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에디티지 인사이트에 등록하시고 맞춤화된
저널 투고 지원 서비스
를 누려보세요.
읽음
의학 논문작성시 저자소속에 관한 문의입니다. 제가 현재 A 병원에서 근무 하고 있고 동시에 B대학의 대학원에 재학중입니다. 소속을 이중소속으로 표기 하려고 합니다. SCI 학술지등을 몇편 검색해 보니까 이중소속표기는 흔히 하고 있더군요. 대학원에서도 가능한 것이라고 대학원에서는 답변을 받았으나 확신이 서지 않아서요. 이에 대하여 문의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감사의 말(Acknowledgement)엔 누구의 이름이 들어가야 할까?
읽음
감사의 말에는 오직 논문에 유의미한 기여를 한 사람만이 들어가야 합니다. 논문 사사로 인한 갈등 상황과 이런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가요? 사례를 통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읽음
은퇴한 이후 주저자 또는 교신저자로서 논문을 투고할 때 과거에 재직했던 기관을 소속기관으로 표기해도 될까요?
  • Anonymous
  • 2015년3월24일
  • 조회수 31,653
논문투고 컨설팅 임팩트 팩터가 높은 저널에 투고하기 위해 논문을 철회
읽음
논문이 피어 리뷰어에게 발송된 다음에는 아주 중대한 사유가 있지 않은 한 저자가 논문 투고를 철회하는 것은 받아들여질 수 없습니다.  특히나 더 높은 임팩트 팩터를 가진 다른 저널에 투고하고자 논문을 철회하고자 한다면 비윤리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밖에 없겠죠? 다음 사례를 살펴봅시다.
논문쓰는법 IMRAD를 기억하자!
읽음
논문이 아이디어를 잘 전달하려면 짜임새 있는 구조가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저널에서는 과학논문의 경우 전통적인 포맷인 IMRaD (서론, 자료 및 방법, 결과, 토론) 포맷으로 작성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논문이 연구 내용을 잘 전달할 수 있도록 IMRaD 의 각 항목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읽음
저널 편집자가 저에게 이런 의견을 보냈습니다. “연구에서 수행한 모든 실험이 모든 필수 가이드라인을 준수했음을 표시해 주시겠습니까? 상세 기술 바랍니다.” 저는 어떤 답변을 보내야 하나요? 여기서 ‘가이드라인’ 이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 Anonymous
  • 2015년2월5일
  • 조회수 16,187
읽음
저는 영어 원어민 사용자가 아니며 이번에 첫 논문을 썼습니다. 제 논문은 상당한 수정 요청을 받은 조건부 승인 상태인데, 권장한 수정 사항이 대부분 언어에 대한 문제입니다. 공동저자는 아니지만 영어 교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만한 사람의 도움을 받아도 좋을까요?
  • Anonymous
  • 2015년1월26일
  • 조회수 21,232
읽음
거절당한 논문을 다른 저널에 투고했습니다. 그런데 새로운 저널의 피어리뷰어가 제기한 질문이, 처음 투고했던 저널의 피어리뷰어가 한 질문과 똑같습니다. 그렇다면 같은 피어리뷰어가 제 논문을 검토한 것입니까? 제 논문이 또 거절당하게 될까요?
  • Anonymous
  • 2015년1월16일
  • 조회수 23,337
피어 리뷰 조작: 저자들이 피어 리뷰어를 추천하는 관례는 계속되어야 할까
읽음
최근 <효소 억제 및 의료화학 저널(The Journal of Enzyme Inhibition and Medicinal Chemistry)> 그리고 <바이오메드 센트럴 (BioMed Central)> 저널의 저자들이 논문 출판을 위해 피어 리뷰 시스템을 조작한 사건이 발생해 피어 리뷰 조작이 과학출판계의 이슈로 떠올랐습니다.
읽음
원고를 수정해서 다시 제출했는데, 제출 후에야 원고에 실수가 있다는 점을 알아차렸습니다. 한 문장을 다시 수정하고 싶습니다. 제 논문이 승인될지 여부는 알 수 없는데, 이 오류를 고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조언 부탁 드립니다.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