있습니다. 물론 이 팁은 연구 논문을 교정할 때도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자,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 Mary Walton
- 2018년7월19일
- 조회수 17,526
문헌 검색은 연구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입니다. 문헌 검색에 도움이 될 만한 것들을 찾다 보면 매우 자주 듣게 되는 조언 하나가 있을 것입니다. “구글 학술 검색을 이용해서 본인의 연구 분야에서 이전에 출판된 논문을 찾아라.” 하지만 구글 학술 검색으로 들어가서 논문을 찾으라는 조언 외에 좀 더 충분히 유용한 검색 결과를 찾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무도 알려주지 않습니다. 왜 그럴까요?
콤마(,)는 영어에서 매우 유용하게 쓰이는 문장 부호로, 글쓴이의 필요에 따라 문장 안의 여러 요소를 효과적으로 구분하는 데 사용됩니다. 한 문장 안에서 의미와 의미 사이를 끊어 주는 역할을 하며, 적절히 사용했을 경우 글을 읽기 쉽게 할 뿐 아니라 문장의 의미를 더 정확하게 전달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이러이러한 사실이 참인지 알아보려했다.
이런 식의 문장을 만드는데요
예를 들어
I sought to determine whether the fact is true.
만약 이렇게 쓴다면요
한 문장에 시제가 저러면 안 된다고 배웠는데
여러 논문을 읽어보니 주로 저렇게 쓰는 사람이 많더라고요.
그렇다고
I sought to determine whether the fact was true.
이렇게 쓰면 종속절이 과거니까 현재는 그렇지 않은 의미가 되고요.
I sought to determine whether the fact would/could be true.
이렇게 조동사를 쓰면 되려나 하는데 확신도 없고 그래요ㅠ
혹시 도움을 주실 수 있나요?
감사합니다!!
- Anonymous
- 2018년1월6일
- 조회수 3,102
학술 출판을 위한 글을 쓸 때는 언어를 단순화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복잡한 커뮤니케이션은 본래 의도한 의미를 전달하는 데 방해가 될 뿐 아니라, 중요한 개념 및 발상에 혼란을 가져옵니다. 학술적인 글도 읽기 편하고 이해하기 쉽게 쓸 수 있어야 합니다. 설명하고자 하는 개념이 복잡하고 어렵다고 해서 전달하는 방식도 복잡하게 해야 한다는 법은 없습니다. 영어가 모국어가 아니더라도 좀 더 명확하고 간결하며 이해하기 쉽게 글 쓰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논문을 쓰는 때 논문에 어떤 시제를 사용해야 할지 결정해야 할 때 혼란스러운 상황에 자주 부딪히실 것입니다. 학술 글쓰기에서 시제 사용은 논문의 어느 섹션을 쓰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IMRaD 형식의 다양한 섹션으로 논문을 구성하는 경우 섹션마다 다른 시제의 사용을 하게 됩니다. 해당 인포그래픽은 연구 논문을 작성하는 동안 정확한 시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출판 준비 원고를 작성하는 데 한 발 더 다가갈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모든 학문 분야에는 연구 논문을 작성할 때 따르는 고유의 규정이 있으며 Physical Sciences 도 예외는 아닙니다. 물론 단어를 효과적으로 쓰는 것은 언제나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연구자와 학술 에디터로 일하며 저는 다른 분야보다 Physical Sciences 분야 연구 논문에서 더 흔히 발견되는 몇 가지 반복되는 오류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저자가 작성한 논문에서 흔히 보이는 이러한 문제들과 그 예시를 나열해 보겠습니다.
- ishani.bhattacharya
- 2017년6월16일
- 조회수 21,7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