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학술 공동체에 소속된 연구자라면 약탈적 출판사와 저널의 늘어가는 위협에 대해 아마 잘 알고 있을 것입니다. 더 최근에는 ‘약탈적 학회’가 학술 출판계의 새로운 약탈자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근래에 여러 분야의 많은 학자들이 학회에 참석하거나 발표하라는 초청을 받는 횟수가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대부분 보통의 학술 대회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등록비를 받아서 잇속을 챙기고자 하는 약탈적 출판사와 약탈적 학회주최기관의 착취 도구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가짜 학회들은 보통 경력 초반의, 실정을 잘 모르는 연구자를 겨냥합니다.
- Mohamad Mostafa
- 2017년11월10일
- 조회수 42,771
오픈 액세스는 학술 커뮤니케이션을 성공으로 이끄는 길입니다. 오픈 액세스를 통해 연구의 도달 범위를 최대화하고 영향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연구가 잘 활용되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여러 학술 공동체, 연구 지원 기관, 고위 학술 위원들이 오픈 액세스를 지지하고 있으며, 오픈 액세스의 잠재적 이점에 관한 인지도를 높이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오픈 액세스 주간을 주최하는 주된 의도이기도 합니다.
지난 20년 동안 중국은 혁신의 글로벌 리더가 되기 위해 주력했으며 현재 여러 징후가 중국이 이에 성공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017년 중국은 글로벌 혁신 지수에서 22위에 오르며 혁신적인 국가 상위 25개국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또한, 2016년 중국은 미국과 일본에 이어 발명 특허 건수에서 3위를 차지했습니다. 과학과 기술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도 국가가 되고자 노력하고 있는 중국은 연구에 대한 투자를 꾸준히 늘려왔습니다. 중국의 국립과학기술평가센터(National Center for Science and Technology Evaluation)와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Clarivate Analytics)의 공동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연구 개발 지출을 2006년 GDP의 1.42%에서 2016년 2.1%로 늘렸습니다. 이를 통해 중국은 과학 연구를 중시하는 국가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시간이 없을 때, 연구 홍보를 위해 소셜미디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해답은 생각보다 훨씬 간단합니다. 바로 학회 발표를 트위터에 올리는 것입니다. 수많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 중 온라인상에서 여러분의 연구에 관해 이야기하거나 연구를 홍보하기에 가장 효과적인 미디어는 아마 트위터일 것입니다. 트위터를 이용하면 학계, 이해관계자, 전문가들뿐 아니라 대중에게까지 도달할 수 있습니다.
- Elena Milani
- 2017년11월2일
- 조회수 10,553
연구자로서 노벨상을 받는다는 것은 그 자체로도 드문 영예이지만, 이보다 더 흔치 않은 일은 혈연이나 결혼으로 맺어진 가족 연구자들이 함께 노벨상을 받는 일입니다. 역사상 두 쪽 모두 노벨상 수상자로 이루어진 부부는 다섯 쌍이 있습니다. 아래 인포그래픽에서 노벨상을 받은 다섯 쌍의 부부들과 그들의 수상 업적, 그리고 그들에 관한 재미있는 사실을 연대순으로 소개합니다.
지난 9월은 학계가 들썩인 달이었습니다. 에디티지 인사이트가 피어 리뷰 주간 동안 바쁘게 움직이며 올린 소식에 좋은 반응을 얻었던 달이기도 합니다. 바쁜 시기에도 에디티지 인사이트는 계속해서 학술 출판에 관한 다른 흥미로운 소식들을 지켜보고 있습니다. 특히 다양한 소식이 가득한 이달 보고에서는 논란이 되고 있는 임상 시험의 재정의와 학자가 본인의 연구를 인용하는 횟수를 수치화한 새로운 지표인 S-index 등에 관한 소식을 읽어보세요.
- Anonymous
- 2017년10월12일
- 조회수 13,262
- Anonymous
- 2017년9월28일
- 조회수 11,991
피어 리뷰를 거친 논문은 신뢰할 수 있는 논문으로 여겨지고 따라서 대다수 저자는 피어 리뷰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는 것을 희망합니다. 하지만 피어 리뷰 과정을 거치며 저자들은 종종 불안함과 긴장감을 느끼게 됩니다. 피어 리뷰 과정은 장기간 이어질 수 있으며, 이 과정에는 오랜 시간 기다리고, 리뷰 과정의 다양한 단계를 이해하고, 리뷰어 코멘트에 대응하고, 이러한 코멘트에 답변하고, 이를 기반으로 논문을 수정해야 하는 일들이 뒤따릅니다. 저널의 피어 리뷰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질문이 생긴 저자들은 때때로 에디티지 인사이트를 찾아 조언을 구했습니다.
학술 연구가 번성하는 시대입니다. 출판되는 연구의 수가 증가하고 있고, 새로운 발견과 연구자의 수 또한 늘어나고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과학의 한계를 허무는 동안에 출판 윤리의 원칙까지 허물어 버리고 싶은 유혹에 빠지기도 합니다. 특히 피어 리뷰 절차에 관련된 연구 부정행위가 놀랄 만큼 흔해졌습니다. 널리 알려진 예로 피어 리뷰가 조작된 증거가 발견되며 시작된 «Tumor Biology» 107개 논문 게재 취소 사태입니다. 이 사건으로 인해 피어 리뷰에 있어 투명성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