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논문의 주저자(lead author)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요건을 갖추어야 하나요? 공동저자(co-author)란 무엇입니까? 이 두 가지 용어들이 정확히 어떤 뜻인지 알고 싶습니다.
- Anonymous
- 2014년12월26일
- 조회수 253,329
SCI 저널에 논문을 투고했는데, 표절 검사에서 표절률이 19%로 나와 거절당했습니다. 이후 최대한 수정했는데, 저널의 표절 검사를 통과하기 위해서 어떤 부분을 더 수정해야 할까요?
과학 논문의 견실성을 확인하기 위해 필수적인 절차인 피어리뷰, 그러나 피어 리뷰어의 큰 노고는 인정받기 힘든 실정입니다. 최근 설립된 “Publons” 라는 플랫폼은 피어 리뷰를 인정할 수 있는 투명한 시스템을 통해 피어 리뷰어에게 인센티브를 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Publons” 시스템을 통해 피어 리뷰에 더 많은 시간과 관심을 들이도록 동기부여를 해 줄 수 있는 “피어 리뷰 기록” 구축이 실현될 수 있을까요?
수정된 원고를 저널에 다시 제출할 때는 검토자 의견에 대해 하나하나 응답하는 답변을 첨부해야 합니다. 검토자 의견에 따른 저자의 답변과 함께 편집자에게 수정원고에 대한 커버레터를 보내게 되는데, 이 커버레터를 답신 편지, 또는 반박 편지(rebuttal letter)라고 합니다.
대부분의 저널은 저자들이 쉽고 빠르게 원고를 투고할 수 있는 온라인 투고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원고를 투고한 뒤 온라인 추적 시스템을 통해 저자들이 원고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투고를 마친 뒤 저자들은 상당한 불안을 겪기에, 자연히 원고의 투고 상태를 계속 확인하게 됩니다. 그런데 때로 특정 상태 메시지의 의미가 무엇인지 정확히 알 수가 없어서 불안감이 커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 Anonymous
- 2014년9월30일
- 조회수 101,392
세계적으로 특수한 연구분야와 협력연구가 늘어나는 추세에 발맞추어 학제간 연구 또는 중복되는 주제 영역의 연구가 보편화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를 담기에 적합한 저널을 선택하기는 무척 어려워졌습니다. 이 사례 연구를 통해 논문의 범위와 맞는 저널 선택이 학제간 연구에서 얼마나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사례, 또 탁월하게 참신한 연구라 할지라도 잘못된 저널을 선택할 시에 게재 거절을 당한 사례 등을 알아봅시다.
영어로 논문을 작성할 때 보통 저널에서는 마지막에 “이 논문에는 이해관계 충돌의 여지가 없음(the researcher claims no conflicts of interest.)” 을 명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연구가 객관적이고 공정하다는 저자의 선언과 같습니다. 즉, 연구 결과는 긍정적인 결과를 위한 금전적 이득 등의 외적인 요소나 부정행위와 무관하다는 뜻입니다.
- Xuejun Sun
- 2014년9월18일
- 조회수 66,064
에디 박사님, 저널 편집자들과 연락을 취할 때 신경을 써야 하는 것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특히, 이전에 투고한 원고에 대해 응답이 없을 때 제 원고가 어떤 상황인지 문의하는 법을 알고 싶습니다.
- Anonymous
- 2014년9월3일
- 조회수 40,172
에디티지에서 사고 피해자의 안면 대수술을 기술한 사례 보고서의 교정 의뢰를 받았습니다. 보고서에는 환자의 안면 일부가 찍힌 사진이 수록되어 있었습니다. 저자는 환자로부터 사진을 출판해도 좋다는 환자 동의서를 받았다고 하였으나, 저널은 기밀 유지를 위해 환자의 신원은 가능한 한 보호해야 한다는 지시가 전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