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학술 출판을 떠올리면 연구자들은 전형적으로 1차 연구 자료를 구성하는 원저 논문 출판을 떠올립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 자료를 요약, 종합, 분석한 연구도 출판될 수 있는데요, 1차 연구 출판에 비해 흔하지 않은 카테고리로 분류되는 2차 연구입니다. 이 글은 2차 연구에 관한 기본적 내용을 알려드릴 예정입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labVIEW를 이용한 시각 제어 휠체어를 개발했습니다. 제 연구를 저널에 발표할 생각이었는데 이 주제와 관련된 저널 논문을 검색해보니 같은 주제에 관한 기존 연구가 많았습니다. 제 연구를 발표해도 될까요? 만약 그렇다면 이 분야에 관심이 있을 만한 저널을 추천해주세요.
- Anonymous
- 2019년1월13일
- 조회수 3,543
- Anonymous
- 2018년12월29일
- 조회수 8,136
- Anonymous
- 2018년12월9일
- 조회수 2,785
- Anonymous
- 2018년11월22일
- 조회수 3,165
- Anonymous
- 2018년11월19일
- 조회수 39,267
석사 논문 연구 계획서를 작성해야 하는데, 교수님이 원하시는 계획서 개요 포맷이 어떤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교수님은 “어떤 포맷도 괜찮다”고 하셨는데, 2년 동안 글을 써야 하는 프로젝트의 개요를 작성해 본 적이 없습니다. 볼 수 있는 자료나 팁이 있을까요? 현재 통계 분석 코스를 듣고 있는데, 이 수업에서 제출할 과제입니다.
- Anonymous
- 2018년11월19일
- 조회수 20,176
MBA 논문 작성을 시작하려 합니다. 논문 주제는 농업 생산성에서 농업 신용의 영향입니다.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해 도움이 필요합니다. 양적 연구를 하고 싶은데, 질문지나 다른 연구 방법을 이용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을 잘 모르겠습니다.
- Anonymous
- 2018년11월19일
- 조회수 2,906
무엇이 ‘왜’ 이렇게 발생할까, 사람들은 ‘왜’ 이렇게 행동할까, 또는 정책이 ‘왜’ 이렇게 작용할까 등의 질문은 연구자가 자주 떠올리는 질문입니다. 정량적 기법은 대개 이러한 “왜” 또는 “어떻게” 질문의 범위를 다룰 때, 그리고 특히 사람의 행동이나 의도를 이해하고자 할 때,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반면 질적 연구는 실제 환경에서 사람들을 연구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할 수 있습니다. 그에 따라 질적 연구는 자신의 연구 주제를 이해하기 위한 활동과 몰입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질적 연구를 간략히 정리하여 제시하겠습니다.
- Anonymous
- 2018년9월15일
- 조회수 8,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