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Results 41 - 50 of 89

검색결과

Free Content
기사

학술적 글쓰기를 향상시킬 6가지 실용적인 방법

친구에게 이메일이나 문자를 보낼 때는 사실 글 자체에 대해 별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 오직 보내는 내용에 집중할 뿐이지요. 이와 마찬가지로 친구들과 이야기를 하거나, 격식없이 대화를 나눌 때에는 사실 말하는 이의 억양이나 발음 등이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연구 논문 프로포절이나, 과제, 학술 논문 등을 쓰고자 한다면 확연히 다른 얘기가 됩니다. 문법이나 스펠링, 구두법, 단어 등에서 실수는 하고 있지 않은지에 대해 걱정하게 되고, 가능하다 ...

날짜: 2019년 08월 22일
Free Content
동영상

저널에디터가 싫어하는 5가지 비윤리적인 출판 관행

저널에디터가 싫어하는 5가지 비윤리적인 출판 관행

저널에디터가 싫어하는 5가지 비윤리적인 출판 관행 multimedia Wolters Kluwer unethical publishing practices 표절 자가표절 authorship conflict ICMJE authorship criteria conflict of interest salami slicing publication 동시 투고 simultaneous submission 학술전문가 인터뷰 Dr. Donald Samulack(에디티지, 캑터 ...

날짜: 2019년 09월 17일
Free Content
기사

일반인을 위한 연구 요약 'Lay summary'란?

"질문하고 답을 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연구자로써 우리가 배우고 있는 것과 관련하여, 세계와 소통하는 일에 의무감을 느낍니다."- 스티븐 호킹, 빅 퀘스천에 대한 간결한 대답 전설적인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이 남긴 이 인용구는 연구 수명주기의 가장 중요한 측면 중 하나인 의사소통을 강조합니다. 연구 커뮤니케이션 은 오늘날 학술 출판 업계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학계의 상아탑 밖으로 나와 본인들이 발견한 연 ...

날짜: 2019년 09월 25일
Free Content
전문가

대학 혁신의 열쇠, 디지털 마케팅

Dong-No Kim, Vice President of University Development Strategies, Yonsei University Language Korean Dong-No Kim, Vice President of University Development Strategies, Yonsei University 아시아권에서는 연구 마케팅 및 홍보의 잠재력에 대해 잘 모르는 대학이 많습니다. 교수님께서는 그 중요성을 어떻게 간파하셨습니까? ...

날짜: 2019년 09월 25일
Free Content
기사

2019년 노벨상 수상자는…

고대하던 올해의 노벨상 수상자 발표가 끝이 났습니다. 알프레드 노벨에 의해 설립된 이 상은 매년 생리의학, 물리학, 화학, 문학, 평화 그리고 경제학 6개의 분야에서 중대한 성과를 낸 이들에게 상을 수여하고 있습니다. 이는 노벨에 의해 지정된 각 기관에서 수여됩니다. 수상자는 메달과 상장, 그리고 약 백만 달러에 해당하는 수상금을 받게 되는데, 공동 수상자의 경우는 공평하게 분배됩니다. 수상식은 12월 10일에 열릴 예정입니다. 수상자를 살펴보시죠!   ...

날짜: 2019년 10월 24일
Free Content
Q&A 포럼

데스크에서 거절되지 않은 원고가 게재 승인을 받을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요?

Language Korean 저널에 논문을 제출하고, 몇 가지 포맷 이슈를 주의한 뒤 다시 제출할 것을 요청받았습니다. 진행 상태는 9일 동안 "편집부(With editor)”에서 10일 째에 "심사 중(Under review)"으로 변경되었다가, 현재까지 25일 동안 “심사 중(Under review)” 상태입니다. 이는 편집자가 논문의 자격을 어느 정도 인정한 것이라고 봐도 될까요? 게재 승인이 이루어질 가능성은 얼마나 될 ...

날짜: 2019년 10월 24일
Free Content
전문가

엘리자베스 비크 박사 “2천여 건의 문제적 연구를 발견했습니다.”

엘리자베스 비크 박사: 과학 컨설턴트, 블로그 ‘마이크로바이옴 다이제스트’ 설립자 Language Korean 엘리자베스 비크 박사: 과학 컨설턴트, 블로그 ‘마이크로바이옴 다이제스트’ 설립자 엘리자베스 비크 박사(Dr. Elisabeth Bik)는 마이크로바이옴과 과학연구 진실성 자문 위원이자, 블로그 ‘마이크로바이옴 다이제스트(Microbiome Digest)’ 설립자입니다. 박사는 출간된 논문의 이미지 및 데이터 조작 사례를 무상으로 조사하는 것으 ...

날짜: 2019년 10월 24일
Free Content
Q&A 포럼

연구 근거는 어떻게 작성해야 하나요?

Language Korean 논문에서 연구 근거를 작성하기 위한 아이디어가 필요합니다. 제안해주실 부분이 있으실까요? 연구 근거는 선생님이 왜 이 작업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답입니다. 연구 수행의 필요성에 대해 답할 수 있어야 하지요. 이는 저널 게재 심사에서 선생님이 수행한 연구의 중요성과 참신함을 판단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연구 타당성 판단에서 이 부분이 언급되는 이유입니다. 이상적으로, 선생님의 연구는 관찰(observation), 근거 ...

날짜: 2019년 10월 24일
Free Content
기사

피어 리뷰 보고서 대응법: 저자를 위한 조언

저널 게재에서 피어 리뷰는 ‘금본위제’와 같습니다. 본질적으로, 여러분은 동료에게 자신의 학문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평가를 부탁하였습니다. 여러분의 실험과 주장을 고려하고, 기존 문헌의 맥락에 비추을 때, 이 연구가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전달되었는지를 보증하기 위해서 말이지요. 피어 리뷰어로서, 동료는 여러분의 연구를 검토하고, 이 연구에서 흥미로운 부분과 우려되는 점을 편집자에게 전달할 것입니다. 이 짧은 기사에서, 저는 저자로서 피어 리뷰 과정을 가 ...

날짜: 2019년 10월 25일
Free Content
기사

학계의 정신 건강 이슈: 무뎌지라는 요구에 대하여

처음 에디티지 인사이트에 글을 써달라는 부탁받았을 때, 저는 무엇에 대해 쓰고 싶은지 확실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자들이 개인적 이야기에 관심이 있다는 걸 알고 있었고, 제 마음은 뭘 쓰길 원하는지에서 뭘 쓸 수 있는지로 옮겨 갔습니다. 이리저리 궁리한 끝에, 써야 할 주제를 마침내 발견했습니다. 학계의 침묵 효과에 관한 것입니다.   아마 학계 최고의 비밀이라면, 이것이 그 비밀 위에서 번창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학계에는 금기시 되는 많은 주제가 있습니다 ...

날짜: 2019년 11월 01일

Pages