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과학논문이 게재 철회 되는 사유 중 가장 빈번한 것이 표절입니다. 그러나 어떠한 형식의 표절이라 할지라도 반드시 게재 철회로 이어져야 하는 것일까요? 표절 논문을 게재 철회하는 것을 절대적인 법칙으로 삼는 대신, 저널 편집자들이 게재 철회 전 문제의 논문 저자의 의도를 먼저 파악하려는 시도를 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요? 이 글에서는 이러한 관점과 함께 논문의 향방을 결정하는 저널 편집자의 역할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뛰어난 실력을 선보이고자 한다면 그 전에 갖춰야 할 몇 가지 기본기가 있습니다. 기본기는 시간을 통해 축적된 훈련과 경험에서 나옵니다. 과학 연구는 복잡한 작업이기에, 연구자들은 연구질문 선택하기, 연구 프로젝트 기획, 실험 데이터 분석, 논문 집필 등 여러 가지 기본기를 갖춰야 합니다. 또, 이런 기술과 경험을 체득하기 위해서는 숙달된 논문 및 연구 보고서 검토 능력과 훈련, 연구 과정 참여 등이 꼭 필요합니다.
- Xuejun Sun
- 2014년9월17일
- 조회수 57,915
만약 어느 날 연구 데이터가 전부 날아간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이는 연구자들의 가장 끔찍한 악몽이고, 운 나쁜 연구자라면 실제로 겪을 수도 있는 일이겠지요. 데이터 소실도 충격적이지만, 더 충격적인 건 일부 연구자들이 고백한 데이터 저장 방식입니다.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매년 가장 많은 박사를 배출하는 국가는 중국으로, 200년부터는 미국조차도 뛰어넘는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영향으로 인해 멈췄던 중국의 박사후과정 프로그램이 1978년이 되어서야 재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배출하는 박사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습니다.
실험실 밖의 생명체에 대해서는 과학적 사고의 원칙이 흐트러진다는 것입니다. 증거를 수집하고 탄탄한 근거에 기반해야 한다는 과학의 근본은 이번 재현 연구의 실패 앞에서 게재 철회, 미디어의 열띤 취재 등으로 흐려지고 말았습니다.
- Alagi Patel
- 2014년8월8일
- 조회수 24,908
오픈 엑세스(OA) 출판과 피어 리뷰, 사용권 계약, 재사용, 지표 등 관련 주제에 대해 학계에서는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하지 않습니까? 얼마 전 테일러&프랜시스 저널이 모회사 인포마(Informa)와 함께 한 조사에 관해 알게 되었습니다.
- Alagi Patel
- 2014년7월9일
- 조회수 21,575
- Alagi Patel
- 2014년7월7일
- 조회수 37,821
저널 임팩트 팩터, h-인덱스 등 학술적 영향력에 대한 기존 척도들은 모든 연구자들에게 익숙할 것입니다. 그러나 인기에도 불구하고 인용횟수에 기반한 출판통계분석은 여러 가지 이유로 비판을 받고 있는데, 인문학 등 분야에서는 연구 영향력을 적절히 측정하기 힘들다는 이유 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